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dentification of gut microbial marke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ns via machine learning

        김현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계 학습을 이용한 한국인 염증성 장 질환의 감별 진단을 위한 장내 미생물 표지자 식별 김현우 생명정보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비록 염증성 장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지 만, 최근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과 관련될 수 있다는 연관 성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는 한국인 IBD 환자와 건강한 개인들의 대변에 서 독특한 미생물 군집 패턴을 조사하고 질병 예측을 위한 잠재적인 장 내 미생물 표지자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전향적인 다중 센터 연구는 염증성 장 질환 환자 (CD: n = 671, UC: n = 114) 및 건강한 대조군 (HC: n = 1,46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6S rRNA 유 전 서열 분석을 사용하여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였습니다. 알파 다양성 분석 결과, IBD 환자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 예측 모델은 IBD와 HC 를 구분하는 데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평균 정확도: 0.95 및 AUC: 0.992), CD와 UC를 구별하는 데도 우수한 정확도 (0.945)와 AUC (0.988) 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IBD 환자에서 관찰된 독특한 장내 미생물 군집 패턴을 강조하며, 잠재적인 장내 미생물 표지자에 대한 가치 있는 통찰 력을 제공합니다. Identification of gut microbial marke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ns via machine learning Kim, Hyeonwoo Department of Bio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Although the exact cau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yet, recent studies suggest associations with an dysbiosis in the gut microbiom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unique microbial community patterns in the feces of IBD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Koreans and identifying potential gut microbiome markers for disease prediction.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CD: n = 671, UC: n = 114) and a healthy control group (HC: n = 1,462) for gut microbiota analysis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α-diversity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iversity of the stool microbiome in IBD pati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HC groups. The disease prediction model demonstrated high performance in classifying IBD from HC (mean accuracy: 0.95 and AUC: 0.992) and performed well in discriminating between CD and UC, with good accuracy (0.945) and AUC (0.988). These results highlight the distinctive gut microbial community patterns observed in Korean IBD patients and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potential gut microbial markers.

      • 20세기 이후 미술에 나타난 시각예술작품과 행위의 교차성 연구 : 사례 작가 고찰과 본인 작품 해석을 중심으로

        김현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concerning the concept of ‘action’ in the fields of artincluding installation and sculpture since the 20th century. My work displays a communication involving the ‘artist′s action’ and the ‘viewer′s engagement.’ My work consists of deleting two-dimensional work and a performance approaching the viewer. I also present works made of everyday materials which are installed in the venue to allow viewers to walk through them or to enter them. This is intended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my work and viewers by leading them to direct involvement with my work. I ultimately do this with the intention to make art and everyday life coexist. I pursue contingency and suggest everyday life through the form of action and participatory artworks. In contemporary society, works of art are rapidly consumed through the Internet and TV. My work is based on the form of ‘action’ to allow art to communicate with viewers more directly. I concentrateon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formal features of ‘actions’ appearing in art history for an in-depth study into my own work. With this I intend to grasp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visual artwork’ and ‘action’. ‘Action’ has been a means to express the more expanded scope of everyday life, proceeding to an anti-artistic form of established conventional art style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aily object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visual artworks. To do this, I research daily objects adopted in art in relation with the ‘collapse of aura’, the concept art philosopher Walter Benjamin argued. I have also studied ways of appreciating my installation work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tactility’, a way of appreciation involving viewers by Benjamin. I have chosen action painting by Jackson Pollock as an example of artworks involving ‘action’. For this study, I examine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by Harold Rosenberg. I have also studied minimalist′s use of things and their performative perspectives in a bid to account for modeling quality repetitively and regularly appearing in my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 I have especially studied theatricality aroused from viewer ‘actions’ in L-Beams, a variable installation by Robert Morris. I research the concept of Fluxus to assimilate the amalgamative form of action and everyday objects in works of art. Allan Kaprow′s action collage involving action and happenings involving chance elements and viewer engagement has also been one of the main topics of my work. I have further studied Score by Fluxus artist George Brecht who proposed to complete a work of art with simple text involving viewer action. Another significant point in my research to interpret my own work is Robert Rauschenberg′s Erased De Kooning Drawing displaying a process of action of deleting and Decollage by Wolf Vostell who tried to shed fixed notions through an action of deleting or depriving some part of his works. I examine Robert Rauschenberg′s ‘technological combine’ to account for viewer participatory art marrying technology, engineering and art in my works,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between my work and Cornelia Parker’s installation. I also study the process of how I execute my work and the process of how the viewer joins based on the artists and their works above mentioned. I criticize conventional attitudes concerning the direction art should take in contemporary society, leading viewers to their active involvement through work in my work. Moreover, I explore how to heal contemporary people′s anxiety through happenings. As a result, I have discovered a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action’ in art makes the sphere of life seep into part of an artwork in art since the 20th century, breaking away from preexisting conventional form and mode. With this, I could conduct an in-depth study on how the form of my work is associated with presented ‘action’. 본 논문은 20세기 이후 설치 조각을 포함한 미술 영역에서 ‘행위(Action)’의 개념이 교차하는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작가의 행위’와 ‘관객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소통 형식이 나타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의 일부는 평면 작업을 지우는 행위와 관객에게 다가가는 해프닝이 포함된 퍼포먼스로 구성된다. 또한 연구자는 일상성이 묻어나는 소재로 전시장의 조각적인 설치 미술을 통해 작품 사이를 걸어 다니거나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품 안으로 들어가 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형식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객이 작품에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작품과 관객 사이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방식을 채택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예술과 일상적 삶을 공존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다. 연구자는 미술 작품의 곳곳에 나타난 행위, 참여라는 형식을 통해서 ‘우연성’을 추구하며 일상적 삶을 은유한다. 현대 사회에서 미술 작품은 미디어 매체인 인터넷과 TV를 통해 브라운관의 이미지로 빠르게 소비된다. 연구자의 작품은 이런 흐름 속에서 예술이 보다 관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미술을 위해 ‘행위’의 형식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본인 작품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미술에서 나타난 행위의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의 영역에서 나타난 ‘시각예술작품’과 ‘행위’의 교차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행위는 기존의 전통적 미술 형식을 거부하는 반 미술적 예술 형식으로 나아가는 현상 속에 보다 확장된 일상의 영역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각예술작품의 일상적인 사물의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술 철학자인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제기한 ‘아우라의 붕괴’와 연관하여 예술에 등장하게 된 일상적 오브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벤야민의 관객 참여의 감상 행위인 ‘시각적 촉각성’의 개념으로 본인 작품에서 등장한 설치 미술의 감상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에서 ‘행위’가 결합된 미술 작품의 연구 배경으로 잭슨 폴록(Paul Jackson Pollock)의 액션 페인팅을 선정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비평가 헤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의 폴록에 대한 해석이 고찰되었다. 그리고 본인 설치 조각 작품에 나타난 반복적이며 규칙적인 조형성을 설명하기 위해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사물을 이용한 규칙적인 수행의 관점을 연구하였다. 특히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의 가변설치 작품인 <L-Beams>을 통해 설치 작품의 연극성과 관객의 관람행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예술작품에서 행위와 일상적 오브제의 융합적인 형식을 알아보기 위해 플럭서스(Fluxus)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플럭서스 작가인 알렌 캐프로우(Allan Kaprow)의 행위가 가미된 액션 콜라주(Action Collage)와 우연적 요소로 관객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해프닝(Happening) 역시 중요한 논지였다. 아울러 간략한 텍스트를 통해 관객의 행위를 유도하여 작품을 완성시키는 것을 제안한 플럭서스 작가인 조지 브레히트(George Breeht)의 스코어(Score)를 고찰하였다. 본인 작품의 해석을 위해 지워내는 과정을 결과물로 드러낸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지워진 드쿠닝의 그림(Erased De Kooning Drawing)>과 작품을 지우거나 박탈하는 훼손 행위를 통하여 고정관념의 편견을 흔들고자 한 볼프 포스텔(Wolf Vostell)의 데콜라주(Decollage) 역시 중요한 연구의 관점이었다. 이외에 코넬리아 파커(Cornelia Parker)의 설치 작품을 통해 본인의 설치 작품과 비교 연구하였으며 본인 작품에 드러난 기술적, 공학적 예술의 결합을 통한 관객 참여 미술을 설명하기 위해 라우센버그의 공학적 컴바인(Technological Combine)을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한 선행 연구 작가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에서 드러난 ‘행위’의 표현 방식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작품을 완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본인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과 관객이 참여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작품 활동에서 행위를 통해 관객에게 작품과의 거리 좁히기를 유도하고, 현시대의 사회에서 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관성적인 태도에 머무르는 것을 비판하였다. 더불어 본인은 참여미술을 통한 현대인의 불안과 치유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미술을 통해 미술 영역에서의 ‘행위’ 개념이 기존 형식적 양식의 틀을 벗어나 삶의 영역을 작품의 일부로 스며들게 하는 과정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의 형식에서 제시된 ‘행위’와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었다.

      • 직장인의 근로시간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김현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로 근로시간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 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근로자 2,448명이었다. 인구·사회적 특성, 직업특성, 건강행태 특성, 건강상태 특성, 근로시간을 독립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에서는 52시간 초과 근로하는 사람이 40시간 이하 근로하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인지율이 1.7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52시간 초과 근로하는 사람이 40시간 이하 근로하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인지율이 1.8배 높았다. 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수준 향상을 위하여 기업들이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장치와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stress by gen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48 workers aged 19 to 65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hour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en, those who work longer than 52 hours have a 1.7 times higher stress perception than those who work less than 40 hours. In women, those who work longer than 52 hours have a 1.8 times higher stress perception than those who work less than 40 hours. Variou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supports are needed to help companies comply with statutory working hours for worker's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improvement.

      • 산업용로봇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김현우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production technology is gradually developing due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Recently,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combined, and their us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s the robot industry develop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robots is gradually expanding as they replace human labor. As the demand for industrial robots increases, the number of injured persons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Recently, the risk of industrial robot-related accidents and deaths is very high, so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revent robot-related accidents from occurring.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relatively safe compared to general manufacturing facilities, but in reality, when looking at the disaster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accident intensity was twice as high for robot work with 707.5 days compared to 351.7 days for general work, even when looking at the average labor loss of the injured.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industrial robots, they still only pursue productivity and convenience, and lack of interest in various safety devices and safety measure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industrial robot market and prepare for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to industrial robot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through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recent accident statu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industrial robots. A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industrial robot work is needed to determine how much ha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current field 10 years after the robot situation in 2011.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trengthen safety measures for robots and reduce industrial accident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llow-up research base based on the data on the disaster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of industrial robots.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industrial field until 10 years from 2011 to 2021. As a result, in cases where there are no legal matters and safety inspections for industrial robots, there is no sense of necessity. appear. In addition, in the actual field, the distinction between machines and robots was not clear, causing confusion in some ca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efinition of industrial robot terms and safety inspection items should be added, and safety awareness through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was studied to be strengthened. As the robot industry develops, research on safety related to robots as well as industry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 사회과 목표와 실행된 수업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의 양상 : 내용교수지식(PCK)의 발현 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의 목표와 실제 수업 사이에 괴리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하여 사람들은 입을 모아 입시제도나 교육과정과 같은 교사 외적 요인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입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중학교의 사회과 수업 역시도 사회과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고차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해 삽입된 교과서의 다양한 탐구활동들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이러한 이유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괴리가 나타나는 원인을 교사의 내적 요인, 특히 교사의 전문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수업의 의미와 좋은 수업의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는 각 교과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오직 수업을 통해서만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수업이란 ‘학습자의 내적, 외적 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으로 학습의 목적과 의도가 담긴 계획적인 활동’이며, 이 목적과 의도를 정확히 달성할 수 있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다. 다음으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여러 견해들 가운데, 교과의 특수성에 대해 주목한 슐만(Shulman)의 ‘교과 전문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과 PCK의 구성요소와 이것이 발현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과의 PCK가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이해로부터 발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과의 목표에 대해 상세히 검토하였다. 사회과는 본질교과라는 특성으로 인해 그 탄생의 순간부터 목표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사회과의 탄생 배경과 발달과정,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대립을 종결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바아(Barr) 등이 정리한 사회과의 세 가지 전통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주요 분석 대상인 사회과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현상이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눈에 보이는 수업의 장면이 동일하다고하여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변수들 사이의 결과적 관계만을 추구하는 양적 방법으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의 갈래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최적의 사례를 찾기 위해 우선 2018학년도에 ‘통합사회’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통합사회가 사회과의 본질에 가장 근접한 교과이며 입시로부터 자유롭고, 교사들의 수업 재구성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통합사회를 가르치는 교사들 가운데 연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통합사회의 취지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면서 이를 수업으로 실현하려는 열정을 가진 교사들을 추려 5명의 연구 대상을 확정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이론적 배경에서 검토하였던 사회과 PCK의 구성요소와 그것이 발현되는 과정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분석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교사가 자신의 목표를 구체화하여 수업으로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 ‘구상’, ‘실행’의 세 단계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해’ 단계에서는 교사가 사회과 목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구상’ 단계에서는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인식이 수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지도안과 교수학습자료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 계획이 얼마나 충실히 이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해당 수업을 참관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텍스트 자료로 변환하였고, 이를 사회과 PCK의 여섯 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사회과의 목표를 인식하고 이것을 수업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괴리의 양상은 세 단계에 걸쳐 총 일곱 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해의 단계에서는 가치전수와 가치중립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한 적절한 방법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구상 단계에서는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인식이 학습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습활동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것과는 무관한 것으로 구성되거나,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하기에 모호한 사례를 선정하여 조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 운영의 노하우가 부족하여 수업 방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거나, 교과서의 내용에 구속되어 내용 전달에 집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두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이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사회과의 목표와 실행된 수업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의 원인을 교사의 외적 요인에서만 찾게 될 경우, 수업 성찰을 통한 교사 전문성의 신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괴리의 원인을 사회과 PCK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준거를 마련해주었다. 둘째,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최근 수업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해지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 대부분 교과의 특성과 교육 환경에 대한 맥락적 이해 없이 특정 수업 방식만을 차용해온 경우가 많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과 목표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업 방법과 내용을 조직하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초점을 맞추어야할 것이다.

      • 중국어 교육에 유용한 웹 콘텐츠 연구

        김현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위상과 우리나라와의 밀접한 관계를 생각할 때 중국어는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 과정에서 반드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제 2외국어로서의 중국어의 선택 비중은 낮아지고 있다.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함이 입증된 내용을 주로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에 흥미를 잃기 쉬우며, 최근 한국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중국을 기피 하는 정서 또한 중국어 학습에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집중하여 교수 학습에 있어 어떤 콘텐츠와 장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맞출 수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어 학습에 있어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 HTML5와 플러그인 기반 RIA의 기능 및 성능 비교 연구

        김현우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까지의 웹 환경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이 가진 평면적인 표현과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다이내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프로세스가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즉 RIA방식의 Flash Player나 Silverlight와 같은 기술이 크게 각광을 받아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크로스 브라우저의 대책에 대해서 다양한 검토가 논의 되고 있다. 특히 구글은 올해부터 자사 브라우저인 크롬 등에서 플러그인이 차단된다는 내용을 발표하였으며 스마트시대 플러그인은 보안, 해킹 등 많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구글, MS, OPERA 등은 플러그인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이러한 대안으로 HTML의 신규 표준인 HTML5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HTML5는 글로벌 웹 표준으로 활용되고 있고 국내 디지털 교과서의 표준이면서 현 기능만으로도 다양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더욱이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 모바일 환경에서도 HTML5는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실행이 가능하며, 기존의 앱 개발 언어 및 환경에 따라 새로운 앱을 여러 개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쏟아 부어야 했던 단점을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TML5와 플러그인 기반 RIA의 인증서 분야 및 웹 소켓 분야, 멀티미디어 분야의 기능을 비교 연구하고 멀티미디어 분야에서는 HTML5와 Flash의 성능을 비교 연구하여 HTML5가 플러그인 기반의 Flash를 대체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HTML5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여 향후 미래의 웹 시장의 대안으로 충분한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RIA method is a combination of web application technology’s flat expression and their sequential process as synchronizing dynamic user interface and database, every process is manageable under an interface. And thus RIA method, for example Flash Player or Silverlight has been spotlighted on web circumstance these days. Recently, however, an argument about cross browser’s counterplan has been raised. Especially, Google, for instance, stated that their famously known browser, “Chrome”, would block the use of Plug-Ins from now on. This Smart-generation’s use of Plug-In has many problems regarding to security and hacking therefore Google, MS, OPERA and many other companies are no longer support Plug-In. As a result, substitution for Plug-Ins, HTML’s new standard HTML5 draws attention. Currently HTML5 is used for global web standard and domestic (KOREA) digital standard. And even more, HTML5 offers many other functions to allow people to make various contents themselves. In particular, under mobile circumstances like Smartphone and Tablet PC HTML5 mostly converted, so it has no compatibility issues like fonts, or different circumstances which happened in the past. In this article, the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functions and features among HTML5, Plug-In based RIA certificate area, WEB Socket area, and Multimedia area. In the area of Multimedia, it compares HTML5 and Flash's function expecting HTML5 replaces Flash which is based on Plug-In. Further, it points out HTML5's problems and suggestion to see if HTML5 is enough for replacement in web market in the future.

      • 기술수명주기 관점에서 기술혁신성과에 관한 연구 : 미국/유럽/중국 태양광산업 특허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현우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상 처음으로 태양광산업의 성장세가 석탄연료의 성장세를 앞섰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하던 태양광산업은 대대적인 투자와 발전단가의 감소로 인해 중국, 인도, 남미 등지에서도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2030년 경이면 태양광이 전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을 것이며, 2040년까지 신규발전설비용량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바야흐로 태양광의 시대를 앞두고 있는 것이다. 태양광산업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연구범위와 관점에 있어 제한적이었다. 특히, 대표적인 기술혁신의 성과물인 특허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연구범위가 제한적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 즉,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주요 국가별 비교를 통한 태양광산업 기술혁신의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태양광산업의 전체기간 주요 국가별 기술혁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혁신연구의 주요 이론인 기술수명주기(Technology Life Cycle)관점에서 태양광산업 주요국의 전체기간 기술혁신성과를 특허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다. 구체적이고 풍부한 기술정보를 담고 있는 특허 초록(Abstract)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통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을 실시한다.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중심성 분석(Centrality Aanlysis) 수치와 클러스터(Cluster)를 바탕으로 주요국 기술혁신성과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도출한다. 2017 was another record year for photovoltaics(PV). The growth in solar PV capacity which surpassed net growth in coal for the first time to become the world's fastest growing source of power. The solar photovoltaic industry, which had been developed mainly in advanced countries, has been growing remarkably in China, India and South America due to large investment and decrease of the power generation cost. Some believe that by 2030 solar photovoltaic will be the cheapest energy source in the world and will account for 43% of new generation capacity by 2040. Now, we can announce it is a head of the age of solar power. Although research on solar photovoltaic industry has been active all around the world, it is true that three-dimensional studies were lacking in the scope and perspective of research. In particular, studies on pat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outcom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scope of research is often limited.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the solar photovoltaic industry through comparison of major countries for the whole period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major countries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solar photovoltaic industry. In the viewpoint of Technology Life Cycle, which is the main theory of technology innovation research, I analyze the overall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f the major countries of the photovoltaic industry through patent data. Keyword Network Analysis is carried out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patent abstracts containing concrete and rich techn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Centrality Aanlysis figures and clusters, we deriv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major countries.

      •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 영향요인

        김현우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 영향요인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2020년 8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Sherer와 Maddux(1982)가 개발한 일반적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정애순(2007)이 수정․보완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집단효능감은 Riggs와 Knight(1994)의 집단효능감 신념척도를 고유경(2008)이 수정․보완한 집단효능감 도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2005)등이 개발한 도구를 한상숙, 김명희(2008)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간호전문직관 도구, 조직몰입은 Mowday등(1979)이 개발한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OCQ)척도를 이명화(1998)가 간호조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53±0.49점이었으며, 집단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66±0.56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20±0.39점,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점평균 3.47±0.7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근무부서(F=5.854, p=.004), 총경력(F=3.135, p=.02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가 주간근무인 경우 평균 3.74점, 교대근무인 경우 평균 3.31점으로 주간근무의 조직몰입이 교대근무보다 높게 측정되었다(t=3.379, p=.001). 총 경력은 11년 이상인 경우가 평균 3.72점으로, 6∼10년인 경우 평균 3.22점보다 조직몰입이 높게 측정되었다 3.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집단효능감(r=0.293, p=.001), 간호전문직관(r=0.259, p=.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집단효능감(β=0.240, p=.004), 근무형태(β=0.249, p=.003), 간호전문직관(β=0.229, p=.005)이었다.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통계량은 10.478(p<.001)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8.2%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집단효능감, 근무형태가 주간인 경우, 간호전문직관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일반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근무형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집단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전략 및 간호전문직관을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 교육 및 자긍심 향상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임상간호사의 교대근무에서 오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를 보완할 수 있는 바람직한 간호근무 환경개선 및 간호전문직관의 향상과 조직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개발과 그에 따른 전략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주제어 : 임상간호사,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 조직몰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