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의 직능발달에 관한 연구

        배순정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행정학에서 교사에 대한 연구는 양적·질적으로 상당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목적은 결국 교사의 자질 및 능력을 향상시켜 교육활동의 전문적,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육활동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지식, 인성, 가치관, 태도 등과 같은 영역에서 교육적 성장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은 청소년이나 성인과 달리 그들의 성장·발달 과정에 있어서 교사들로부터 커다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의 경력별 단계에 따른 직능발달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의미에서 더욱 절실한 필요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사의 문제로서 교사의 교직능력을 높이고 교직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방안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의 직능을 촉진시키기 위한 현직연수 활동 계획과 장학 활동을 계획하는 일 뿐만 아니라 더 넓게는 교사 정책 개발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초등학교교사의 직능발달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교사는 직능발달을 위한 정보를 어떻게 제공받고 있나? 하는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물들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경기도내 4개 시·군에 근무하는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이중 364부를 회수하여 (회수율 91.0%) 잘못된 질문지 5부를 제외하고 359부를 최종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응답 결과 점수화 된 자료는 통계처리 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조사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t검증과 F검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F검증의 결과 의미가 있는 경우에는 집단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직능발달은 대체적으로 남녀 교사간에 의의 있는 차이가 없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교사의 직능발달은 남녀 교사간에는 통계적으로 보았을 때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경영자는 각종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남녀 교사를 구분하는 고정관념을 버릴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능변인은 대체로 교직경험이 누적될수록 점점 발달해 가는 경향이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노령화가 직능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히려 고경력 교사가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반면에 경력이 낮은 신임교사를 대상으로 직능 발달에 필요한 현직연수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초등교사의 주요 정보 출처는 성별 차이 없이 주로 선배교사나 동료교사, 도서·논문 등이다. 이것으로 보아 초등 교사의 직능 발달을 위한 정보 출처는 비교적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주요정보원이 선배교사나 동료교사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선배교사나 동료교사의 직능이 후배 교사의 직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직 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내 장학요원의 육성과 이를 통한 동료 장학의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보아진다. 넷째, 초등교사의 직능 발달을 위한 정보원은 경력이 많아질수록 다양할 뿐 아니라, 경력에 따라 정보원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내 자율장학의 형태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서 여러 형태의 장학 방법을 경력과 능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선택적 장학활동이 활성화되어야겠다. 다섯째, 장학사·연구사나 교장·교감 등이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이 극히 낮은 형편이다.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사·연구사의 장학 협의나 교장·교감의 관리장학, 수업장학이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 장학사, 교장, 교감 등은 장학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현장의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장학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존재라는 것은 교사와 관련된 제도 및 정책 등이 경력 단계별로 각기 다른 관심, 지식, 자질, 능력을 지닌 교사들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바뀌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전 교직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사자질, 능력,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장학 지원 활동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현직교원연수 프로그램 수립 등에도 교사들의 경력단계에 따른 다양한 특징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eld, studies on teacher have produced a great deal of result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Studies on teacher eventually aim for improving teacher quality and ability and thereby for elevat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 goal of educational activities is ultimately to develop the knowledge, personality, values and attitudes of students. Specifically, as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evelopmental stage is under the big influence of teacher, unlike adult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play more crucial role than those in the other types of school. This fact justifies the urgent necessity of researches on the job function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consideration of teache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raise the ability and expertise of teachers in a bi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ight be of big use for in-service training planning, supervision planning and national teacher policy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what is the job function development proced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how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d information on job function development?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n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ies and guns, Kyonggi province. The responses form 364 teachers were collected with response rate 91.0%, and 359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except five incomplete answer sheets. In data analysis,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F-test(one-way ANOVA)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case F-test showed any significant results, Scheffe pos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intergroup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explained as below: First, in gener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eachers in job function development. So it could be said that teacher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job function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School manager needs to abandon the stereotyped gender discrimination in pushing ahead with all kinds of school affairs. Seco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more-experienced teachers made better development in job function, and it's found that teacher's getting older didn't result in less job function. Therefore, it's needed to create the condition that higher-experienced teachers could exert their abilities best. On the other hand, new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should take more reinforced in-service training to develop job function. Third, the major information source was mainly senior teacher, colleague teacher, books, articles and theses, regardless of gender. Thi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source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job function development was restricted. In particular, the fact senior or fellow teacher was the major information source seems to indicate that the job function of senior and colleague teachers give a great impact on junior teacher.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in-school supervision personnels and vitalize colleague supervision. Fourth, the information source on job function development became more diversified for those who had a higher career, and that sour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 career. This fact implies that the current uniform type of in-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should be avoided. Instead, multiple form of supervision should be prepared for teachers to have their choice considering their own career and ability. Fifth, supervisor, researcher, principal and vice-principal were rarely utilized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It seemed that supervision consultation by supervisor and researcher and superintendence or instructional supervision by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worked little. Those personnels need to try to improve their supervision expertise and be of actual use to teachers. In conclusion, the fact that teachers have diverse and multiple charac- teristics means that the teacher-related system and policy should be changed to reflect the features of teachers who have different interest, knowledge, quality and ability according to career. Besides, systematic supervision support should be offered for them to pursue sustained improvement of quality, ability and expertise throughout their whole lives.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lso should be projected to allow for their various features depending on career.

      • Four quartets의 음악성 : 푸그 형식의 시적 구성

        배순정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Four Quartets의 구성이 대위법의 정점인 푸그(Fugue) 형식에 기반을 둔 음악적 구성이라는 것을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초기 작품 세계의 걸작인 The Waste Land와 다른 새로운 시적 기법에 대한 Eliot의 탐색의 결과임을 밝히는 것이다. Eliot은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상이 작품을 형성하는 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았고 종교적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서 기존의 서정적 양식과 다른 시적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From Poe to Valery'(1948)에서 Eliot은 단일한 정서를 지속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장편시가 불가능하다는 Poe의 주장을 반박하면서 다양한 주제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분위기들을 표현할 수 있는 장편시의 특징을 옹호하였으며, Eliot의 이런 생각은 Four Quartets의 구성에 나타났으며 장편시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악적 구성을 택하였다.$$a$$aEliot의 이런 생각을 기반으로 창작된 Four Quartets는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음악 특히 Beethoven, Bartok의 후기 사중주 형식과 연관 관계가 있다고 언급되어 왔다. 그런데 A. Walton Litz, Jewel Spears Brooker, David Barndollar 등의 비평가들은 이 작품의 반복적인 특징을 지적하였고 Brooker는 반복의 특징이 음악 형식과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 비평가들은 Four Quartets의 반복 혹은 순환적인 특징과 함께 다양한 음악 형식을 언급하였지만, 하나의 특정한 음악 형식을 이 작품에 적용시키지 않았다. 필자는 이들이 지적한 Four Quartets의 반복의 특징, 'The Music of Poetry'에서 Eliot이 언급했던 주제의 대위법적 배열의 양상 등에 의해 푸그 형식이 이 작품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a$$a푸그(fugue) 형식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주제, 이 주제에 대한 반복인 응답, 대 주제 그리고 에피소도와 스트레토 등이 있다. 푸그 형식의 이런 구성 요소에 따라서 Four Quartets의 구성을 분석할 수 있다. 우선 푸그 형식의 중심을 이루는 주제가 있는 것처럼 Four Quartets의 중심을 이루는 주제는 'The Dry Salvages' 5부에 등장하는 성육(Incarnation)이다. 이 성육의 주제는 'Burnt Norton'의 “사랑,” 장미원의 환상, 다양한 이미지의 연속들, 'Little Gidding'의 'Midwinter Spring'과 Little Gidding의 작은 교회 등과 같은 구체적인 이미지들로 반복된다.$$a$$a푸그 형식에 있어서 주제를 소개한 성부는 이 주제가 다음 성부로 반복되는 동안 다른 대 주제를 소개하는 것처럼 Four Quartets에서도 처음 주제를 소개한 'The Dry Salvages'를 중심으로 'East Coker'와 'Burnt Norton' 3부에서 성육의 주제에 대한 대위를 이루는 시간이 지배하는 세계의 유전(flux)과 필멸성의 양상이라는 대 주제가 반복된다. 푸그 형식의 에피소드는 주제와 대 주제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변주인 것처럼 Four Quartets의 에피소드도 이 작품의 주제와 대 주제의 반복을 피하는 일인칭 화자로 시작되는 부분들이다. 이 에피소드 중 하나인 'Little Gidding' 2부는 “복합 유령”과의 꿈 속의 대화를 다룸으로써 성육과 시간 세계의 유전과 필멸성이라는 이 작품의 주제와 대 주제의 반복에 대한 변주의 역할을 한다. 또한 푸그 형식의 스트레토는 주로 종결부에서 주제와 응답의 시간차를 당김으로써 악곡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Four Quartets의 스트레토에 해당하는 네 편의 시들의 5부는 이 작품의 주제인 성육과 그것에 대한 응답을 함께 다루고 있으며 앞의 부분들에서 진행되던 주제와 응답들을 한 부분 안에서 다룸으로써 각 시편들의 종결을 맺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 작품의 가장 마지막에 해당하는 'Little Gidding'은 맨 처음 시 작품인 'Burn Norton'의 사상과 이미지로 돌아감으로써 이 작품을 순환론적인 결론으로 이끈다.$$a$$a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 S. Eliot''s Four Quartets relies on a musical structure of a fugue and that it is a product of Eliot''s effort to find a new poetic form other than that of The Waste Land. Eliot thought that the metaphysical ideas are one constituent of poetry and that it required a poetic mode different from the lyric mode. In his prose 'From Poe to Valery'(1948) Eliot opposes Edgar Allen Poe''s thought that it is impossible that a long poem can be maintained in a single mood. He insisted, instead, that a poem can express a variety of moods. Eliot seems to have put this belief into practice when he created Four Quartets.$$a$$aNineteenth-century poets and critics including Edgar Allan Poe and Walter Pater shared an idea that music, the art of a perfect form was a model of poetry among all kinds of art. They believed that lyric among all genres of poetry, novel and drama was the most similar to music because it could give a reader the deepest emotions and had the least influence of the contents. Eliot had an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of literature and music and wrote his opinion about it in his works.$$a$$aIn his prose, 'The Music of Poetry'(1942), Eliot showed his attraction to the sound and the meaning of words, and insisted that a form of the music provided a way to develop themes of the poetry. Four Quartets, which was written on the basis of Eliot''s ideas expressed in 'The Music of Poetry,' has been told to have a connection with music, especially such as Beethoven''s and Bartok''s later quartets. Critics like A. Walton Litz, Jewel Spears Brooker and David Barndollar indicated that repetition determines the structure and theme of Four Quartets. These critics told the repetitive or cyclical aspect of Four Quartets which is similar to some forms of music, but didn''t go into showing how to identify a specific form of music structuring this text. I argue that the structure of Four Quartets is musical, and fugue provides a basic structure for this poem. The repetitive aspect of Four Quartets and the contrapuntal development of themes of it are analogical.$$a$$aFugue is a form of composition in which the basic principle is imitative counterpoint of several voices. Its main elements are: (1) a theme, or subject, stated first in one voice alone and then successively in all voices; (2) the continuation of a voice after the subject, forming an accompaniment to the subject statements in the other voices and sometimes assuming sufficiently distinct character as to be called a countersubject; and (3) passages that are built on a motive or motives derived from the subject or the countersubject but in which these themselves do not appear. Those sections in which the subject appears at least once in all voices are called expositions; those in which it does not appear at all are called episodes. The formal structure of any fugue is an alternation of an exposition and an pisode. An infinite variety of formal structure is possible.$$a$$aFirst, as there is a theme, which is a point of the structure in a form of a fugue, there is a theme that is a point of the structure of Four Quartets. This theme is Incarnation, which first appears in 'The Dry Salavages' Ⅴ. The theme of the Incarnation is repeated through 'Love': it appears in the form of the illumination in the rose garden and the clusters of various images of 'Burnt Norton,' and concrete images like 'Midwinter spring' and a desolate church of Little Gidding of 'Little Gidding' also point to the theme of the Incarnation. Then, there is a countersubject. The ideas of mutability and the fatality of a temporal world are repeated around 'The Dry Salvages' in which the Incarnation, a theme of Four Quartets is stated firstly, 'East Coker,' and 'Burnt Norton'Ⅲ.$$a$$aAs an episode of a fugue is the elaboration or relaxation released from the repetition of a subject and a countersubject, passages of different speakers ('I') in Four Quartets are episodes escaped from both the subject and the countersubject. Various speakers appear in 'Burnt Norton'ⅠandⅡ, 'East Coker'Ⅰ,ⅡandⅢ, 'The Dry Salvages'Ⅱ and 'Little Gidding'Ⅱ. These parts help to relax the intense emotion engendered by the sequence of various images and to make a transition to lead to the next part.$$a$$aStretto of a fugue invites audience''s interest by de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entry of a theme and that of an answer, the imitation of the theme. In Four Quartets strettos develop its theme of the Incarnation and its repetition in one part, especially PartⅤ of the four poems. PartⅤ of each quartet brings an effect of the ending by collecting the themes and the images from previous parts of the four poems. 'Little Gidding,' the last poem of Four Quartets leads to a cyclical conclusion by returning to the thought and the images of 'Burnt Norton,' the first poem.$$a$$a

      •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 매개효과 검증

        배순정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원의 감정노동 요인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진행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56개교의 교원 685명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2018년 10월 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61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606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적절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고 유의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또한 유의하였다.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기능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고, 하위변인 중 기능다양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으나, 추가로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기능다양성과 직무중요성이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유의하였고, 추가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투입한 결과 주의정도와 내면행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정도는 직무만족을 떨어뜨리는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을 높이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매개변수인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각각 투입한 결과, 하위변인 중 감정노동의 빈도, 주의정도, 감정부조화, 표면행위는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의 감정노동은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감정노동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과 임용, 관리에서 교원들이 직무특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만족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교직문화 조성을 강조하였으며, 교원들이 내면화된 감정조절 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복지 차원의 교원상담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교원들이 자아실현의 만족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