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돼지의 경골에 식립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관한 연구

        김이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Statement of problem Titanium has been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for contemporary dental implant materials. But a few disadvantages are that it can result in poor esthetics, especially in anterior sites in the mouth, because of its greyish color, and that it can induce an allergic reaction. To resolve the allergy and esthetic problems caused by titanium implants, recently zirconia implants has been introduced as viable alternatives.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osseointegration around zirconia implants which had machined or alumina sandblasted surface,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itanium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tibia of 6 pigs. Three types of implants were investigated: groupⅠ-titanium implant, group Ⅱ-machined zirconia implant, group Ⅲ-alumina sandblasting treated zirconia implant. Zirconia implants were manufactured from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line (Acucera Inc, Seoul, Korea). Commercially anodic titanium implants (IMPLANT M, Shinhung Co., Ltd, Seoul, Korea) were used as controls.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SurfTest SJ-400 (Mitutoyo, Kawasaki, Japan). A total of 36 implants were installed in pigs' tibias. After 1, 4 and 12 weeks of healing period, the periotest and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n Olympus BX microscope (Olympus, Tokyo, Japan) connected to a computer. SPSS statistical software for windows (release 12.0, SPSS Inc., Chicago, IL, US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cheffe 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ose different implant groups. All tests were perform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1. In the measurement of surface roughness, highest Ra value was measured in group Ⅰ. Group Ⅰ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regarding Periotest values. 3. After 1 week, in comparison of bone to implant contact (BIC), group Ⅱ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bone area (BA), group Ⅰ and group Ⅱ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Ⅲ. 4. After 4 weeks, in comparison of BIC, group Ⅰ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son of B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implant. 5. After 12 weeks, the highest mean BIC values were found in group Ⅰ. Differences between the titanium implant and both zirconia implants were significant. Between two zirconia implants, group Ⅲ showed higher BIC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Ⅱ. In comparison of BA, group Ⅰ and group Ⅲ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Ⅱ. Conclusions Titanium implant showed high levels of osseointegration in this experiment. Modification of surface structu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signing zirconia implant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임플란트 고정체 제작에 있어 타이타늄은 ‘표준 재료’로 언급될 만큼 가장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타이타늄은 자체의 회색 색조로 인한 비심미성과 생체 내에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여 더 안전하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임플란트 고정체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지르코니아 임플란트가 크게 향상된 물리적 성질, 자연치와 유사한 색조, 뛰어난 생체 적합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용 타이타늄 임플란트와 개발 단계인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비교 연구하였다. 상용 타이타늄 임플란트 (Ⅰ 군)와 선반 가공된 나사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Ⅱ 군), 알루미나 샌드 블라스팅으로 표면 처리된 나사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Ⅲ 군)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후 6마리 돼지의 좌, 우측 하지 경골에 식립하여 1 주, 4 주, 12 주에 각각 희생하여 페리오테스트 안정성 측정, 조직학적 측정 및 조직 계측학적 측정,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평균 표면 거칠기와 페리오테스트 측정값, 조직계측학적 측정 결과는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통계 처리되었다 (P =.05). 각 군 임플란트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 Ⅰ 군이 Ⅱ 군, Ⅲ 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높은 평균 표면 거칠기 값을 보였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 1 주, 4 주, 12 주에 측정한 페리오테스트 결과는 Ⅰ 군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나 군간, 주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식립 1 주차 골접촉율 측정 결과 Ⅱ 군이 Ⅰ 군,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골면적율은 Ⅰ 군, Ⅱ 군이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식립 4 주차 골접촉율 측정에서 Ⅰ 군이 Ⅱ 군,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골면적율은 군간 유의한 차가 없었다. 식립 12 주차 골접촉율은 Ⅰ 군, Ⅲ 군, Ⅱ 군 순으로 낮아졌고 모든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골면적율은 Ⅰ 군, Ⅲ 군이 Ⅱ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이 타이타늄 임플란트에 비해 부족하며,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표면 변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문화예술 환경변화에 따른 무용 전문 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이경 숙명여자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professionals in dance and to provide its direction and indicator. In doing this, fou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1) What is the theory and practice about reeducation of artists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in culture and art? 2) What can be the present situation and current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internal and external? 3) How can it be done for the building paradigm of reeducation on dance professionals? 4) How would the re-education program model in dance art be set up? In order to examine those of issues, it was accomplished cri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n the education process and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rt education and re-education concerning with dance. In detail, articles and books about art education and re-education, books and reports for policy program dance art education, and Master theses and Ph.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critically as the first analysis. The current curriculums of department of dance in each national and abroad colleges were considered analysing the internet sit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cerning research questions: First of all, it was important to face the reality that the reeducation for the artists can't meet the cultural level of the today's audience requiring high quality and variety performanc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tellectual cultur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re-education of artists must be attained with range for the creating jobs relating arts. Also emphasizing more improved and professional re-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ts programs need to be carried out side by side. Second, a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n internal and external dance educa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dance department of colleges training the dance professionals mainly focused on the dance practice, which made them stay behind in the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couldn't correspond with the diverse need of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curriculums of the America, England, and Australia run more flexible and diverse programs. So it's much easier to advance toward the professional field compared the national situation. Third, for the building the paradigm of dance professional re-education process, the constructiv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focused on training the creative resourc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that can lead the creative revitalization need to be settled without delay. We formed a conclusion that the re-education for both the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and the dance choreographers are needed. Under the current art environment, the usage of technology is increasing rapidly, so the re-education for the dance choreographer on technology may be needed for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producers and audiences. Also it requires the re-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dance art, Finally, this study proposed models of re-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choreographers and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To carry out such models, it was suggested building the professional foundation similar to social education academy and lifelong education academy which are the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university performing the re-education programs. Each programs were separated into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movement development, 2) creativity development, and 3) choreography theory education. And then, it showed programs focusing its education goal training creative choreographers.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he professional dance educator we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1) movement education, 2) teaching method development, and 3) creativit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build the re-education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of dance art re-education relating colleges except the regular curriculums in university, to provide programs leading efficiently dance professionals into creating jobs and socia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전문 인력을 양성함에 있어서 문화예술 환경변화에 따르는 무용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고 나아갈 방향과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세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1) 문화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 재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무엇인가? 2) 국내·외 무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3) 무용전문 인력 재교육과정을 위한 패러다임 구축을 어떻게 할 것인가? 4) 무용예술 재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과 관련된 예술교육과 재교육을 다룬 문헌들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분석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예술교육과 재교육에 관한 연구논문 및 단행본, 정책과제 무용예술교육에 관한 단행본과, 대학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을 첫 번째 분석의 과정으로서 수행하였고, 현재 각 대학의 무용전공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것과 부가적으로 해외사례분석을 위해 교육과정이 계시되어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세부 연구문제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문화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 재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예술가의 재교육은 지적 문화수준이 향상되어 보다 전문화 된 고품질의 공연을 기획·제작하여 수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는 예술인을 요구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관객과 문화수준에 부흥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 예술가의 재교육 측면은 예술과 관련된 새로운 직업창출 차원에서도 다양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라는 결론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전문적인 재교육을 강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 외 무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으로 한국의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전담하고 있는 대학의 무용(학)과에서는 무용을 실기 위주로 교과 편성을 하여 다양화와 전문성에 있어 낙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폭넓은 학문적 욕구에 부합할 수 없는 단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미국을 비롯한 영국과 호주의 경우 탄력적인 교육과정의 운영과 보다 광범위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문분야로의 진출이 국내대학보다 용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 전문 인력 재교육과정을 위한 패러다임 구축에서는 창의력 있는 인재양성에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적극적인 수립에 발맞추어 나갈 전문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과 창작활성화를 유도 해 나갈 수 있는 무용전문 안무가 양성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절실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예술 환경에서의 테크놀로지의 사용도가 날로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작품생산자와 수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원활한 작용을 위해 테크놀로지에 대한 무용창작자 재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예술의 경쟁력확보라는 측면에서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넷째, 안무가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과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여 재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인 대학기관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사회교육원과 평생교육원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의 전문기관 설립을 제시하였다. 안무가 양성 재교육프로그램에서는 교육목적을 창의력 있는 안무가 양성에 두고 움직임의 개발영역, 창의력 개발영역, 안무이론 교육영역으로 구별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은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에 목적을 두고 움직임의 교육영역과 교수법개발영역, 창의력교육영역으로 구별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대학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무용예술가 재교육 전문기관의 설립과 재교육프로그램을 구축 및 제안하여 무용전문 인력의 사회적응력 배양 및 무용전문 인력의 직업창출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근거이론 기반 놀이치료자의 0~3세 영유아 놀이치료 경험 연구

        김이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during play therapy with infants aged 0-3 years.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play therapist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Strauss & Corbin, 1998).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objective sampling, and eight play therapists finally participated in the stud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tegorization saturation. Two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per twice for each participants , 60 to 90 minutes each time. The interview verbatim record data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tages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As a result, 9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lay therapists experienced 'like mothers, but different encounters with mothers'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infant clients aged 0-3 years old. Play therapists focused on caring for infants or taking care of them safely with motherly mind due to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Play therapists talked about their spontaneous feeling for the clients and they said it was a prominent experien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nfant clients. However, play therapists were aware that therapeutic encounters as play therapists were different from the attitude of caring like mothers. They considered the professionalism and therapeutic attitude which is necessary for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infants. and explored ways to have expertise and practiced. Second, play therapists developed relationships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la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leve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ged 0-3 years old. Play therapists have particularly focused on providing a secure relationship experience. They sensitively observed characteristics and the state of awakening of the clients, and accordingly communicated with infants using the body and senses and promoted interaction. At this time, play therapists promoted voluntary interaction between infants through play intervention appropriate to infant's developmental level. As mother's participants in infant's play therapy have a large portion, play therapists promoted mother-child attachment and showed caring attitude to the mother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perience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infants aged 0-3 years old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ensitively observing and attempting to interact wel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ients. The second stage is intervention and attunement, which play therapists and infants coordinate and experience to be in rapport through play and nonverbal interactions. The third stage was communion and growth, where play therapists sought appropriate relational intervention methods for infants, and experienced the growth of the client. Fourth, play therapists helped infants growth and promoted of mother-child relationship through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infants aged 0-3 years old. They also experienced the growth of themselves. Participants experienced a deeper understanding of attachment and improved their ability to hold the client through coordination and communion.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by which play therapists promote growth and interaction of infants aged 0-3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is emphasized at the beginning of their lives. In particular, as the experience of safe and positive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infants, an effective approach was identified focusing on therapeutic relationship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hat play therapists can apply to improve the therapeutic outcomes of play therapy for infants aged 0-3 years old. 본 연구에서는 0~3세 영유아의 놀이치료 과정에서 놀이치료자의 치료 관계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론(Strauss & Corbin, 1998)을 활용해 놀이치료자들이 실제 경험하는 치료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목적표집 하였으며, 범주의 포화 정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8명의 놀이치료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별로 1회당 60~90분씩 총 2회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구술자료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들은 0~3세 영유아 내담자와의 치료관계에서 ‘엄마처럼, 엄마와는 다른 만남’을 경험하였다. 놀이치료자들은 영유아 내담자의 발달적 특성상 마치 엄마 같은 마음으로 보살피거나 안전하게 돌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놀이치료자들은 내담자를 향해 저절로 우러나는 마음에 대해 이야기하였으며, 이는 영유아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두드러지는 경험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놀이치료자들은 엄마처럼 돌보게 되는 태도와 놀이치료자로서 치료적 만남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 내담자와의 치료관계에 필요한 전문성과 치료적 태도를 고민하였고,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며 실천하였다. 둘째, 놀이치료자들은 0~3세 영유아 내담자의 발달 수준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비언어적 소통과 놀이를 통해 관계를 발달시켜나갔다. 놀이치료자들은 특히 안전한 관계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내담자의 특성과 각성 상태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몸과 감각을 활용해 소통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이때 놀이치료자는 영유아 발달수준에 적절한 놀이 개입을 통해 영유아의 자발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놀이치료자들은 영유아 놀이치료에서 어머니의 참여 비중이 큰 특성에 따라 모-아 애착을 촉진하고 어머니에게도 지지적, 수용적 태도로 치료관계를 형성하였다. 셋째, 0~3세 영유아 내담자와의 치료관계 경험은 3단계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관찰과 이해 단계로, 민감하게 관찰하며 내담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개입과 조율 단계로 놀이치료자가 상호작용을 위해 개입하면서 놀이와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 내담자와 조율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세 번째 단계는 교감과 성장 단계로 놀이치료자들이 영유아 내담자에게 적절한 관계 개입 방식을 찾아가며 교감하고, 내담자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넷째, 놀이치료자는 0~3세 영유아와의 치료관계를 통해 영유아의 성장과 모-아 관계가 촉진되는 과정을 조력하였고, 놀이치료자 자신의 성장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애착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조율과 교감을 통해 내담자를 담아주는 능력이 향상됨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생애 초기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놀이치 료자가 0~3세 영유아의 성장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특히 영유아에게 안전하고 긍정적 관계 경험이 중요한 만큼 치료관계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접근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들이 0~3세 영유아 놀이치료의 치료성과를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실재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김이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arenting attribute and parenting function in parenting experience using action research method of qualitative study and, based on this examination, to investigate proper parenting skil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ifficulties with paren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olution for the cause. 7 parenting casebooks published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ata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 with 10 parents who have adult children, 21 responses from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program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nalytical methods of area analysis, taxonomic analysis, causal chain, decision table, content analysis. parenting attribute and parenting function, parenting skil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ause of the difficulties with paren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olution for this was dis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ribut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ause and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in paren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igh costs of treatment and education’, ‘Absence of parenting method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ense of guilt’, ‘Lack of treatment and educational institut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These attributes are often the causes that make paren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 difficult. Also, it was found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t provide their children care, education, environment, being attributed to these attributes. Second, parenting function examined through parenting experience turned out to be important to survival,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quire care for their surviv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abilities. And parents mus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stinctively. Furthermore, by parenting, parents must provide education and treatment to help them develop and help themselves. For this, parents must obtain knowledge, information and skills about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Third, parenting skills derived from parenting experience consisted of playing with them in correspondence with their developmental stage, making children take part of daily life,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persisting with consistency, interrupting and helping them for their improved development, obtaining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parenting, disciplining children’s behavior with consistency, adjusting parenting environment suitable for children, establishing routines and teaching children them repeatedly, giving them demonstrations, getting help from people in their area, and so on. Parenting skills must be accessible to parents, children, and every other people. And there must be individual parenting skills for parents, children, and every other people. The individual parenting skills must be suitable for parents and children each. And parents must be able to practice the skills by parenting. And children must be able to accept the parenting skills. Also, parents must be trained in parenting skills to facilitate children’s development. And parents must receive parenting skills suitabl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irect, organized child rearing support,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parenting skills. Furthermore, parents themselves must try their best to be a healthy, suitable environment for children’s development. 이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에서 양육속성과 양육기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양육기술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의 실행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한 자료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사례집 7권과 발달장애성인 자녀를 둔 10명의 부모를 심층 면담한 면담자료, 실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 21명의 서술형 설문에 답한 응답지이다. 수집된 자료들은 영역분석, 분류체계분석, 원인연쇄분석, 결정표집표활용, 내용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속성으로 ‘아동에게 적합한 맞춤 양육에 대한 필요성, 진단, 치료, 교육의 고비용성, 전문적인 양육기술의 부재로 인한 양육갈등, 전문기관의 부족으로 인한 부모역할의 다양성, 발달장애에 대한 주변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부모의 양육자신감 상실, 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평생교육의 지속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양육속성은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기능으로는 돌봄의 기능, 교육의 기능, 치료의 기능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양육기능으로 인하여 부모는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기술로는 장애인식과 관련한 기술, 아동발달과 진단에 관한 기술, 전문가와의 협력에 관한 기술, 일상생활과 놀이에 관한 기술, 의사소통에 관한 기술, 문제행동에 관한 기술, 학습에 관한 기술, 양육환경 구성에 관한 기술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양육기술들이 실행이 되기 위해서는 접근의 용이성, 개별성, 적합성, 수용성, 실행가능성, 지속성을 갖추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발달장애아동의 양육기술은 발달장애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양육실행과정에서 복합성을 가지며, 여러 전문영역을 넘나들게 된다. 그래서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부모가 양육기술을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양육기술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속성에 의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달장애아동에게 적합한 양육기술과 양육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은 기능별로 각각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부모는 전문가와 협업하여야 하며, 기능별 전문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기술은 과학적이어야 한다. 그 내용은 근거를 기반으로 한 것이어야 하고, 양육기술의 제공과 전달은 체계적이어야 한다. 양육기술은 훈련과 실습 통하여 전달되어야 한다. 양육기술의 습득과 전달, 유지와 관리를 위해 매뉴얼을 통해 교육되어야 한다. 양육기술의 실제 적용에서는 전문가 피드백을 통해 교육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 국내외 전문 발레단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태연구 및 제언 : centering around the five ballet companies domestic and abroad

        김이경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육체적 노동에 빼앗기던 시간들이 자유로운 여가를 즐기기 위한 시간으로 제공되고, 다양한 정보와 매체의 발달로 현대인의 호기심과 문화향유에 대한 열망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의 증가라는 이 시대의 하나의 트랜드라기에는 그 이면에 상당한 위험요소가 내재되어 있음을 놓쳐서는 안 된다. 현대인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자아를 실현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보다는 생활에 쫓기고 사회라는 틀에서 소외당하지 않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만 하는 위기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감을 현대인들은 자아실현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로 반등되기 시작하면서 실용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완전한 인격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즉, 예술 교육을 더욱 절실히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예술 교육은 현대에 와서 갑자기 필요시 된 것이 아니라, 고대 원시시대부터 시작된 유구한 역사를 가진다. 예술 교육을 통해 인간의 사고나 예술이 전승시키기 위함일 뿐만 아니라 예술을 통해서 예술의 원리를 배움으로서 조화로운 인간으로 양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이후 학교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도 바로 이 창의력과 조화로운 인간양성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여러 사회적 변화와 문제의식에 학교가 가장 올바른 대안으로만 존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교육이 평준화 되어있기 때문에, 전문화된 교육이나 다양한 문화체험까지 학교에서 전담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단체와 아카데미에서 그러한 부분들을 보완해주는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예술 교육의 측면 가운데에서도 무용의 측면에서 특히 발레교육의 프로그램들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예술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인 전인 교육과 전문무용수를 위한 발레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고찰해 보고 있다. 본론의 첫 장에서 예술의 역사 속에서 자유롭고 창조적이며 조화로운 인격 양성을 위해서 음악과 체육이 담당한 중요한 역할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에서도 무용이 가지는 중요성이 현재에도 유효함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00년 정도 밖에 안 되는 짧은 무용의 역사를 가지지만 전문무용수를 양성하고 세계적 수준의 기량을 쌓아올렸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무용 교육은 전인교육보다는 오히려 전문가 양성교육으로 치중되어버렸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근래에 창설된 국립 발레 아카데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향후의 무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국립 발레 아카데미에서 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상황을 진단하고 그와 비교분석을 해야할 외국의 유명 발레 아카데미를 선정하여 고찰해 보았다. 비교분석 대상의 선정방법은 발레 교육이 이뤄진 역사가 길고, 유명 발레단으로 정평이 난 유럽의 두 곳(영국, 독일)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의 발레 아카데미를 그 대상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대륙의 발레 교육 상황을 살펴보았다. 각국의 역사, 사회, 문화적 차이에 의해 자체적 이고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다섯 발레단의 현황분석결과와 국립 발레단과의 비교분석 결과, 전문무용수 프로그램에 전인교육 프로그램은 전무한 실정이며, 또 일반인 과정의 운용방식도 전인교육보다는 테크닉레슨에 치우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발레단이 담당해야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환원 프로그램의 운영도 아직은 미비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발레단 향후의 성장발전을 위한 비전 제시를 위해서도 예술이라는 거대 개념 하에서 교육을 통한 이해와 관심을 유발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다는 것은 예술을 기획하고 행정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이 시대의 화두이다. 왜냐하면 예술을 상품으로 만들고 최대한의 마케팅을 위한 기반으로 대중들의 예술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 방법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인 교육의 차원을 부각시켜 기능 위주의 교육이 아닌 인간성에 관련된 교육에서 더 나아가 평생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완성에 대한 잠정적인 기획을 단계적으로 수립해야만 한다. 또한 전문 무용가의 교육에 있어서도, 기능만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닌 예술 창조를 위한 상상력을 키워 줄 수 있는 광범위한 영역의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보급함으로써 발레의 대중화와 발레의 기반발전을 위한 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 다. In These days, technical development has released the time in a labor, and people are able to have much more their own time than ever before. In this condition people have an eager desire to enjoy the cultural benefits. But we can catch a hazard peril in this situation. Because people in the contemporary, who cannot help striving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and accomplish their social purpose, have no time to care themselves and come true their own dream in fact. They are always facing the crisis like this to loose themselves in the social life and even in their own. Against the crisis like this, the contemporary wish to satisfy their hunger for fulfilling themselves and realizing their wishes. Following this tendency, education of art that is able to cultivate their character and personality stands out in bold relief importantly. Education of art has a very long history from the ancient time. Since that time the human being has been educated the others through art for the purpose of succeeding their own knowledge and the culture, and building up their descendants in harmony. After the modem time, the idea of education like this, aimed at harmonious personality, had been still stood. But in this present, it's not an easy thing to consider the public education as a right plan in the conclusion. Especially in Korea the public education is schemed so uniformly, that it's a very difficult for the public schools to handle with a special field of education or a cultural experience for the students. Instead of this, the various cultural groups and the art academies make a runn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the deficiency like this. So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programs of art, especially of ballet among them, and considers how the running programs of ballet is and what the essence of education is, in which we can put ours hope, at the both aspects, cultivating a harmonious personality and a specialized dancer. In the first chapter, I examined tha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had been in charg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for the cultivating of harmonious character in the history of art. And I found dance, which had been belonged to the physical education at that time,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education of art until now. In Korea, the dance has achieved a rapid growth, even though her short history about a hundred years. But it has been tended toward only one side, that is, just training men of ability rather than cultivating men of harmony. Therefore, Korean national ballet academy(KNBA) tries to solve this problems and to show the right direction, where the dance education The second chapter is comparing KNBA with the others academies abroad. They are chosen by a basis of the history and popularity England, German, Russia and America. They have all th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of ballet and these programs are what they had investigated uniquely according to their own culture, history, and social environment. As a result, comparing KNBA with others abroad, KNBA is considered not as an instruction for ballet, which is ready for the cultivating men of harmony and talent, but as a technique training center. Moreover, their programs, which have to return their benefits to society, is also incomplete. Against this condition, the executive officials and specialists in the ballet part all requir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set up in order to arouse public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about ballet, and to have a good future in ballet. Because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able to bring ballet to prosperity, can act as a decisive element upon the marketing of art. As a result, we should organize the educational program in a view of cultivating the harmonious men, and it should be accomplished as a system of a lifelong education step by step. Besides, by developing and diffus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ballet, not just as a teaching or training of technique but as an instruction for the cultivation of aesthetic sentiments, we have to make it a footstone for the popularization of ballet and the arrangement of a basis about it.

      •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COVID-19 취약계층의 트라우마 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이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quarantine life from COVID-19 is prolonged,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from viral infection is increasing. Healing agriculture, which mediates agricultural resources, has proven various effect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Based on this, the stud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during 2020 at Wind Sunshine Far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o study the emotional effects on overcoming psychological trauma by conducting an agro-healing program for the selected elderly and housewives of the COVID-19 vulnerable class. The following agro-healing program was designed by applying flower therapy, aroma therapy, and food therapy using the five senses and was carried out using plants from the farm. The of housewives and elderly ran the same program for each of the four sessions, making wreaths and flower arrangements using farm resources such as Setaria viridis, Salvia officinalis, Capsella burapastoris, and Gomphrena globosa, planting Rosmarinus officinalis planted in herb gardens in the farm, and harvesting and cooking crops such as Ocimum basilicum, Lycopersicone sculentum, and Lactuca sativa. As an evaluation tool, anxiety (STAI-T) and depression scale (K-BDI) were used to examine emotional changes, and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by measuring U-BIO MACPA and salivary acidity to determine physi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emotional function. When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subjects after the agro-healing program, the degree of anxiety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housewives (p=.037), but no significant changes within the elderly grou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somewhat higher before im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p=.010).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tress index to examine physiological changes in emotional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housewives (p=.047), and no change within the elderly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saliva acid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sessions 1, 3, and 4 (p1=.011, p2=.083, p3=.016, p4=.010) for housewives as well as in the sessions 3 and 4 (p1=.140, p2=.564, p3=.005, p4=.007) for elderly group. Therefore, various groups suffering from trauma due to COVID-19 could be enhanced by a longer-term curative agriculture program.

      • 탈북여성의 가족해체 및 재구성 특성과 자녀양육경험 : 다자녀를 둔 여성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김이경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탈북여성 한부모가족의 탈북 및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가족해체와 재구성과정에서 자녀양육경험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들의 목소리를 자료로 삼아 좀 더 구체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겪는 세밀한 심리 내적인 경험을 드러내려고 하였으며, 그러한 경험을 토대로 탈북한 여성가족을 돕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과 사회 복지적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해체와 재구성과정에서 삶의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여성가장으로 성장하면서 자녀양육경험은 어떠하였는가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탈북여성들이 탈북을 결정하는 시점과 탈북과정에서 때때로 가족을 상실하거나 심지어 버리기도 하지만, 그 후에 어떻게 다시 가족을 새롭게 재구성하였고, 탈북 후 남한에서 새로운 재구성가족이 또다시 해체가 되었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탈북여성들이 삶의 경험에서 원 가족과 탈북과정에서 이루어진 가족, 남한사회에서 재구성된 가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가족들로 발견되었으며, 그들이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가족의 유형을 받아들이는 것도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탈북여성 한부모가족들의 가족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북한의 원 가족 해체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북한사회의 식량위기로부터 대량 탈북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시기와 변화 속에서 어떻게 가족구조와 가족관계의 변화들을 추구하였으며, 탈북으로 인한 그들의 경험들이 가족생활과 가족구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경험은 사회적 맥락과 조건에 따라 가족관계가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 갈등과 관계상의 문제들, 가족의식의 변화와 가족정체성의 약화, 심리적 상처, 남겨지거나 버려진 자녀들을 통하여 심리적 문제와 사회적 문제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탈북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해체와 재구성과정에서 여성가장으로 성장하면서 자녀양육경험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론적으로 적합한 대상자 다 자녀를 둔 탈북여성 한부모가족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해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방코팅, 축코딩, 선택코딩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동시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참여자들이 경험에 근거하여 ‘가족해체 및 재구성특성’과 ‘여성 한부모가장으로 성장’과 같이 2개 영역을 나누어 정리하여 93개의 개념과 44개의 하위범주, 8개의 상위범주를 찾아 개방코딩 작업을 완성하였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가족해체와 재구성의 원인적 조건은 ‘자유를 찾아서’, ‘빈곤의 탈출’, ‘가족 잃음’으로 탈북동기의 원인이 밝혀졌으며, 중심현상은 ‘가족해체와 재구성’이었고, 이러한 현상을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중국에서 가족재구성과정’, ‘남한에서 가족재구성과정’의 가족관계 유형들로 나타났다. 현상을 조절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부부의 문화적 차이로서 ‘잘못된 부부관계 인식’, ‘배우자의 외도와 무책임에 대한 탈출’,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으로 되었고, 이러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고 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홀로서기 준비 단계로서 ‘이별과 이혼 결심’, ‘내적 자원 활용’, ‘관계적 자원 활용’, ‘사회적 자원 활용’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다 자녀여성가장으로 성장하는 과정으로서 ‘가족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혼란’, ‘다 자녀양육에 대한 걱정과 불안’, ‘원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경제적 부담’, ‘자녀들이 분리불안증세’, ‘여성가장의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가족해체와 재구성 과정의 삶을 통해 ‘한부모되는 과정’ 특성의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과 그 맥락 속에서 여성가장으로 성장하면서 새로운 사회적응에서 문화적 차이로부터 ’고립형‘, ’혼란형‘, ’ 자기주도형‘의 세 가지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탈북여성들의 가족해체 및 재구성과정에서 나타난 유형과 영향 요인을 밝힘으로,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가족관계 특성의 실체이론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탈북여성 한부모가족들의 경험하는 맥락 속에서 각 단계마다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도록 활용되어 북한이탈주민 한부모가족지원정책에서 실천적 복지지원과 한부모가족지원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in the process of family breakup and reconstruction by studying the theory of defection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and to use their voices as a source of information, they attempt to reveal the detaile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ore specific social situations, Based on such experience, I would like to explore what are the practical and effective policies and social welfare alternatives to help parents and their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ife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in the process of family breakup and reconstruction? Second, how was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as North Korean defectors grew up as women? When the par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decide to escape, and sometimes they lose or even abandon their families in the process of defection, they describe how they reconstructed their family again afterwards and how the new reconstructed family was dismantled again in South Korea after the defection. In the experience of life, a single parent woman was found in various types of families, such as the original family, the family during the defection process, and the reconstructed family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they form new concepts and accept various family types. It could also be seen that it could be a positive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e first examined the causes of the breakup of the original family in Nor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 in the societal period and changes in which mass defection is taking place from the food crisis in North Korea, and to examine how their experiences have affected their family life and family structure. The experiences of defector families are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family conflicts and relational problems, changes in family consciousness and weakness of family identity, psychological wounds, and left or abandoned children. And social issues more closely. As a result, we used Strauss & Corbin (1998) 's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problems of parenting experience as one parent woman grew up into the female head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reconstruction.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had children who were theoretically suitab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open coating, axis coding, and selection coding.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icipants found 93 concepts, 44 subcategories, and 8 upper categor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Divided into and completed the open coding work. In axis coding, the categorical analysis by paradigm revealed the causes of North Korean motives such as 'Finding Freedom', 'Escape of Poverty' and 'Lost Family'. Reconstruction ”,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to cope with these phenomena were family relationship types such as 'conjugation process of true marriage' and 'constitution of marriage relationship'. 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phenomena were cultural differences of couples such as 'perception of wrong marital relationship', 'escape of spouse's affairs and irresponsibility', and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that promote and control the situation were 'preparation and divorce', 'internal resources', 'relational resources' and 'social resources' as preparation stages. As a result,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child's family head is 'confusion over changes in family values', 'worries and anxieties about raising children,' 'sorry and economic burden on the original family',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of female head' is the highest. In selection coding, the core category is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meaning of 'one parent process' through the life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reconstruction, and growing as the female head in the context. 'Confused' and 'self-dir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single parent women.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roper parental intervention at each stage in the context of experience for single parent women,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practical welfare support and further development of single parent family counseling programs. Expect to be.

      • 연극 연출과 동시대성 : 한국에서의 보이체크《Woyzeck》공연을 중심으로(1970-2010)

        김이경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외의 걸작이 한국에서 어떻게 연출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다. 연구자는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를 연구 범위로 정하고 ‘연극 연출과 동시대성’ 이라는 주제로 연구하였다. 연출의 동시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70년도부터 2010년까지 한국연극의 양상을 다루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사조가 국내에 유입되기 이전과 이후로 한국 공연사를 나누어 세밀하게 연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독일 게오르그 뷔히너의《보이체크》한국 공연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각 시대별로 여러 연출가들이《보이체크》를 공연하였으나 1975년 안민수 연출, 1989년 김철리 연출, 1998년 손정우 연출, 2001년 임도완 연출, 2009년 원영오 연출의《보이체크》공연을 선별하였다. 안민수 연출의《보이체크》와 김철리 연출의《병사 보이체크》는 그 당시 시대상황의 관점으로 살펴보면 구성이 열린 구조로 연출가와 관객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하지만 현재의 시점으로 보면 아직까지 원작의 텍스트를 존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비록 순서가 바뀌거나 마지막 장면이 변화되는 점을 보이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수용한 작품보다는 훨씬 원작《보이체크》텍스트의 구성을 충실히 이행했다. 손정우 연출의《개가 된 남자, 보이첵》, 임도완 연출의《보이체크》, 원영오 연출의《보이체크》는 모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통적으로 연출가가 창조하는 것을 우선으로 둔 해석이 많이 등장하였다. 신체와 몸을 중심으로 작품을 구성하였고 오브제의 사용, 원작의 구성의 축소․함축이 그러하다. 인물을 극대화 시켰으며 원작의 텍스트 보다 연출자와 작업 공동체의 목표와 양식에 맞게 자유롭게 변화한 특징을 가진다. 1970년도부터 2010년까지 연극 연출의 동시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대는 다르지만 보이체크가 가진 사회적 질문과 보이체크가 사회적인 모순 때문에 괴로워 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위해 작품을 선택하고 공연했다는 공통점은 지녔다. 다만 시대에 따라 양식이나 구성의 변화가 있다. 그리고 시대가 흘러가면서 점차적으로 텍스트 우위의 연극에서 연출자 우위의 연극, 지금은 배우와 협업하여 공동 창작하는 연극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연출가가 연극에서 철학적 고민,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위해 작품을 선택하여 연출가의 시각으로 전달하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각시대의 정치․사회․문화의 영향에 따라서 양식이 바뀐다. 작품의 정신은 같으나 표현되고 구성되는 방식이 바뀌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변화하는 세상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관객이 접하는 미디어나 문화가 바뀌고 교육수준이 바뀌면서 양식이 변화하기도 하고 새로운 실험을 통해 작품이 변화하기도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