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d LED를 이용한 광조사에 따른 인간 치은 섬유모세포의 세포 반응

        김희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With in-office bleaching therapy, various light sources have been proposed for light activation of bleaching products. The light sources can activate peroxide to accelerate the chemical redox reactions of the bleach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cellular responses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HGF) exposed to red LED light (wave length 610~630nm) generated from tooth bleaching lamp. HGF were exposed to red light source with clinically relevant intensity and distance for various times ranging from 12~48min. The data from MTT assay showed that the light exposure inhibited cell viability in dose -dependant manner.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also reduced in the light exposed cells.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ytotoxicity and cell cycle prog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d light exposure used in tooth whitening therapy can cause unexpected effects on cells depending upon the exposure time. 전문가 미백 치료에서 여러 종류의 광원이 미백제의 광 활성을 위해 소개되어져왔다. 미백과정에서 광원은 과산화수소의 산화 환원 반응을 가속화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미백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원 중 하나인 red LED light가 인간 치은섬유모세포에 세포독성을 발휘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에서 사용하는 퀵 스마일(Quick Smile)을 red LED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본원 내원 환자의 발치된 구치로부터 치은 섬유 세포를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Red LED light의 광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은 광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그룹으로 설정하고, 실험군은 광조사 시간에 따라 12분, 24분, 48분 조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MTT, PI staining, TdR uptake, DiOC6 staining 등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 광조사 시 MTT 감소와 TdR uptake의 감소를 보였으며, DiOC6 staining에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PI staining 결과 광조사에 따른 apoptosis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red LED light는 인간치은섬유모세포의 cell viability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cell apoptosis를 일으키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 Frederic Chopin의 <Barcarolle Op.60>악곡 분석연구

        김희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프레데릭 쇼팽(Frederic Francois Chopin,1810~1849)의 1846년에 작곡된「바르카롤」<Barcarolle Op.60>을 분석 연구한 것으로서 생애와 시대적 배경, 음악특징을 통하여 각각의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 보려한다. 쇼팽(F.Chopin,1810-1849)은 19세기 낭만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피아노의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하였다. 고전파 음악의 정형화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작곡 형식을 추구하였으며 또한 유럽의 낭만주의 음악에 민족주의적 측면을 부각시키기 시작하였다. 곡의 분위기에 따라 셈여림과 빠르기가 자유롭게 변하고 장식음도 다양하게 등장하며 터치와 기교, 페달 등에서 그 가능성을 가장 극대화 했다. 또한, 폴란드 민족적 요소와 서정성을 결합시켜 아름다운 선율과 화성, 화려한 패시지, 등으로 독자적인 피아노 음악의 하나의 정점을 이루었다. <Barcarolle Op.60>은 후기 작품으로 그의 작곡기법의 특성이 잘 나타나있는 곡이다. 쇼팽의 바르카롤은 단 한 곡만 작곡되었으며 그의 가장 인기 있고 효과적인 작품의 하나이다. 베니스 곤돌라 뱃노래의 리듬을 가진 3부 형식으로 A-B-A’의 기본구조와 경과구와 코다로 작곡되었으며 비교적 자유롭게 쓰여진 작품이다. 서주에서 반복되는 반주 리듬으로 인해 물결 위의 흔들리는 배를 연상시키며 3도와 6도 음정을 이용한 주제를 가지고 있다. 이 곡에서 세 개의 주제가 나타는데 특히 세 번째 주제(sfogato)는 이탈리아적 취향이 나타난다. 이는 이탈리아의 오페라의 영향이기도 하다. 코다는 오케스트라적인 동시에 대위법적이기도 하며 긴장감을 곡의 끝까지 유지시키는 작곡기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하였다. <Barcarolle Op.60>은 쇼팽의 피아노 어법들의 특징을 완벽하게 표현해 낼 수 있는 작품으로 테크닉과 곡의 구조, 독창성과 곡에 비추어진 낭만주의의 특색을 잘 나타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research on <Barcarolle Op.60>, which Frederic Francois Chopin(1810~1849) composed in 1846, and intends to examine how eac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appears through his lifetime, background, and musical characteristic. Chopin(F.Chopin,1810-1849)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Romantic Age in 19th century, who pioneered new possibility of piano. He was not bound to the stereotypical form of classic music, but pursued free form of composition, and also, started to highlight nationalistic aspect in European romantic music. Along with the atmosphere of the melody, dynamic and speed freely changed, grace notes variously appeared, and the possibility of touch, technique, pedal, etc. was maximized, and it peaked an independent piano music with beautiful melody and chord, as well as splendid passage, etc. by combining Polish nationalistic element and lyricism. <Barcarolle Op.60> is his later work, which well shows the characteristic of his composing skill. Chopin's Barcarolle is the only one composed, which is most popular and effective work among his works. It has three-part form, which has the rhythm of Venice gondola boatman's song, composed with the basic structure of A-B-A, passage and coda, composed relatively freely. It suggests a boat which waves on the water, due to the repeated accompaniment in the introduction, and has the theme which used third and sixth key. This melody shows three themes, particularly, the third theme(sfogato) shows Italian taste. This also is the influence of Italian opera. Coda is orchestral and polyphonic at the same time, which successfully used composing skill to maintain tension to the end of the melody. <Barcarolle Op.60> is a work which perfectly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Chopin's piano language, which well showed technique, structure of melody, originality and romantic characteristic reflected on the melody.

      •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

        김희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나는 유년기 때 학급 내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경험을 겪었다. 따돌림이 주는 소외감은 언제나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이 경험은 이후 자신의 부재, 죽음에 대한 상상 에 사로잡히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상에 시달렸던 나는 평소 좋아하던 신화와 상상의 동물들을 그리는 것으로 불안을 해소했다. 특히 나만의 상상 속 동물들을 창조하고 그들만의 이야기를 상상하여 낙서로 남기는 행위는 그 시절의 본인에게 유일한 위안이 되 었다. 이 행동은 10대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오직 낙서로만 이루어졌던 이미지들이 본격적으로 화면에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학부 재학 시절부터였다. 당시 연속적으로 꾸었던 꿈이 계기 가 되었는데, 이때 꾸었던 꿈 이미지들은 잠에서 깨어난 직후에도 가끔씩 현실과 꿈을 구 별하지 못하게 영향을 줄 때가 있었다. 이 경험은 무의식적으로 품고 있었던 죽음에 대한 공포를 다시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4년 동안 꿈의 내용을 정리한 꿈 일기를 기록하게 되었다. 불안을 바탕으로 작성된 꿈 일기는 초기작인 <Oineroi>의 바탕이 되었고, 꿈 일기를 통 한 작업을 진행하면서 내가 두려워하던 불안의 잔재는 작품 활동을 통해 소멸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이후 작업에서는 소재를 꿈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여러 신화에 등장한 상징물을 대상으로 확장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고대인들은 본능으로 점철된 짐승들을 통해서 언제나 예상치 못한 위험들을 겪었고, 자연 안에 내재되어 있는 삶과 죽음의 반복적인 순환을 보았다. 이러한 위험들을 피하고 극복하 려는 염원과 바램의 결과물로, 수많은 신화와 종교, 예술에는 온갖 동물의 형태와 속성을 섞어 만든 ‘몬스터(Monster/怪物)’라는 형상들이 존재하게 되었다. 초월적인 힘을 가진 몬 스터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그 자체이자 생사의 순환을 내포하고 있는 자연의 이면이기도 하다. 몬스터들은 원초적인 공포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수호의 상징이나 숭배의 대상으 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효과는 여러 개체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몬스터’에서 부각된 다. 본인의 작품에 등장하는 생명체들은 개체와 개체의 혼합이 이루어진 존재, 하이브리드 (Hybrid)된 몬스터다. 하이브리드 몬스터에서 드러난 각 개체들의 분절된 신체는 고유의 속성을 지니고 있고, 서로 상반된 속성조차 그대로 공존시킨다. 하나의 몸으로 재구성된 몬 스터들이 내포하고 있는 동물성 에너지는 창조자인 사람의 심리를 대변한다. 따라서 하이 브리드 몬스터는 삶에서 경험하는 예상치 못한 위험들뿐만 아니라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 고자 하는 염원까지 담고 있는 인간의 대변자라 할 수 있다. 이것들은 비록 죽음에 대한 공 포에서 비롯된 존재지만, 존재를 환기시켜 다시 삶으로 회귀하려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전통적으로도 이러한 이미지는 초월적인 힘을 빌어 삶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주술적 상 징물인 벽사부적(僻邪符籍)의 형식으로 그려졌다. 사람에게 닥치는 세 가지 재해인 삼재 (三災)는, 병난(兵難)·역질(疫疾)·기근(飢饉) 또는 수재(水災)·화재(火災)·풍재(風災)를 말한다. 이때 액을 해결하기 위해 해결책을 구하는데, 그중 하나가 부적이다. 삼재부적 중 대표적인 것은 호랑이 그림과 머리가 셋 달린 매 그림인 삼두일족응부(三頭一足鷹符)다. 매는 무용, 재앙소멸, 사신의 역할을 담당하고, 호랑이는 맹수와 수호신이라는 토템적 이중 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원초적인 이미지는 주로 신화적 상징체계 속에 자리 잡고 있 다. 오래된 무덤의 부장품이나 벽화, 부적에 이러한 이미지들이 주로 등장하는 것은 이들이 인간의 무의식에 깃들어 있는 원형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우리는 이들을 통해서 원초적인 생명력에 대한 암시를 받는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The tale of disaster and his tail)>는 본인의 작품 속에 등장 하는 몬스터와 그들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 이야기의 명칭이다. 몬스터들은 서로 상반된 신 체와 고유의 속성을 지니면서 하나의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몬스터들이 내포하고 있는 신체의 모습과 속성들은 각 동서고금의 문화에서 생겨난 여러 신화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미 존재하는 이미지를 빌려와서 다시 재창조하는 이유는, 신화 속의 이미지와 상징물이 본 인의 작품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지금까지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한 계기가 되어주었 기 때문이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2>에서는 등장하는 삼두매(三頭鷹)와 뱀 꼬리는 작품 속에 등 장하는 대표적인 몬스터다. 몸통인 삼두매는 삼재 부적에 등장하는 삼두일족응부와 서양 의 중세 동물지에 등장하는 바실리스크(Basilisk)의 모습을 혼합시킨 이미지다. 몸통은 삼 재(병난, 역질, 기근)를 상징하는 세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가 잘려도 재난의 속 성은 없어지지 않는다. 삼두매는 외형적으로 뱀과 새를 혼합시킨 바실리스크의 모습을 가 지고 있어 주변에 나쁜 영향을 주지만, 그가 언제나 죽음이라는 단일한 속성만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몸통은 뱀의 모습을 한 꼬리를 가짐으로써 복합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뱀은 오래된 허물을 벗어서 늙음을 버리고 젊음을 되찾는다는 말이 있다. 뱀독 때문에 뱀 은 죽음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생명과 재생의 상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몸통과 꼬리는 선과 악, 삶과 죽음의 이미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서로 상반된 속성을 가진 몸통과 꼬리는 언제나 대립하는데, 이 모습은 죽음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치열하게 싸우는 삶의 모습을 상징한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4>에서는 뱀의 협력자인 족제비가 등장한다. 족제비는 생명을 상징하는 뱀에게 속한 존재로, 죽음에 맞서고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족제비는 치아교정기를 끼고 있는데, 삐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하게 하는 것은 정신의 안정과 신적인 교류 및 합일을 달성하려는 수행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족제비가 이상적인 신체 에 도달하려는 과정은 새로운 깨달음, 즉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족제비는 온갖 세속의 것들에 사로잡히는 어리석은 사람을 나타내기도 하는데,4 이는 수행을 하는 그가 언제든지 세속에 빠져 타락할 수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나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몬스터들의 행보는 36개의 연작으로 이어진다. 이 연작 시리즈 는 36달 동안 세상에 머무르는 몬스터인 재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죽음과도 다름없는 재난의 곁에는 언제나 그에게 적대적인 꼬리가 존재하는데, 재난과 그의 꼬리는 끊임없이 서로 대립하여 죽고 환생을 반복한다. 환생한 몬스터가 공포를 조장하거나 수호자의 역할 을 자처하는 모습은 삶과 죽음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두려움을 나타낸다. 원래 한 몸이었 던 재난과 꼬리는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여러 마리의 몬스터로 환생을 반복하다 마지막 장 면에서 다시 하나가 된다. 이는 생사의 순환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죽음과 생명의 에너지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자연의 모습과 삶으로 회귀하려는 사람의 염원을 함축적 으로 그려내고자 했다. 부적은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주는 의미 있는 상징물이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군인 이나 경찰, 소방관 등 위험에 노출되는 직업군을 가진 캐릭터들이 자신만의 부적을 몸에 소지하고 다니는 연출이 가끔씩 나온다. 이는 가상 속 이야기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에서부터 이어온 일종의 관습이기도 하다. 이와 유사한 경험을 한 일반인들도 존재할 것이다. 나에게는 작업들이 부적의 역할을 했다. 작품을 기획하고 그려내는 과정들은 몬스 터를 그리기 위한 여러 조합과 속성들을 생각하며 자신만의 창조물을 만드는 카타르시스 를 느끼게 만들었다. 또한 작품 속 몬스터들은 내 삶에 머물고 있던 죽음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게 도와주었고, 삶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해주었다. 이를 통해서 나는 삶으로 회 귀하고자 하는 소망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내가 나타내고자 했던 주제를 드러 냄으로써 작품을 바라보는 타인에게도 화면 속 몬스터를 통해 느꼈던 카타르시스와 에너 지를 느끼게 하고 위로를 주고자 한다.

      • 정서인식 척도 타당화 연구 - 하위 요인 모형 검증

        김희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정서 연구에서는 정서 인식에 초점을 맞추면서 정서 인식의 하위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 간 관련성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정서인식은 자발적인 주의, 비자발적인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과 정서출처 명확성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부 요인들의 구조 모형을 제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특히 정서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된 신체감각 인식요인은 정서 인식 하위 요인으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들에서 제안한 4가지 정서인식 하위 요인에 신체감각 인식요인을 포함한 5요인 정서인식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화하며, 하위 요인들 간 구조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과 신체감각 인식의 5개 요인을 포함한 45개 문항으로 정서인식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의 타당화 및 하위 요인들 간의 구조 모형 검증은 각각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온라인 리서치 전문 기관에 소속된 패널들로서 만 20∼39세, 고졸 이상, 성인 남녀 약 1,2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1에서는 Boden과 Berenbaum(2011), Boden과 Thompson(2015)과 Hung 등(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40개의 문항(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과 김희정과 송현주(2016)가 타당화한 Rieffe 등(2008) 척도 중 신체감각 인식 요인에 해당하는 5개 문항을 포함한 총 45문항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1200명 중 398명(표본 1)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200명 중 392명(표본 2)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CFI, TLI, RMSEA등을 통해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Rasch 문항 반응 이론에 따른 모형 검증을 통해 응답 범주의 적절성, 문항 적합도, 응답자 및 문항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과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 신체감각 인식의 5요인, 총 24문항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1200명중 396명(표본 3)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정서인식 5개 하위 요인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수용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성별, 연령 및 학력에 따라 일부 하위 요인들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실시결과, 검증된 모형은 성별,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는 포함하지 않았던 신체감각 인식 요인까지 포함한 정서인식 5요인 척도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와 모형 검증을 하였다는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정서인식 5요인 척도는 정서관련 병리의 평가 및 치료적 개입에 주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recent emotion-related studies are focusing on emotional awareness; studies to identify sub-factors of emotional awarenes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re being conducted. Putting the major studies together, emotional awareness consists of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and emotional source clarity. However, no study has yet presented a structural model of the sub-factors and tested its validity. Especially,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awareness and a sub-factor of emotional awareness, has not been examined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constructed and validated a 5-factor emotional awareness scale, including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in addition to the 4 emotional awareness sub-factors that recent studies proposed; a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was conducted for the sub-factors as well.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is study constructed an emotional awareness scale, with 45 items including 5 factor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and somatic sensory awareness. The validation of the above scale and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among the sub-factor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 study into Study 1 and Study 2.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out 1,200 adult male and female who belong to an online research institution, aged 20 to 39 years old, and whose academic level is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Study 1 conducted validation research regarding 45 question items, including 40 item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that Boden and Berenbaum(2011), Boden and Thompson(2015) and Huang et al(2013) used in their studies, and 5 question items that are included in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rom the scale of Rieffe et al. (2008), which was validated by Kim and Song(2016).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398 participants out of 1200 (Sample 1);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392 participants out of 1200 (Sample 2) and the goodness of fit was confirmed through CFI, TLI, RMSEA, and so on. The appropriateness of response category, item-fit index, and person-item-map were tested per Rasch’s item response theory. Finally, a reliability test and criterion validity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a total of 24 items and 5 factor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and somatic sensory awareness, were derived. Study 2, conducted on 396 participants of 1200 (Sample 3), verified the structural model of the 5 sub-factors of emotional awareness that this study assumed. The result of verifying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the model can be generally accepted as a suitable model. A multiple-group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me sub-factors pe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e tested model. This study primarily holds its significance for proposing a 5-factor scale of emotional awareness that includes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which previous studies have not included, and conducting validation of the scale and verification of the structure model. The 5-factor scale of emotional awareness that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is expected to mak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evalu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emotion-related patholog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컨테이너 정기선사의 정보제공 서비스 중요도 평가 연구

        김희정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가 변동,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국제해사기구 환경규제 강화,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 등 해운물류를 둘러싼 환경변화로 정보제공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선사와 화주는 운송수요와 운송공급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상호공생관계이며, 상호 간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 선사는 화주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선사의 정보제공서비스 향상을 위한 연구는 적으며, 특히 COVID-19로 인한 해운·물류 환경에 변화에 따라 필요성이 증가한 정보제공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선사의 정보제공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설문을 통하여 화주가 원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요소의 우선순위를 선정 및 종합 분석하여 컨테이너 정기선사의 정보제공 서비스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테이너 DAMG 정보, 선박입출항정보, 컨테이너 화물상태정보 등 화물의 상태나 위치에 관련된 정보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사와 운임 비교 정보, 클레임 진행 정보, 노선별 운임 정보 등 서비스 정보의 경우 현재 대비 미래 중요도로 인해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물 정보, 냉동 컨테이너 정보 등 부가가치가 높은 화물에 대한 정보의 개발우선순위 역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선석배정정보, 부두 반출입 정보, 선석배정정보의 경우 현재 대비 낮은 중요도로 인해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need for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is strengthening due to increasing global uncertaint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shipping logistics. For the mutual benefit and development between the shipper and the shipper, the shipper need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by the shipper accurately and quickl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o improve shipping companies'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whose need has in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shipping and logistics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suggest to investigate the currently provided information service of shipping companies and propose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service of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by selecting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priority of the information service elements desired by the shipper. As a result of IPA analysis and Borich demand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iori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us or location of cargo, such as container DAMG information, ship entry and departure information, and container cargo status information, was high. In addition, service information such as freight comparison information with other companies, claim progress information, and freight information by route showed high priority due to future importance compared to the present, and development priority of cargo with high added value such as dangerous goods information and frozen container information was also high.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iority was low due to the low importance compared to the present in the case of ship seat assignment information, dock entry information, and ship seat assignment information.

      • Detection of enteric viruses in surface water, finished water, and tap water by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and integrated cell culture-PCR

        김희정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urface water, finished water, and tap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from August 2001 through July 2005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ion Rule were evaluated by standard total culturable virus assay-most probable number method for monitoring viruses. All the cytopathic effect-positive cultures identified by the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method were also subjected to integrated cell culture-PCR method, respectively, for enteroviruses, hepatitis A virus, adenovirus, and reoviruses. A total of 348 sample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method for enteroviruses. Most probable numbers of infectious units per 100 liters for surface water samples and finished water samples ranged from 1.024 to 47.340. Ten of fourteen cytopathic effect-positive cultures of water samples (71.4%) identified by integrated cell culture-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human enteroviruses. Each eight of ten enteroviruses (80%) was different serotypes of coxsakieviruse type B, and the others were echovirus type 30, and vaccine strain poliovirus type 3, respectively. Among them, twelve of 14 cytopathic effect-positive cell cultures (85.7%) by integrated cell culture-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reoviruses. All the types of reoviruses were the reovirus type 1. It was observed that both enteroviruses and reoviruses were concurrently detected in eight cytopathic effect-positive environmental water samples (57.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