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85 Orlando Paladino (Queen Angelica역) 1986년 Recital 1987년 Don Giovanni (Donna Elvira 역) 1988년 Recital : 박미애

        박미애 Univ. of Southern California 1988 해외박사

        RANK : 247647

        헨리 퍼셀 축복받은 성녀의 간청아돌프 옌슨 만자나레스 강가에서 숲속의 대화 봄밤 조세프 막스 야상곡 사랑의 감축 사랑의 속삭임펠릭스 멘델스존 불섦營탕떼션�깡뗄루브 실짜는 소녀 초원을 지나면서 꼽추 자장가 남편을 가진 아내는 가엾구나!

      • 韓.日 兩言語의 敬語에 관한 對照硏究

        박미애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韓國語와 日本語가 文法的으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경어가 체계적으로 발달되어 있다는 점은 세계 여러 언어와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경어는 인간과 인간과의 사이에서 사회적, 심리적 거리를 조절하는 언어적 수단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 사회는 끊임없이 발전과 변화가 일어난다. 그 사회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의사전달매체인 언어도 사회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바뀐다. 이렇게 변화하는 언어가운데 가장 민감하게 바뀌는 것이 경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경어연구의 범위가 넓으므로 학자들 사이에 별다른 이견이 없는 현대후기(1945년 이후)로 정했으며, 경어의 정의에 있어서도 언어적인 요소로 한정하여 현대경어의 변화를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제Ⅱ장 경어의 정의 및 분류에 있어서는 경어가 어떤 의미로 쓰여지고 있으며,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Ⅲ장 韓·日 敬語法의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韓國語의 敬語法은 성기철의 主體尊待, 客體尊待, 聽者尊待의 개념을 적용시켜 살펴보았으며, 日本語의 敬語法은 십촌민수의 素材敬語와 對者敬語의 개념에 입각하여 韓·日 兩言語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對照 分析하였다. 제Ⅳ장 韓·日 敬語의 변화전망을 보면, 韓·日 兩言語 모두 겸양의식이 쇠퇴하여 謙讓語보다 존경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敬語의 混亂의 경우를 보면, 韓國語의 경우는 客體尊待의 쇠퇴로 그다지 오용이 문제시되고 있지 않지만 日本語의 경우는 接頭辭 「お/ご」의 남용이 많으며, 二重敬語, 商業敬語의 출현 등으로 경어사용에 있어서 혼란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お一する」「ご一される」를 존경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お見えになる」「おうかがいする」는 과잉이지만 일반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聽者중심의 對者敬語化 경향을 보면, 韓國語의 경우 종결어미의 등급이 6등급까지 가능하나 현재는 실제용례가 증명해 보이듯 2등급으로 간소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日本語의 경우에 있어서도 「ございます」체는 젊은이들에게 있어서는 관용형식이외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으며 「です, ます」체 위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韓國語에서는 거의 문제시되고 있지 않는 오용, 남용 현상이 日本語에서는 남용도 많고 오용도 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日本語의 경어가 韓國語의 경어보다 훨씬 복잡함을 의미함과 동시에 경어의 간소화를 바라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본 論文에서는 협의의 경어인 언어적 요소로 한정하여 韓·日 兩言語의 敬語法의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용례를 발췌하여 韓·日 兩言語의 敬語의 混亂 및 濫用을 중심으로 변화를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the grammatical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specially, the systematic advancement of honorification is a sharp distinction among other languages. This paper applies to the constructive feature of Korean and Japanese honorification in late period of modern times which classified into the respect for subject, the respect for object and the respect for hearer. Then I expla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oth languages' honorification, and also forecasted the change of homorification through practical examples. The content of this article may be summarizes as follows. First, on the occasion of the substantives on the respect for subject, Korean contains an abundant specific vocabulary, but Japanese has many honorific words by the prefix 「お·ご」. While, in case of declinable word, Korean only has a 'stem of a word' (a non-final suffix added to an inflectional stem) '-(으)시-' which stands for the 'respect', but Japanese shows complex honorific words by the advancement of formal verbs. Second, let's search for the respect for object in Korean and Japanese.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uld find that Japanese had rich expressive styles and complex usage of the respect for object, but Korean has more than 10 specific verbs by a shave. In addition, the beautification word (美化語), the chief distinction of Japanese which widely used by the women for elevating their character came into serious question owing to the overuse of prefix 「お」. So the standard usage of 「お」 is seriously required. Third, in the case of the respect for hearer, Korean is divided into 6 grades of the ending of a word for consideration of the hearer, but recently, it has become simplified informal style which is called 'Hae-yo style' and 'Hae style' On the other hand, the respect for hearer of Japanese is classified into 「てす, ます, ございます」, but nowadays 「ございます」 is hardly used exclusive of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a greeting. Finally, let's search for the change and prospect of modern honorifi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laying stress on the degeneration of modesty, the confusion of honorification and the increase of the respect for hearer. Both Korean and Japanese frequently use the honorific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modest words, because of the degeneration of modesty. In this respect, the misuse of modest word and honorific expression in Korean is out of the question owing to the degeneration of the respect for object, but there is something extraordinary in Japanese. Because Japanese involves some questions such as the abuse of prefix 「お·ご」, the misuse between modest word and honorific expression and so on. Moreover, the application of respect for hearer is accelerated by the degeneration of the respect for the third party. The honorification of Japanese if very complex and has serious misuse examples, so I could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simplification of the honorification. This paper includes linguistic element as a narrow sense of honorification, but it is important to extend the sphere of study to nonlinguistic element is in charge of significant duty on daily lif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ve features and the transitional prospect of honorifi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both languages. In addition, I want to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such as the confucianism, the nationalism and the family ethics which affect the honorification of Korean and Japanese, on the basis of this theoretical analysis.

      • 노년여성의 신체적 자아 및 생활만족도와 의복태도와의 관계 : 서울 시내 노인학교를 중심으로

        박미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연구는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자아 및 생활만족도와 의복태도를 조사하여 자아개념과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피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노인 작자가 老後의 개인 및 사회생활을 보다 긍정적으로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 당연한 노인 의복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자아 및 생활만족도와 의복인식도, 의복만족도, 기성복 불만족도에 대한 수준을 살핀다. 둘째, 의복인식도, 의복만족도, 기성복 불만족도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세째, 신체적 자아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의복태도 변인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 네째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의복태도 변인의 차이를 살핀다. 측정도구로는 정원식의 신체적 자아개념 문항과 Neugarten등(1961)이 작성한 생활만족척도 및 Perry(1985)의 기성복 불만족도 문항과 국내의 先行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을 本 연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2차의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며 노인학교에 출석하고 있는 여자노인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질문지를 배부하고 각자의 가정에서 작성하여 오도록 해서 1주일 내에 회수한 202 부의 자료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년여성들의 과반수는 신체적 자아 및 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2/3 가량이 의복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소유한 의복 및 의복생활에도 만족하였으나 기성복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불만족하고 있다. 2. 기성복 불만족도와 의복인식도 간에는 正的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성복 불만족도와 의복만족도 간에는 높은 否的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의복인식도와 의복만족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3. 신체적 자아는 의복만족도와 높은 正的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인식도와는 낮은 正的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활만족도는 의복만족도와 높은 正的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성복 불만족도와는 낮은 否的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의복인식도, 의복만족도, 기성복 불만족도는 인구학적 변인 중 어떤 변인에 대해서도 有意한 차이가 없었다. 6. 의복만족도는 의복비 부담자에 따라 有意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성복 불만족도는 의복구매 불성취 빈도에 따라 有意한 差가 있었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have a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ept and clothing-attitudes by investigating the physical-self, life-satisfaction and clothing attitudes, and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o aid elderly women to manage their lives more affirmatively, and supply the basic data that can aid to solve the pressing problems of elderly women clothing. The definite purpos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hysical-self, life-satisfaction, clothing interest, clothing-satisfaction and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2)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lothing interest, clothing-cognition and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 factors of clothing-attitude, physical-self and life-satisfaction. (4)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 factors of demography and clothing-attitudes. (5)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purchasing act and clothing attitude. The Jung Won seeg's physical self-concept question Neugarten's life satisfaction Index (1961), Perry's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question, clothing satisfaction question which was applied to the precedent domestic researchs are modifed, supplemented for subjects of this study and used as measuring apparatu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elderly women who attend at school for the aged in Seoul, and data from 202 questionnaires are analyzed by statistic processes. The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one-way ANOVA are adapted into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 1. The elderly women are positive about their physical-self and life typ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lothes, and are satisfied with their own clothes and clothing-life whereas unsatisfied with ready-made clothes. 2. There are positive interrelations between the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and clothing-cognition. And there are heavily negative interrelations between the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and clothing-satisfaction while non-interrelations between clothing-cognition and clothing-satisfaction. 3. The physical-self have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othing-satisfaction, and weak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lothing-cognition. 4. The life-satisfaction have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othing-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s, non-relationship with clothing-cognition and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5. The variable factors of clothing-attitude have no relationship with the factor of demography. 6. Among the changing factors of purchasing act, the difference of clothing-satisfaction depend on purchaser, and that of clothing market dissatisfaction depend on the frequency of clothes purchasing.

      • 家庭暴力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關한 硏究 : 경남지역에 발생한 가정폭력을 중심으로

        박미애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박 미 애 (지도교수 : 박 정 란)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특히, 여성들에게 반복적으로 행해지며 피해 당사자 개인에게는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족관계를 붕괴시키고 종국에는 폭력의 세습화, 사회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될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정폭력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이다. 가부장적인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가족에 대한 가정폭력은 가장의 권위의 행사라는 이유로 정당화되고 은폐되어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1988년「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가정폭력은 국가가 개입해야하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많은 가정폭력 관련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가정폭력의 실태파악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전국적 실태조사이기 때문에 실제 가정폭력이 발생하는 지역의 실태분석은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가정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가정폭력의 발생실태와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지자체의 가정폭력 피해자 및 가해자에 대한 대책마련에 보다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상담소 및 입소시설 이용자이며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이며 총 350부의 설문지 중 29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83%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8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8부가 본 연구의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AS 버젼 9.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총 208명 응답자들의 혼인상태별로는 결혼(함께 거주)이 49.52%(103명)였고, 이혼 20.67%(43명), 별거 16.35%(34명) 등의 순이었다. 혼인기간을 살펴보면 15년 이상(66명, 31.73%)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년 이상(65명, 31.25%), 10년 이상(29명, 13.94%), 3년~10년 된 응답자가 13.46%(28명), 1년~3년 미만(20명, 9.62)순이었다. 응답자의 연령별로는 40~49세가 40.38%(84명)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30대 36.06%, 50대 16.83%, 29세 이하 3.85%, 60세 이상이 2.8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1년 이전과 지난 1년 간의 폭력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1년 이전에 폭력이 있었을 경우 지난 1년간에 일어날 폭력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년간 정신적, 신체적 폭력이 높을수록 성적 폭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폭력유형별로 보면 먼저 정신적 폭력에 대해서는 “상대방에게 악의적인 이야기를 하였다” 가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경한 신체적 폭력으로 “상대방에게 물건을 집어던졌다”가 85.58%, “심한폭력에 대해서는 상대방이 삐거나 멍이 들거나 작은 상처가 생겼다” 81.73%, 성적폭력 부분은 ”원치 않음에도 성관계를 강요하였다“가 65.87%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결정권한이 남편에게 있을수록 신체적 폭력과 성적폭력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역할태도가 가부장적일수록 폭력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거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현재의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성장과정에서 아버지에 의한 폭력경험이 있을수록, 아버지에 의한 폭력목격경험이 높을수록 현재의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폭력의 원인이 가부장적 가치관과 성적 불평등에 의한 남성의 권위와 통제에 대한 복종과 종속관계에 놓여 있다고 보는 Dobash(1979)의 견해와 일치하며 폭력적, 성차별적 사회구조와 규범을 강조하는 사회구조적 이론과 사회화를 통한 폭력 및 성역할의 학습을 강조하는 학습이론이 가장 설득력이 있었다. 이는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내용이다. 핵심어 : 폭력피해여성, 가부장적, 의사결정권한, 성역할태도 ABSTRACT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omestic Violence - Focused on the Gyeongsangnam-do Region - park, mi ae (Thesis Director: Park, Jeong-Ra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Inje University Domestic violenc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cannot be left unsettled any longer, in that it destroys family relationship as well as ha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negative effects on its individual victim, and that it ultimately leads to the hereditary transfer or socialization of violence. It is from the 1980s that domestic violence began to attract attention in South Korea. In South Korea where patriarchal culture is deeply rooted, domestic violence against a family member has been justified and concealed under the pretext of exercising patriarchal authority, and has been perceived as a private matter which may occur within a family. However, after the institution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Crimes, etc.' and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Protection, etc. of Victims Thereof,' the attitude toward domestic violence has been changed, and it has come to be perceived 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in which the State should intervene. Hence, a lot of studies concerning domestic violence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nd consequently it seems that the realities of domestic violence have been grasped to some extent. However, most of the studies were nationwide fact-finding surveys, and so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in areas where domestic violence actually occurs has been minuscule.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domestic violence occurrence and factors influencing domestic violence, with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as its subj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more empirical data in the future to local governments when they prepare measures for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of domestic violence.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users of counseling centers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and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them, using questionnaires.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0. 290 copies among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showing the return rate of 83%, from which 82 copies of insincere response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0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For the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ver. 9.1.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investigation into the 208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the marital status indicated that the married (living together) were the most, with 49.52% (103 persons), followed by the divorced with 20.67% (43 persons), and separation with 16.35% (34 persons). An investigation by a period of marriage indicated that respondents of 15 years or more (66 persons, 31.73%) were the most, followed by 20 years or more (65 persons, 31.25 %), 10 years or more (29 persons, 13.94%), 3~10 years (28 persons, 13.46 %), and 1~3 year(s) (20 persons, 9.62 %). By age, respondents 40~49 years old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40.38 % (84 persons), followed by those in their thirties (36.06 %), those in their fifties (16.83 %), those 29 years old and under (3.85 %), and those 60 years old and above (2.88 %). Secondly, as a resul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on violence before one year and violence during the past one year,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violence occurrence during the past one year is high in case there was violence before 1 year.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psychological violence and physical violence were during the past 1 year, the higher sexual violence was. Thirdly, to examine by the type of violence, it was found that "Spoke malicious words to the other" in psychological violence was the highest with 92 %, followed by "Threw something to the other" of 85.58 % in light physical violence, "The other had a wrench, a bruise or an injury." of 81.73 % in severe violence, and "Forced into sexual relations even though not wanted" of 65.87 % in sexual violence.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husband had decision-making rights, the mor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occurr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patriarchal the gender role attitudes were, the higher the rate of violence occurrence was. Fifthly, as for the effects of the past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n the present domestic violence,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flicted by a father or the experience of observing a father's violence while growing up, the more the experiences have influence on the present domestic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gree with Dobrash (1976)'s view that the cause of violence is subordinately related to submission to male authority and control out of patriarchal values and gender inequality; and the social structural theory emphasizing the gender-discriminative social structure and norms and the learning theory emphasizing the learning of violence and gender roles through socialization are most convincing. This also agrees with the results of many precedent studies. Keyword; Female Victim of Violence, Patriarchal, Decision-Making Right, Gender Role Attitude

      • 오브제를 활용한 상징적 표현연구

        박미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랭거(Susanne K. Langer)는 회화표현의 목적을 상징에 두고 있으며, 이러한 상징은 인간 표현으로서 감정의 이미지로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는 회화형식을 통해서 표현되는데, 이때의 감정은 예술가의 삶의 개념, 내면의 정서 등을 포괄하는 생의 구현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즉 상징적 표현은 개인의 감정, 무의식, 상상력 등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눈으로 보는 것과 마음의 세계, 사고로 인식하는 세계, 감각적으로 느끼는 세계 등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여 실재를 파악하려는 인간의 욕구에 의한 것이다. 이때 예술은 그 세계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20세기의 현대 미술은 모든 내용과 표현에 있어서 개방적 입장을 취하고, 작가에게 다양한 표현 방식의 확대와 기회의 변화로 예술과 현실 두 간격을 좁혀주었다. 즉 현대 예술작품은 시각 표현방법의 다양한 화면과 대상 그리고 작가가 어떤 종류의 작업을 할 것인지 작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현대 미술의 한 표현방법으로써 오브제(Object)의 사용은 입체파이후 마르셀 뒤샹의 레디 메이드가 등장하면서 표현의 새로운 길을 트기위한 수단으로서 발전하였고 또한 예술 그 자체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인은 적극적인 표현방식으로 오브제를 작품에 도입하여 작업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물질로서의 오브제가 상징적 표현을 통하여 다의적 개념으로 전환되는 것을 작업을 통하여 실험하였다. 이에 본인의 작품에서는 그 내용적 의미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러한 의미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형상으로 표현되며, 그러한 형상은 현실 속의 대상에서 따온 것이다. 구체적 형상은 현시세계와 생활 주변에 널려있는 기성품과 폐품, 줄자, 기계 부품등을 활용하여 수공의 오브제와 함께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제작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에 기호가 신호에서 상징으로 되는 과정과 상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징의 일반적 의미를 살펴보고, 예술과 상징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그리고 오브제를 상징적으로 시각표현한 작가들의 사례 관하여 살펴 보았다. 표현 내용으로 오브제들의 조합을 통한 메세지 전달과 상상의 세계로 이끈 대상으로서 오브제의 형상과 표현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오브제와 수공의 오브제에 진술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 심리 깊숙히 내재된 그 갈등과 고민의 연속으로서의 삶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본인 자신의 사고를 상징을 통해 가시적인 형태, 즉 오브제로 표현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작품분석을 통해 각 작품의 표현적 성과를 검토해 보고, 이러한 작품제작 연구에 있어 내용과 형식이 일괄된 과정으로 보여지길 바라며, 작품의 객관적 위치를 찾고 앞으로 제작방향 모색의 기초로 삼고자 한다. Susanne K. Langer's objet to express his paints was symbolization and such symbolization reflected images of several feelings as human expressions. In addition, he said that such images were expressed by various painting forms, and the feelings should be embodiment of the artist's life including the concept of his or her life and the inside emotion. That is, symbolic expressions cover personal feelings, un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which are derived from human desires to understand the reality by cov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the visible world, the spiritual world, the recognizable world by thinking and the sensible world by the senses. At this time, the art is to express symbolically the status of the world. The modern arts in the 2OC had taken an open position in the respect of all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consequently, which had closed a wide gap between the arts and the actuality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tend to diverse expressions for artists. In other words, the modern arts had allowed artists to decide for themselves what kind of work they would create among various subjects and canvases of visual expressions. Use of the objet (Object) as an expression of the modern arts had been developed as a means to open a new way and settled down as the art itself, since the Marcel Duchamp's ready-made style appeared after the cubism. In this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diversity of works was attempted by introducing the objet in them as a means of positive expression a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hat the objet as an objet is converted into the polysemous concept through symbolic expressions. For that reason, the meanings of the content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my works. Such meanings are expressed as figures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such figures are derived from many subjects in the real world. Concrete figures were expressed with handiwork objets by applying daily ready-made articles, useless articles, tapelines or machine parts over the real worl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meaning, the world of symboliz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rts and the symbols,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symbolized from just signals to the symbol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creating my works. And, for expression, examples of symbolic visual expression we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objet in the modern arts. In the respect of methodology,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e meaning and improvement of objet in my expressions as factors to stimulate imagination. this study focused on expressing serious questions and my thoughts about the life, a series of conflicts and afflictions which are deeply immanent in the human psychology into visible forms through symbolization. Finally, I carefully examined the expressive result of the production through the examplification and analysis my works. I hope that this production research illustrates regular process of mattle, and have chance of finding the position and diretion of the works.

      • 유아교사가 인식한 음악활동의 실제에 관한 연구

        박미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음악활동의 실제를 심층면담을 통해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생각이나 경험을 해석하고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가 인식한 음악활동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A어린이집 교사 4명, B어린이집 교사 2명, C유치원 교사 4명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16주였으며 면담지를 통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음악활동의 실제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육 분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교사 면담자료를 작성한 후 전문가 2, 3차 협의를 통해 수정‧보완된 면담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참여한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지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면담내용은 질적자료 수집 및 분석에 의해 최종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음악활동의 본질을 음악이 주는 느낌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흥미를 통한 안정과 행복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음악활동의 내용은 일과중에서 예술적 표현과 연계된 활동, 예술 감상하기와 연계된 활동, 아름다움과 연계된 활동으로 제시되었다. 음악활동의 탐색‧표현‧감상 영역 중 가장 많이 제공하는 활동내용은 󰡐표현’이며 탐색, 감상 순으로 인식하였다. 탐색‧표현‧감상 중 가장 적게 하게되는 활동영역은 ‘감상’이며 탐색,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음악활동 방법을 탐색, 표현, 감상 등의 영역에 따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탐색의 경우 노랫말, 악기소리, 음악감상 등의 소리탐색으로 제공하였으며 음악표현은 음악을 들으면서 음악개념에 대한 신체, 언어, 그림 등으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감상은 일반적인 수동적 감상 형태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활동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해 유아에게 음악적 모델링이 되어야하며 더 바람직하게 되기 위해서는 시간관리를 통해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여 보다 발전적인 음악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일상생활에서 들려오는 모든 소리는 음악의 한부분이라고 교사는 인식하였으며 일상적으로 음악과 함께하는 개인적 생활에서는 물론이고 유아들과 생활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일상에서도 음악적 요소는 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음악은 삶의 한부분이라고 인식하였다.

      • 지역사회 변천 과정에서 주민의 삶 : 문화기술지로 본 철암을 중심으로

        박미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지역사회 변천 과정에서 주민의 삶 - 문화기술지로 본 철암을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 미 애 지역사회는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가지 욕구나 문제를 갖는다. 이러한 욕구나 문제는 지역사회가 처한 상황에 따라 지역사회실천을 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실천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실천하는데 지역사회가 처한 상황, 주민의 생활을 공감을 하지 못하면 실천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지역사회실천에 앞서 지역사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를 보다 치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변천 과정에서 지역사회 구성요소와 주민의 삶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지역사회 변천 과정에서 주민의 삶은 어떠한가?’이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연구현장은 태백시 철암동으로 한때는 석탄산업으로 잘 나갔던 곳이지만 지금은 폐광으로 쇠퇴하고 있는 지역사회다. 이곳은 불안정한 고용과 수입으로 빈곤에 빠질 가능성, 지역의 고령화, 교육환경의 열악함 따위를 주민 대다수가 문제로 안고 있어 지역사회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철암에서 2003년 12월부터 방학동안에는 머물러 살았으며, 2005년에는 집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생활하였다. 현장에 머물면서 주로 참여관찰과 구술생애사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술생애사는 철암에 40년 이상 거주한 60세 이상의 어르신 4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로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철암 변천은 철암을 이해하는 기본정보로 자연지리환경, 행정구조, 산업정책으로 기술하였다. 이것은 계절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여 지역사회에서 일어난 상황과 굴곡이 있는 주민의 삶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철암 변천 과정에서 주민의 삶을 지역사회 생성기-성숙기-쇠퇴기로 구분하였으며 이 시기에 따라 사람, 직업, 집, 생활모습이 다름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지역사회에 들어온 시기, 소득, 생애주기에 따라 주민은 지역사회에 보이는 애착심, 다른 주민과 관계, 욕구가 달랐다. 주민이 생활하는 공간은 주거, 생활유지, 취업활동, 여가활동에 따라 구분할 수 있었으며 그것이 갖는 의미도 시기마다 조금씩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 변천 과정에서 주민의 역동을 발견하고, 주민의 삶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 구성요소를 찾도록 도왔다. 또한, 어떤 지역사회든지 강점 및 자원을 갖고 있어 지역사회에 활동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심어주었으며,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공통의 문제와 욕구를 발견하여 지역사회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문화기술지로 지역사회를 이해함으로써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민과 공감대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이 지역사회실천을 할 때 협력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관련 사례 연구

        박미애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여건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에 대한 과제는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가 되었다. 문화, 예술, 도덕이나 정신 등이 중요한 권력의 역할을 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다른 나라에 감동을 주고 존경심을 이끌어내는 힘을 지닌 나라가 지배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복지정책 등의 확대로 생활이 점차 안정됨으로써 대중에게도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골고루 공유되는 문화예술 대중화시대 즉 대중문화예술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로써 도시·지역 계획은 물론, 정책까지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는 개편을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예술 관련 프로젝트를 등장시키면서 예술 비전과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많은 정보 자료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저소득층에게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 사례를 기업 및 공공기관으로 나누어 선정한 후 이를 자세히 살피고, 각각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정 방법은 현대 사회에 ‘지역·소득의 차별이 없는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와 예술의 정신적 감동을 모든 국민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적을 두고, 지속적인 지원 형태와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소비자 프렌들리(friendly)’ 성격을 바탕으로 탄탄한 구성, 그리고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고려하여 이에 준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례를 통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각 사례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피고, 이에 따라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국외 사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피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 혹은 ‘문화 복지’, ‘소득양극화와 예술지원정책’ 등 본 논문과 관련한 여러 선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21세기 선진 국가들의 초(超)부가 가치는 문화에서 발생할 것이며, 이에 따라 양질의 고품격 문화를 생산하고 예술을 향유할 줄 아는 능력이 곧 국가 경쟁력으로 직결될 것이라는 문화예술향유의 필요성을 충분히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 소득 4만 달러라는 목표로 항진해 가는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은 삶의 질 뿐 만 아니라 필수적인 문제라는 인식이 공유돼야 함을 함께 말하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는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것이며, 만약 누릴 수 없는 환경에 놓인 계층이라면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수적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지원의 성격이 단순한 일회성을 띠고 있거나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소홀하여 대상자 참여도가 낮은 경우를 볼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된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저소득층이라는 특정 계층의 범위에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저소득층이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한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기업의 사례를 나누어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이 가지고 있는 소외감, 상실감, 회피의식 등의 심리적인 문제를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감동과 정서를 경험함으로써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기회를 지원해야 함은 소외된 일상에서의 일탈,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문화예술향유를 통해 계층의 구분을 벗어나 동등한 자격을 갖도록 하고, 꿈과 희망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세밀한 배려와 진정한 관심을 주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과 실질적인 지원으로 더불어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선진사례를 더욱 연구하고 조사하여 제도를 재정비하고, 저소득층 관련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전문 인력을 사회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subject how to supply the nation to the opportunity to enjoy high qualified culture & ar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policies. When the era that culture, art, morality or mind play an important role comes, the nation which sweeps away the other nations and let the other nations respect has finally led the world. With our life becoming more and more stable due to the expansion of welfare policy, popularization era of culture & art that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s shared equally, namely, populace culture & art era, has finally come. Because of this, for the policies as well as urban/regional planning, reorganization of culture & art has been performed for its centralization. Also, new project related to art having been shown, a lot of information data for art vision and culture & art policy has been provided. In the background of this abstract, after I suggested to maximiz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for this, I classified the samples that any supporters would support the enjoyment program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into the companies or public institutions, I'll take a look at this, compare and analyze each example to examine the suggestion. There's any selection method; to provid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to make the people experience the mental emotion of culture & art; with the base of 'customers-friendly' characteristic, I selected proper sample, considering stable composition and affirmative participation. To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 took a look at the characteristic and problem of each sample and, according to this, any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problem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and overseas examples. When I take a look at several pre-studies related to this abstract such as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 'cultural welfare' or 'both extremities of income and art supporting policy, super value added of the advanced nations comes from the culture. According to this, I suggest enough that the ability to produce high qualified culture and to enjoy the art shall be connected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tion that culture & art is an essential issue as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shared in Korea moving forward the purpose of national income of 40,000$. This means that everybody can enjoy the culture & art in the future and, if there's any group who can't enjoy the culture & art, the support for this is shown to be essential. However, sometimes, the characteristic of support is merely instant o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eople due to poor constitution of the supporting program in the general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with the base of the pre-studied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and with the center of the opportunity supporting system to enjoy the culture & art, I tr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aking a look at the sampl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to have the low-income group find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he best. To support the opportunity to solve the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 sense of alienation, a sense of loss and avoidance consciousness, it shall be very crucial meaning for the low-income group to experience the emotion and sentiment of the culture & art for providing the path of smooth communication. Also, we should made a good society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same state out of the distinction of layers through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should give close care and real interest, and should make a better world where we can live with them through affirmative measures and real support. With studying and surveying the better examples more, training the experts and allotting the experts to every place of the society, we should make the best effort to develop the best measures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 개인 이미지에 따른 연예인 헤어스타일의 선호도

        박미애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드라마, 영화, 광고 등 다양한 매체들은 연예인의 패션 스타일을 대중에게 유행시켰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발전한 인터넷 문화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빠르게 전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가령, 드라마속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이 방송을 통해 부각되면 곧바로 인터넷상에서 그 스타일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자신의 스타일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대중매체의 발달은 더욱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의 여자 연예인 중 1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8가지의 이미지를 선별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각 이미지별 연상되는 연예인을 선정하여 조사에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과 매체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문헌자료는 국내외 서적 및 학술지, 패션잡지 등을 참고로 하였으며, 매체자료로는 입수 가능한 영화, TV,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 시청을 통해 이루어졌다. 개인 이미지에 따른 연예인의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위한 설문조사에서 이미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자신의 이미지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헤어스타일, 얼굴형, 체형, 어투, 행동 등에서 헤어스타일이 44.5%로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헤어스타일의 변화에 따라서 자신의 이미지가 다르게 나타나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선호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8가지 이미지(로맨틱, 매니쉬, 모던, 섹시, 에스닉, 엘레강스, 클래식, 내추럴)중 모던 이미지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로맨틱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엘레강스 이미지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인이미지별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로맨틱에서 F=3.128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내적이미지가 낮고 외적이미지가 높은 내하외상인 집단에서 3.86으로 로맨틱한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내적/외적이미지 모두 낮은 내하외하인 집단에서 로맨틱한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매니쉬에서는 F=2.972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외적 이미지가 모두 높은 내상외상인 집단에서 3.33으로 매니쉬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적이미지는 높고 외적이미지는 낮은 내상외하와 내적이미지는 낮고 외적이미지는 높은 내하외상인 집단에서 매니쉬한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섹시에서는 F=2.649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외적이미지 모두 낮은 내하외하인 집단에서 2.13으로 섹시한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내적이미지는 높고 외적이미지는 낮은 내상외하인 집단에서 2.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추럴에서는 F=3.475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이미지는 높고 외적이미지는 낮은 내상외하인 집단에서 2.66으로 내추럴한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모던, 에스닉, 엘레강스, 클래식에서는 개인 이미지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이 헤어스타일을 바꿀때 자신의 이미지에 따른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모방하는 선호도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oday, celebrities' hair style has been spread among people by various ways, such as drama, movie and tv commercial. In addition, booming of the internet usage has accelerated these trends. For instant, certain hair style of celebrities in TV drama appeal people, then people start looking for the same style on the internet immediately. These floods of information by mass media have brought huge changes when people make a decision of their style. Therefore, I will study how does people follow different celebrities’ hair style to make their own image. As for the range of the study, I picked up 8 types of images from Korean female celebrities, and secondly, picked up the celebrity for each images. The methods of study are based on documents such as relevant books, and magazines, as well as mass media, like tv, movie, and internets. The recent poll shows people consider the most important thing which will decide their image is Hair Style, Shape of face, body shape, accent, and behavior, and People chose hair style first by 44.5%. This show that people believe their image will be different depends on their hair style. And among 8 different hair styles (Romantic, Mannish, Modern, Sexy, Ethnic, Elegance, Classic, and Natural), people prefer mostly Modern image, as well as Romantic, and the elegance was lowest preferenc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people on hair styles of celebrities when they change their hair style for their own image. These days, appearances a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our society; we should make an effort to build up good image to others. We should balance our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our mind & looks, we can make good impressions to others.

      • 종이죽을 활용한 전통문양 수업방안 연구

        박미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ation of mankind can't have an absolute creation that could originate existence from nonexistence. Historically, all creations are premising the hand down of cultivated and adapted cultural legacy.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rt education that arrived to Korea without filtering after with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occupational period, the root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became forgotten. In order to acquire the true identification for art education, then an education that's based on tradition should be performed first. The study about traditional art education became active from 1990 and it gradually started reflect its content on studies. Afterward, they emphasize about traditional education even more on 6th and 7th educational courses. Especially, on 7th educational course, it doesn't only let student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traditional beauty, but suggesting to possess them on their life as an aim. For that, this study suggest about course planning of traditional pattern using glued paper, and focused on knowing and using the recycling method of art material through lessons. Plus, through cooperative course, it enabled to exceed the functional difference in terms of artistic expression of students with different ability. And it focused on to raise the concentration level of art course. The application of the course combined traditional pattern with glued paper and tried to express it. Moreover, the glued paper made students who are not so capable to participate to the course by stages since it required more cooperative work instead of individual work, and it could get educational effect by making students have interest toward art course. AS the cooperative study by using glued paper provided the joy for students to make a cooperative work and simultaneously a chance that they could show one another's expression skill and learn each other, it exceeded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expressional function and heightened the actual expression of the result. And as a result of the course, for using materials of glued paper, they could obtain glued paper with variegated color, which is combined with plants, sand, brick, petal and etc, and while they were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using dried glued paper, they could get away from the difficulty of long term safekeeping, which is the weakness of glued paper material. Moreover, among the recyclin gmethod of glued paper, it could change the concept about material usage by its recycling method. Therefore, as a result of suggesting and setting up educational plan of traditional pattern by using glued paper, we got a conclusion like the following. First, by teaching students about the origin of pattern based on the logic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 symbolism, period and its usage of modern daily life, student's comprehension and interest elevated as a result. Second, developing new material by using glued paper in terms of traditional technology, it enabled to understand the art function within out daily lives by combining with traditional pattern. Third, through self-regulating cooperative study in the study that's lead by teacher, it boosted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and expression ability, it also boosted the level of the result and simultaneously it boosted the interest toward artistic activity and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results of such studies, we could recognize that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material recycling, interest about study, studying ability of self leading and sociality had been developed.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fully considered by the interest of learner and the social demand simultaneously, could give educational effect toward both students and teachers. Furthermore, in order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and revitalize it in progressing way, we would like to suggest about few things as following. First, in order to accomplish the educational aim of real traditional culture, a systematic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is, a stabilized and comprehensive study of traditiona l culture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a study of educational planning, which exceeds the filed of technology or design, and used traditional art in more various fields are required. Third, teachers should make students to realize about the consciousness of material recycling through new ideas and expressional development about it. As this research introduced various expressional method of glued paper in viewpoint of traditional pattern succession and material recycling, it's meaningful for widening the usage scope of traditional pattern, changing the concept of recycling, elevate class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ve study, and it brings up high expectation for actual class improvement in education field. 전통문양이란 일정한 의미와 형태를 가지고, 고래(古來)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상징적 무늬를 말한다. 문양은 인간의 삶과 동일하게 발전해왔다. 생활환경과 조화를 이룬 문양은 인간의 역사와 전통 미의식의 집약에 해당한다. 문양을 가장 아름답게 장식한 장소가 궁궐이다. 궁궐 중에서 경복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궁궐로 전통문양을 자연스럽게 구현하고 있는 건축물이다. 경복궁 내에서도 특히 여성의 공간인 교태전과 자경전의 꽃담은 전통문양의 아름다움과 환경의 조화를 잘 담고 있다. 중학생들은 환경과 공간에 대한 관심이 크고 사실적 표현은 그들의 큰 관심사이다. 그러나 학생들은 공간의 크기, 색채, 명암, 원근의 변화에 민감하고 이러한 시각적 인식을 표현하는 것에 고심한다. 따라서 아름다운 것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려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이 완성한 작품을 보고 만족을 느낄 때 미술활동에 흥미를 보이고, 그 표현이 미숙할 경우 흥미를 상실한다. 현재의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이러한 발달적 특징을 보완하고, 미술표현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수ㆍ학습방법은 꼭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종이죽을 활용한 전통문양 수업에서 미술표현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는 교수ㆍ학습방법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종이죽은 종이재료를 재활용하고, 전통문양은 경복궁 꽃담문양을 도입하며, 교수ㆍ학습 방법은 협동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여 전통문양의 표현상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종이죽의 활용방법, 재활용 종이의 교육적 의의, 협동학습이 미술교육에 주는 영향 등을 고찰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통문양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통문양 지도방안의 목표ㆍ내용ㆍ수업 전개 및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전통문양을 활용한 수업은 표현영역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표현영역은 미적 체험영역, 감상영역과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미적체험, 감상, 표현이 상호보완적, 유기적 성격을 갖는다. 첫째, 표현활동을 위한 미적 체험에서 전통문양 감상을 통해 학생들이 문양의 기초적인 이해와 조형적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전통문양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킨다. 둘째, 표현영역에서는 경복궁내에 있는 교태전과 자경전 꽃담의 문양을 종이죽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미술 표현에 있어서 재료 활용의 폭을 넓혀준다. 셋째,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성과 협동성을 기르고, 미적 표현력 향상을 꾀한다. 전통문양을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양의 기본적인 이론을 공부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문양의 종류ㆍ기능ㆍ역사ㆍ상징성을 이해하고 전통문양을 재창조할 수 있다. 둘째, 환경과 아름답게 조화한 경복궁의 꽃담문양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미술을 향유한 우리 조상들의 미적 태도를 배울 수 있다. 셋째,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버려진 종이를 재활용한 종이죽을 통해서 표현 재료의 다양한 경험을 유도하고, 폐기한 자원의 재활용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넷째, 조별 협동학습은 상이한 미술표현 능력의 차이를 보완하고, 수업의 집중력을 높임과 동시에 결과물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는 중학생들의 작품 표현에 대한 자신감과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중학생들의 자원 재활용 의식과 학습의 흥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사회성이 성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공예에 있어서 종이죽과 전통문양을 결합하여 전통문양의 활용범위를 확대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