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자청을 첨가한 청포묵의 이화학적 특성

        김혜란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quality of mung bean jelly and to promote consumption of Yuza, citron. Mung bean jell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Yuzacheong (Product of sliced Yuza with sucrose) juice (0%, 5%, 10%, 15% and 20%) were prepar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pH, total acidity, color, appearance and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were analyzed. Moisture content of the mung bean jelly was highest in control group showing 87.14% and decreased as the more Yuzacheong juice added. pH of control mung bean jelly was 8.36 and decreased with addition of Yuzacheong juice showing the lowest pH value of 3.53 with 20% addition. Color of mung bean jelly, expressed as CIE values, was shown that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values of lightness (L*) and redness (a*), and more Yuzacheong juice led to decrease in the lightness and redness. However, Yellowness (b*) was lowest in the control group to increase with Yuzacheong juice showing highest value with 20% addition. In terms of texture, no differences in hardness, fracturability, gumminess and adhesiveness were observed among tested jellies. In comtrast,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with Yujacheong juice showing highest with 10% addition. The results of consumer preference test showed that in terms of overall prefernnce, the control group had the lowest value and the more Yuzacheong juice added, the higher the preference significantly (p<0.05). In all aspects of color, flavor, sweetness and texture, more Yuzacheong juice upgraded them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ach property’s frequencies using the CATA method showed that the mung bean jellies with strong tastes of soybean, rice water, starch, savory, unpleasantness and hardness were those with 0% and 5% of Yuzacheong juice. In addition, the jellies with strong tastes of grapefruit, citron, lemon, sourness, pineapple, citron flavor, mango and sweetness were those with 15% and 20% of Yuzacheong juice.

      • TPR에 근거한 유아 영어 피아노 지도에 관한 연구

        김혜란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TPR에 근거한 유아 영어 피아노 지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신체적 운동활동을 활용하여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전신반 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을 사용하여 유아학습자가 음악을 자 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음악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는 6세의 어린이와 그의 동생인 5세의 어 린이를 대상으로 3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5~6세 아동의 신체 발달 과정을 감안한 TPR을 활용한 교안을 만들었다. 수업은 세 가지 큰 주제로 진행하였는데 음의 높낮이와 셈여림을 구별 하고 익힐 수 있는 청음, 박자, 그리고 테크닉이다. 수업지도안은 Randal Faber의 “My First Adventure”와 송지혜의 “피아노 선생님이 주는 9가 지 선물”의 2가지 교재를 참고했다. 그 중에서도 아이콘 교수법은 다채로 운 색깔과 다양한 그림으로 되어 있어, 유아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내용을 이해시키기 쉬웠고, 신체발달에 맞춘 교구들 은 작은 신체의 어린이에게 적용하기에 적절했다. My First Adventure 교재에서는 챈트 및 노래 CD를 활용하여 유아 학습자가 지루하지 않게 참여할 수 있었고, 고정박을 통해 자연스럽게 리듬감을 익힐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교재로 유아학습자가 피아노 및 기본적인 음악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모든 수업은 TPR수업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레슨 플랜 은 지난 시간 배웠던 것을 반복 및 복습을 하고나서 새로운 주제의 활동 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마무리에는, 그 날의 학습을 정리하고 복습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업일지를 작성하여 그 날의 수업 경험을 반성하고 더 좋은 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로 유아 학습자들이 그림 및 교구를 사용하며, 신 체적인 운동 활동을 활용한 전신반응교수법(TPR)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유 아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기상반응에 의한 Lithia 안정화 Na-β"-alumina / YSZ 복합체의 상변환 거동 및 이온 전도 향상 연구

        金慧蘭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β-alumina is widely used as a solid electrolytes for Na-β-alumina batteries (NBB) due to high sodium conductivity. Conventional fabrication of β-alumina solid electrolyte (BASE) has a problem of sodium volatilization because it is fired on high temperature of 1600 ℃. Recently, to resolve the issue, the vapor phase method of ⍺-alumina and 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composite into the BASE at lowered temperature of 1450 ℃ was introduced. YSZ is an essential material in vapor phase method, but it does not conduct sodium ion, thus reducing sodium ion conductivity of electrolyte. In this study conversion kinetics according to YSZ content and selects YSZ content. The YSZ is a dominant factor of phase conversion, also conversion time can be greatly reduce. However, YSZ content in the vapor phase method has a higher content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rocess, thus the conductivity characteristic is reduc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β"-alumina, preliminary synthesize to add a sufficient amount of lithia. β"-alumina and YSZ composites fabricate by the vapor phase method. It is investigate that conversion kinetics according to YSZ content and  β"-alumina fraction, grain size, and ionic conductivity according to lithia content. β"-alumina and YSZ composite with 3 mol% lithia has the highest conductivity due to grain size and β"-alumina fraction. This results means that the conversion time can be optimized for the BASE fabricated by vapor phase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odium ion conductivity of β"-alumina through the preliminary synthesis.

      • 영화 <천사와 악마>에 나타난 한스 짐머(Hans Zimmer)의 음악적 특징 연구

        김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on the study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Angels & Demons (2009)>, directed by Ronald William Howard (1954~ ) among the musical works of soundtrack composer Hans Zimmer (1957 ~ ). Hans Zimmer, following his soundtrack works in the early stage of having joined the soundtrack industry in England, moved to Hollywood and has been accumulating filmographies in a diverse range of fields including movies, TV dramas and games, etc. The movie, <Angels & Demons>, which depicted the process of disclosing the conspiracies surrounding the doubtful secret society of Illuminati and the Catholic Church, is based on the original novel by Dan Brown (1964) under the same title and is the sequel to the previous movie, <The Da Vinci Code (2006)>. The central theme of suspicion associated with Illuminati, which had been oppressed by the Catholic Church for more than 500 years, is a story that can elicit great deal of interest in all audiences. On the strength of the outstanding success of the original novel, the movie was produced in a 3-sequel series up to the movie, <Inferno (2016)>. Director Ron Howard and Hans Zimmer worked together on all 3 movies and <Angels & Demons> is the second movie of this series. This movie is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mystery genre for disclosing of conspiracy and thriller genre of pursuing the culprits to save the characters confronted with imminent crisis and threats. Studying which musical grammars Hans Zimmer used to exhibit the aforementioned themes and genre characteristics is the goal of this thesis. For this purpose, all music used in the movie was analyzed on the foundation of their correl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cenes in the movie. As the first step, it was attempt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by examining the flow of Hollywood thriller films. In this preceding study stage, it was attempted to obtain the background knowledge for the analysis of this mystery thriller genre work, <Angels & Demons>, by making inquisitions with focus on the most popular mystery and suspense movies among thriller films in Hollywood. Then, all the works of Hans Zimmer, ranging from his early stage works to the most recent works,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into each genre. After having assessed genr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in the works of Hans Zimmer, his music contained in <Angels & Demons> (a total of 39 pieces) were analyzed in depth.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as it can be seen from the title of the movie, his music utilized themes or motifs to express ‘angel’ and ‘devil’. In addition, use of the ‘theme of Camerlengo’, who is the character for beginning of all conflicts, fortifies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equipped with reversal of events. Moreover, as the result of having reflected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onto music, it can be seen that ‘deduction motif’ was used whenever the leading character makes deduction of the series of events. These themes or motifs made sounds more abundant and voluminous by suing orchestra, electronic music and sound effects together. Such group of musical instruments that is maintained long like pad sounds consistently maintains the mood of the mystery movie. On the contrary, dramatic sense of tension was markedly elevated through the use of rhythmical percussion instruments and acoustic instruments used in the manner of percussion instrument for the chasing scenes. Since Vatican is the background of the movie, it is possible to find various examples of the use of church music formats, with the foremost characteristic of use of only male voices in the chorus part with exclusion of female voices. This male-only chorus part composed of boys, baritone and bass portrays the Church by singing mode melodies. Although the temporal background of the movie is the modern era, the locational background uses Vatican as the stage. As such, it is interpreted that Hans Zimmer used medieval church music formats. As illustrated, Hans Zimmer is effectively conveying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along with the dichotomous theme of Angels & Demons, and religion and science by utilizing his own unique musical grammar. That is, Hans Zimmer is assisting the audiences to immerse themselves and understand the movie better through the music that thorough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director in production of the movi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beneficial preceding research material in pursuing further researches on the works of soundtrack musician and composers including Hans Zimmer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영화 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Hans Zimmer, 1957~)의 작품 중 론 하워드(Ronald William Howard, 1954~) 감독의 영화 <천사와 악마(Angels & Demons, 2009)>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한스 짐머는 영화 음악에 입문한 초창기 영국에서의 작품 활동에 이어 할리우드로 건너가 영화, TV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모그래피를 쌓아가고 있다. 의문의 비밀 조직 일루미나티와 교회를 둘러싼 음모를 밝히는 과정을 그린 영화 <천사와 악마>는 댄 브라운(Dan Brown, 1964)이 지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전작 <다 빈치 코드(The Da Vinci Code, 2006)>의 속편이다. 500년간 교회로부터 억압을 받아온 일루미나티와 관련된 의혹이라는 소재는 누구에게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이야기이며, 원작 소설의 흥행에 힘입어 영화는 <인페르노(Inferno, 2016)>까지 세 편의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이 세 편을 통틀어 감독 론 하워드와 한스 짐머가 함께 작업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천사와 악마>는 이 시리즈 중 두 번째 영화이다. 이 작품은 음모를 밝히기 위한 추리 과정과 위기에 처한 인물들을 구하기 위해 범인을 추격하는 스릴러적인 장르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러한 소재와 장르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한스 짐머가 어떠한 음악적 어법을 사용했는지 연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모든 음악은 영화 장면과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분석되었다. 그 첫 단계로, 할리우드 스릴러 영화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장르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나 그 범위가 넓은 스릴러는 액션, 판타지, 전쟁 등의 타 장르와 결합하여 새로운 장르가 탄생하기도 하므로, 세분화하자면 그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다. 그러므로 이 선행 연구 단계에서는 스릴러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미스터리와 서스펜스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인 <천사와 악마>의 작품 분석을 위한 배경 지식을 얻고자 했다. 이어서 한스 짐머의 초기 작품부터 최근 작품까지를 살펴보고, 이 작품들을 장르별로 분류하였다. 장르적 특성과 한스 짐머의 작품 경향을 파악한 후 본격적으로 <천사와 악마>의 음악(39곡)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음악은 ‘천사’와 ‘악마’를 표현하기 위해 테마 혹은 모티브를 활용하였다. 또한 모든 갈등의 시작인 인물 ‘궁무처장 테마’의 사용은 반전을 지닌 인물의 성격을 강화한다. 더불어 미스터리 스릴러라는 장르를 음악에 반영한 결과로, 주인공이 추리를 할 때 마다 ‘추리 모티브’가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테마 혹은 모티브들은 오케스트라와 전자 음악 그리고 사운드 이펙트(Sound Effect)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운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악기 사용만큼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남성 합창의 사용인데, 주로 장면에서 교회가 등장할 때 소년, 바리톤, 베이스로 구성된 이 남성 합창 파트가 선법 선율을 아카펠라 혹은 안티포날 형식으로 노래하면서 배경을 묘사하였다. 영화의 시대적 배경은 현대이지만 장소적 배경은 바티칸을 무대로 하기 때문에 한스 짐머는 중세 교회 음악의 양식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렇듯 한스 짐머는 자신만의 음악 어법을 활용하여 천사와 악마 그리고 종교와 과학이라는 이분법적인 주제와 더불어 미스터리 스릴러라는 장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즉 한스 짐머는 감독의 연출 의도를 반영한 음악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대한 몰입과 이해를 돕고 있다. 앞으로도 한스 짐머를 비롯한 영화 음악가들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에 본 연구가 유익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요한계시록 12장에 나타난 세 모티프(motif) 중첩사용 연구 : 여자-뱀 후손의 대결 구도 모티프, 출애굽 모티프, 거룩한 전쟁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혜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그동안 요한계시록 12장을 신화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종말적 전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요한계시록이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해석적 전통들 가운데 서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락마다 세 모티프들을 중첩 사용하여 종말적 거룩한 전쟁을 기술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신화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요한이 왜 세 모티프를 각 단락(계 12:1-6, 7-12, 13-17)마다 중첩 사용하여 교회와 사탄 간의 종말적 전쟁을 기술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모티프를 중첩 사용한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을 다음과 같이 살펴볼 것이다. 제1부에서는 신약의 구약 사용 방법론을 살펴보고 요한계시록 12장에 등장하는 세 모티프를 연구한 학자들의 연구사를 개괄하여 기여 및 한계를 짚어 본다. 특히 요한계시록은 인용보다는 암시(allusion)의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기에 여기서는 암시의 4가지 판별 기준을 토대로 분석할 것이다. 제2부와 3부에서는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 나타난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을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째, 여자-뱀 후손 간의 대결 구도 모티프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는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는 ‘여자의 후손’을 개인적 의미의 메시아와 집합적 의미의 하나님 백성으로 본다. 지금까지는 창세기 3:15의 선언을 원복음으로 이해하여 메시아를 통해서만 성취될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연구를 통해 이 예언이 하나님의 백성을 통해서도 재현되고 당대에 성취되어 왔음을 규명할 것이다. 둘째, 세 모티프들은 독립적인 관계가 아닌 중요한 신학적 주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3:15에서 시작된 여자의 후손과 뱀의 후손 간에 대결 구도가 민족적 차원으로 발전한 것이 출애굽 모티프이며, 이 대결 구도 가운데 거룩한 용사이신 하나님이 개입할 경우 거룩한 전쟁 모티프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티프 상호 간의 관계를 통해 각 모티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모티프들을 연결시켜 주는 개념은 바로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 그리고 ‘하나님의 계명 순종’이다. 제4부에서는 2부와 3부의 연구를 토대로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거룩한 전쟁 신학이 무엇인가를 다룬다. 여기서는 당시 로마 황제 숭배라는 위기로 인해 핍박과 순교의 상황 가운데 있는 교회 공동체를 향해 요한이 세 모티프의 렌즈로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점에서 세 모티프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해석하는데 다음과 같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첫째, 요한계시록 12:9는 여자의 후손인 메시아가 뱀의 후손인 사탄을 쳐서 승리하였음을 선언함으로써 창세기 3:15의 성취를 보여준다. 이 승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계 12:11). 메시아가 사탄의 머리를 쳐서 이미 승리한 전쟁이지만, 지상에 있는 교회 공동체는 아직 남아 있는 두 짐승과 싸워야 한다. 전자는 기독론적 관점에서 거룩한 전쟁을 묘사하며 후자는 교회론적 관점에서 사탄과 영적 전쟁을 기술한다. 요한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 여자의 후손을 메시아와 하나님 백성으로 보는 해석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둘째, 요한계시록 12:17은 사탄과 싸우는 교회를 향해 ‘여자의 후손의 남은 자들’로 지칭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공동체’로 제시한다. 여기서 ‘하나님의 계명 순종’은 사탄과 싸우는 중요한 전쟁 무기에 해당한다. 요한은 지상에서 사탄과 남은 전쟁을 싸워야 하는 교회 공동체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함으로 싸워야 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세 모티프는 요한계시록 12장에서 제시하는 전쟁 신학의 뼈대를 이루며 이러한 전쟁 신학은 이방 신화의 전통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요소들이다. 결론적으로 논자는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 연구를 통해 요한계시록 12장이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해석적 전통 가운데 있으며 창세기 3:15의 거대한 구속의 역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를 다룰 것이다. 이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단편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전통을 통해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interpret Revelation 12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was destined to face limitations in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what the apocalyptic war presented in Revelation 12 would look like. The reason for it lies not only in the fact that the Book of Revelation stands in the midst of interpretive traditions of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but also in description of apocalyptic, holy war using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in an overlapped mann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mythical interpretations and to identify why John seeks to describe the apocalyptic war between the church and the satan by the use of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Revelation 12:1-6, 7-12, 13-17).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take a look into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used the three motifs in an overlapped manner as described below. Part 1 examines the methodology of interpreting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New Testament, outlines the history of researches conducted by scholars who studied the three motifs in Revelation 12 and summariz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In particular, Revelation uses allusion rather than citation, so analysis will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of differentiation. Part 2 and 3 examine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that are seen in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Old Testament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make an implicit use of the motif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regard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s an individual meaning and the God’s people in the collective sense. So far, we have understood the declaration in Genesis 3:15 as protoevangelium and something to be fulfilled through the Messiah only. In this vein, this paper will estab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this prophecy was reproduced through the God's people and was fulfilled in their time as well. Second, the three motifs are closely linked to important theological topics instead of being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It is the Exodus motif that develop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into the ethnic level, and into a holy war if God, the divine warrior, intervenes in this confrontation.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se motifs reveal that they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e concept of links these three motifs is 'God's salvation and judgment' and ‘obedience to the God's commandment.' Part 4 deals with the holy war theology presented in Revelation 12 according to the study in Part 2 and 3.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what message John is trying to convey through the lens of the three motifs to the church community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martyrdom caused by the crisis of Roman emperor worship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three overlapping motifs presents the following new insights in interpreting Revelation 12: First, Revelation 12:9 shows the fulfillment of Genesis 3:15 by declaring that the Messiah, the woman’s descendant, defeated and triumphed over the Satan, the serpent’s descendant. This triumph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Revelation 12:11). It was a foregone victory of the Messiah upon hitting the satan’s head but the church community on earth must fight still against the remaining two beasts. The former describes the holy war from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while the latter depicts the Satan and a spiritual warfare from an ecclesiastical perspective. John follows the interpretive tradition that views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nd the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Second, Revelation 12:17 refers to the church fighting against the Satan not only as the "remnants of the woman’s offspring" but also as the "community that keeps the God’s commandments". 'Obeying God's commandments' in this context is an important weapon to fight against the Satan with. John emphasizes that the Church community destined to fight the remaining wars against the Satan on earth should fight by testifying Jesus Christ. As such, the three motifs constitute the framework of war theology in Revelation 12 and this holy war c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alien mythology. In conclusion, Revelation 12 stands in the midst of the interpretiv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sm through research into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enormous history of redemption of Genesis 3:15 has developed.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theological basis that could give a comprehensive of Revelation 12 instead of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it through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c traditions.

      • 요한계시록 1:1-8 연구

        김혜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까지 세대주의자들은 계 1:1에 있는 '반드시 속히 될 일'(□ δε□ □εν□σθαι □ν τ□χει)을 재림 직전에 일어날 일로 여겨 왔다. 그래서 요한걔시록의 내용을 미래에 이루어질 일로만 보아왔다. 그런데 이 책 전체 문맥과 구약의 배경을 살펴 볼 때 단지 미래적 일 뿐 아니라 초림과 재림 사이에 일어나는 일을 포함하고 있다. 왜냐하면 '반드시 속히 될 일'(□ δε□ □εν□σθαι □ν τ□χει)이라는 표현은 요한계시록 안에서 다른 표현들과 혼용하여 쓰이는데, 4:1에 있는 □ δε□ □εν□σθαι μετ□ τα□τα는 문맥을 고려하여 볼 때 초림이후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2절에서는 요한의 계시의 내용인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의 증거(τ□ν λ□□ον το□ θεο□ κα□ τ□ν μαρτυρ□αν □ησο□ Χριστο□)를 언급하는데 이 표현 역시 요한 계시록에 여러 번 나타나며 초림과 재림사이에 있을 핍박과 순교의 정황에서 사용됨을 볼 수 있다. 3절에서 '때가 가깝다'(□ καιρ□ς)는 표현은 □□□□ς의 용례를 통해볼 때 미래적 의미 뿐 아니라 현재적 의미를 나타낸다. 4-6절은 서신의 형식으로 인사말(4-5d)과 송영(5e-6)으로 이루어진다. 전자에서는 은혜와 평강의 기원으로 삼위 하나님을 설명한다. 성부 하나님은 삼중형식으로 표현되는데 단지 과거에 계신 분이 아니라 현재 고난 가운데 있는 성도들과 함께 하시여 종말의 완성을 위해 오시는 분이다. 성령 하나님을 나타내는 '하나님의 일곱 영'은 스가랴 4장을 배경으로 볼 때 '일곱 등불'(계 4:5)과 '여호와의 일곱 눈'(계 5:6)과 연결된다. 이것은 5:6에 있는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과 연관하여 볼 때 초림이후 그리스도의 구속 역사와 관련된다. 5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설명하는 '신실한 증인', '죽은 자들 가운데 먼저 나신자', '땅의 임금들의 머리되신 분', 십자가로 인한 구속사역을 이루신 분'으로 설명되는데 모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및 교회의 핍박과 연결된 표현으로 초림 이후에 초점을 둔다. 6절에 '우리를 와과 제사장들로 삼으신 것'은 출 19:6에 있는 약속이 종말적으로 성취된 것이다.

      • 타케미츠 토루(武滿 徹:Takemitsu Toru)의 영화음악에 나타난 전통음악 수용의 작곡기법 연구 : <란> 작품을 중심으로

        김혜란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양음악의 도입 이후 각국의 음악문화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다. 이 과정에서 서구 중심적인 사고와 그에 따른 전통음악에 대한 경시는 20세기 전반 동아시아 음악문화의 공통된 현상이었다. 새로운 창작에서 현대성을 획득하는 문제가 각국의 문화적 토양으로서의 전통에서 가능하다는 인식은 서양음악의 수용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영화는 음악의 영역과 기능 역시 과거에 비해 매우 넓고 다양해졌기 때문에 영화음악의 창조적 과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의 작곡가<타케미츠 토루>가 영화음악 작곡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란』의 음악을 분석하여 일본 전통음악과 서양악기를 사용하여 영상에 함께 쓰였는지 영상과 음악의 매치와 사용, 그리고 영화의 극의 진행과 맞물려 어떻게 등장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그의 작품을 직접 채보하여 영상과 음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음악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먼저 그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현대음악 작품에 걸쳐 드러난 특징과 영화음악 작품세계를 통한 음악적 배경과 독특한 스타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란』은 1985년 영화이며 서양의 대표적인 문학, 셰익스피어 작품 중, 『리어왕』을 동양적으로 각색한 것으로 색채적인 영상과 일본 전통음악을 함께 사용하여 일본 전통음악과 서구의 현대음악이 어떻게 융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서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은 단순히 배경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기능으로 그가 나타내려고 하는 음악의 기능으로 이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적 경향들과 함께 그의 내면의 작품 세계관까지도 들여다보기로 한다. Sinc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usic, many nations' music culture underwent great changes. In this process, West-centered thoughts and dismissal of the traditional music were the common phenomena in the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erception that acquisition of modernity in new creations would be feasible based on the tradition as a cultural soil emerged belatedl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Western music had come to be much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owing to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domain and functions of music have been wider and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requiring a creative challenge for film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apanese composer Takemitsu Toru's film music, focusing on director Kurosawa Akira's film "Ran" for which he had composed music and thereupon, examine how Japanese traditional music was mixed with the Western music and how music was harmonized with video images and thereby, review how music proceeded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he film scenes. In order to examine Takemitsu Toru's music styles, the researcher sampled his music piece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ideo images and music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al elements. Then, the researcher reviewed his lif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his contemporary music works, his musical background and unique styles. Kurosawa Akira's film "Ran" was produced in 1985, dramatizing in an Oriental way Shakespeare's "King Lear" representing the Western literature.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 colorful video images were mix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music to harmonize the Japanese traditional music with the Western contemporary music. Besides, the researcher examined not only Takemitsu Toru's background music for the film but also his inside world of art represented as the musical tendencies or the psychological functions he wanted to show.

      • 문화자본이 문화유산의 관광경험과 관광지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 한·일 관광객의 세대별 비교

        김혜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외 관광 분야에서 문화유산관광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것과 동시에 관광객 역시 증가 추세에 있다. 문화유산관광은 일반적인 관광과 달리 역사나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관광이며, 이러한 관광을 즐기는 관광객 들은 일반 관광객과 다른 문화적 특성이 존재할 것이다. 일반 관광객과 다른 문화적 특성을 Bourdieu의 문화자본론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문화유산 관광지에서 관광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고자 할 것이며, 이러한 문화유산의 관광경험과 관련하여 즐거움, 진정성, 교육성, 가치 추구의 네 요인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문화유산관광은 역사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세대(generation) 간에 따라 문화유산의 관광경험은 달라질 것이고, 문화유산 관광경험을 통하여 해당 관광지나 지역사회에 애착을 느끼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의 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이 문화유산의 관광경험(tourism experience)과 관광지 애착도(place attachmen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문화자본을 상속자본(inheritance capital)과 획득자본(acquisition capital)로 구분하고, 관광지 애착도를 장소 의존성(place dependence)과 장소 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 귀속감(place belongingness)으로 구분하여 문화유산의 관광경험과 관광지 애착도에 문화자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유산 관광경험의 즐거움, 진정성, 교육성, 가치 추구의 네 항목에 획득 자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속자본은 진정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유산 관광경험의 즐거움, 진정성, 가치 추구는 장소 의존성과 장소 귀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성은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자본이 문화유산 관광경험과 관광지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알아본 결과, 성별과 국적, 상속자본과 획득자본, 문화유산 관광경험의 즐거움, 진정성, 가치 추구가 단계적으로 관광지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에 따른 문화유산 관광객에 대한 적절한 마케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interest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have been upsurging in field of the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m, and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tourists who pursue cultural heritage tourism also increases. Cultural heritage tourism reflects interest in history or cultural tourism, unlike the general tour and tourists who enjoy these tours have different cultural attributes from the general tourists. The above cultural attributes would be introduced by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In addition, tourists may seek new experiences in Cultural heritage tourists attraction and it shows 4 factors that are classfied as "Pleasure", "Authenticity", "Education" and "Pursuit Value" in connection with these experiences. And because Cultural heritage tourism implies historical factors, it can be changed tourism experience between generation that share the same historical experiences and can be felt attachment to applicable tourist attractions and community. Therefore, purposes of this study survey perspective of Cultural Capital and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and place attachment intended for Korean and Japanese tourists who visit one of the foremost tourists attractions "BulGukSa" in Korea.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ould be divided "Inheritance Capital" and "Acquisition Capital" and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and "Place Belongingness" and the analysis shows belows, Firstly, it is ascertain that Acquisition Capital has effect on Pleasur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experience, Education, Authenticity and Pursuit of value. Secondly, "Pleasur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experience, "Authenticity" and "Pursuit of Value" have a influence on Belongingness but Education exert weak influence. Lastly, it has studying stage by stage Gender, Nationality, Inheritance Capital, Acquisition Capital, Pleasure of tourism experience, Authenticity and Pursuit of Value have influence in stages the results that Cultural Capital. It has been disscussed proper marketing strategy on the result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