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loning,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Arylsulfate Sulfotransferase, α-L-Arabinosidase and β-D-Glucosidase From Intestinal Anaerodes

        김보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Bifidobacterium longum H-1 이 생산하는 두종류의 a-L-Arabinosidase의 클로닝, 발현 및 정제 경희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미생물및 면역학 전공 석사과정 김보미 (지도교수)김동현 인삼 ginsenoside의 주요성분인 ginsenoside Rc를 대사시킬수있는 두 종류의 α-L-Arabinosidase가 사람의 장내 세균인 Bifidobacterium longum H-1 으로부터 크로닝되었다. 기존에 보고 된 Bifidobacterium longum 균주의 염기서열로부터 각각 두종류의 Primer 가 제작되었고, 이로부터 PCR 한 결과 각 효소들의 염기서열이 밝혀졌다. Sequencing 결과, 두종류의 α-L-Arabinosidase 의 염기서열은 각각 1548bp, 1569bp 임이 알려졌다. 기존에 알려진 Bifidobacterium longum 과는 각각 99%,99%의 homology 를 보였다. 이들 gene들은 발현 vector 인 pET-39b(+)에 삽입되었으며, E. coli BL21(DE3)에 형질전환되었고, 발현된 효소들은 His Bin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다. 이들의 specific Activity는 각각 3.16,3.33 mmole/min/mg이었다. 이제조합효소는 p-nitraphenyl-α-L-Arabinosidase와 and ginsenoside Rb2는 대사시키지 못하였지만, p-nitraphenyl-α-L-Arabinosidase와and ginsenoside Rc를 ginsenoside Rd 로 대사시켰다

      • '남성주부'의 정체성 만들기: 생계부양자, 아버지, 남편을 중심으로

        김보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가족구조는 당시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해 왔다. 가족임금제의 위기와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인 성역할에 기반한 남성 생계부양자와 여성 가사노동자로 이루어진 가족 모델은 더 이상 보편적인 가족형태가 아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10년 사이 한국사회에서 남성주부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남성주부가 생계부양자, 아버지, 남편으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으며 이 정체성들 간에 어떠한 긴장의 양상이 드러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주부로의 전환은 출산과 육아로 인한 돌봄의 공백과 퇴직이라는 배경에서 일어난다. 이때 아내가 주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성주부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을 남성주부들은 합리적 선택이라고 개념화한다. 둘째, 남성주부들은 합리적 선택으로서 가사와 양육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생계부양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며 부담감과 책임감을 느낀다. 외부로부터의 무능하다는 시선은 남성주부들에게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도록 만드는 요인이다. 셋째, 남성주부들은 재편성된 성별분업을 통해서 아버지와 남편으로서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아버지로서의 정체성은 부양의 역할보다 돌봄과 자녀와의 시간공유, 공감대 형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남편으로서의 정체성 역시 아내와의 가사분담과 정서적 교감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 동시에 약화된 생계부양자로서의 정체성은 아버지와 남편으로서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친다. 아버지로서의 정체성과는 주로 경합의 양상을 보이며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는 긴장관계를 형성한다. 가사분담 비율과 가사에 대한 태도 변화 및 매력 있는 남편으로 보이기 위한 노력의 양상들을 띤다. 본 연구는 새로운 상황에 놓인 남성주부를 둘러싼 정체성의 재구성과 정체성 간에 일어나는 긴장관계의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내부자적 관찰을 통해 실제적으로 벌어지는 남성주부의 복잡다단한 정체성의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이것은 남성주부를 새롭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남성성으로써 다뤄온 정형화된 남성주부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전통적 규범과 새롭게 요구되는 남성성의 교차점에서 남성주부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분석한 본 연구는 새로운 남성성 및 다양한 남성성의 역학과 관련된 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다.

      • 리스트의 “피아노 소나타 b단조” 분석 연구 : 주제변형기법을 중심으로

        김보미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화려하고 기교적인 작품을 통해 피아노의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그는 많은 작품을 작곡, 편곡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피아노 음악에 있어서 가장 큰 업적을 남겼다.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새로운 기법들을 개발하였는데, 이러한 특징들이 <피아노 소나타 b단조>에서 잘 나타난다. 이 곡은 형식면에서 독특하게 단악장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동시에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도 보이고 있다. 세 부분으로 나누면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를 각각 제 1부, 제 2부, 제 3부로 볼 수 있는데, 제 3부에서는 푸가형식으로, 제 1부의 재현부와 긴 코다로 구성되어있다. 조성도 전통적인 소나타의 조성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자유로운 전조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제 1부에서는 b단조와 나란한조인 D장조가 이어지고, 제 2부에서는 모두 F#장조로 재현되며, 제 3부에서는 b단조에서 B장조로 같은 으뜸조로 나타난다. 감7화음, 증3화음, 증6화음 등의 다양한 변화화음과 화성적인 반복진행, 반음계적인 진행 등도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리스트가 피아노라는 악기로 오케스트라적인 음향을 표현하고자 한 노력이 이 곡에서 잘 나타나는데, 폭넓은 다이나믹, 풍부한 화음과 페달, 넓은 음역의 도약과 확대, 장식음과 트릴, 빠른 옥타브의 진행 등에서 그 효과가 화려하게 나타나며 고도의 기교도 요구된다. 특히 이 곡은 리스트의 작곡 기법 중 주제변형기법이 곡 전체에 걸쳐 5개의 주제로 나타난다. 각 주제들은 다양한 변형을 통해 순환적으로 사용되어 곡에 통일감을 주고 있다. 주제 A는 리듬변형과 선율연장, 성격적 변형으로, 주제 B는 3개의 구성요소로 나뉘어 각각 또는 함께 리듬과 성격이 변형되고, 주제 C는 성격적 변형과 오스티나토 변형이 주로 나타난다. 주제 D는 주로 리듬변형으로, 주제 E는 거의 변화 없이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주제가 동시에 활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Abstract F. Liszt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and pianist of the Romantic era. He maximized the piano effect with his splendid and artful works. He composed or arranged a number of works, but among those, he left the greatest achievement in piano music. He developed new techniques through the instrument of a piano, and those features are well shown in <Piano Sonata in b minor>. This piece is characterized by the single movement structure in terms of its form, but it also takes the general form of sonata at the same time. Divided into three parts, it has the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and each can be called as part 1, part 2, and part 3. Part 3 takes the fugue form, and it consists of the recapitulation and the long coda of part 1. With regard to its key, it follows the key pattern of traditional sonata, but it also shows free modulation. Part 1 proceeds with b minor and the relative key of D major. Part 2 is reproduced with F# major all along, and part 3 shows the same principal key from b minor to B major. It is also characterized by various altered chords like diminished 7th, augmented 3rd, or augmented 6th and also harmonic repetition or the progress with the chromatic scale. F. Liszt’s effort to express orchestral sound with the instrument of a piano is well shown in this piece. In its wide-ranged dynamics, rich chord and pedal use, the leap or extension of the wide register, graces and trills, or the rapid octave progress, the effects are splendidly exhibited, and skillful techniques are demanded. Especially, this song consists of 5 themes over the entire piece by employing the Transformation of Themes, one of the F. Liszt’s composition techniques. Those themes are used circularly through diverse transformations and give this song unity. Theme A has rhythm transformation, melody lengthening, and also characteristic transformation. And theme B can be divided into 3 components, and they perform rhythm and characteristic transformation either separately or altogether. Theme C mainly shows characteristic and ostinato transformation. Theme D chiefly uses rhythm transformation while theme E proceeds with almost no changes, and the themes are used simultaneously at times.

      • 자폐스펙트럼장애(ASD)아동과 어머니간의 놀이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김보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play exper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moth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 we sought to identify and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narrative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mother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play experiences of study participants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the story. From participants' childhood play experiences to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hood who came to the N region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In addition, structured questions in deep interviews are not mandatory (No Eun-sun, 2020), but in this study,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study participants at various angles, including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narratives of participants, looking specifically at what play experiences are like in various contexts, from childhood play experiences of participants' mothers to pre-birth and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xperience of playing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mothers showed that they were playing games that they had to try and lead, not to play. Participants' childhood play experiences consisted of stories related to "what was fun and fun". Since then,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eading and trying" in the play experience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cond, participating mothers talked about experiences of frustration and isolation due to difficult and vague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I could see that they were interacting with mothers' emotional assistants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a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in terms of helping and assisting their children to improve their playfulness.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ere difficult for children to interact in peer relationships, and participants tried to improve children's playfulness in the hope that children would interact through play and expand qualitative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Third, the experience of playing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hildren in real life was shown through the vivid narrative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in this study, mothers, who spend the longest time with real children, heard stories about experiences and feelings in their mothers' voices, and heard about actual experiences and blocked and difficult parts through vivid voices of experience. Throughout this study, based on these meanings, the lack of self-esteem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led to difficulties in symbolic thinking and abstract thinking, and low quality play, or symbolic play. Playing with children lacking self-confidence forced participants to have a hard time. Participants felt limited in their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and felt frustrated, vague, burdened, and guilty, frustrated, and isolated. In addition, this study learned about the actual experiences and various emotions felt by participants' mothers through in-depth stories of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his study, various approaches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more deeply about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mother's play through vivid stories of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보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19~34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성향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불안정 성인애착을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으로 구분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자기비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각 변인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및 기타 지역의 성인 552명을 대상으로 관계중독척도(RAS),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척도(ECR-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중매개모형과 팬텀변수를 설정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관계중독 성향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회피애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불안애착과 관계중독성향의 관계에서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반추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피애착과 관계중독성향의 관계에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기비난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관계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계중독성향을 지닌 초기 성인의 치료적 개입에서 개인의 애착 유형에 따라 다르게 개입하여야 할 필요성의 근거를 제공한다.

      •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의 노인보건 및 복지서비스 연계에 관한 태도 연구

        김보미 호남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위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두 집단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두 집단의 노인보건과 노인복지서비스 연계에 대한 인식수준 및 태도 어떠한가 셋째,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학과 노인 간호학이 전공 선택 과목으로 개설, 운영되고 있는 광주지역 H대학교와 C대학의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이며, 자료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에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지식정도가 간호학과 학생들의 지식정도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노인보건과 노인복지서비스의 연계에 대한 인식수준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연계필요성에 관한 응답분포에서는 응답자의 80% 이상이 연계가 필요하다는데 긍정하였으며, 연계저해요인에서는 자원의 부족, 전문직간 상이한 서비스 방침으로 인한 문제점, 업무의 과중, 잦은 인사이동, 역할의 불명확성 등을 연계의 저해요인으로 꼽고 있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대했던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는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지만 보건복지 연계태도에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적 특성에서 노인과의 동거경험 유무와 노인관련 자원봉사활동 유무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의 노인보건 및 복지서비스의 연계를 위해서는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및 간호학과에서 보건·복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보건·복지 연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 현장에서 서비스를 실천해 나가는 실무자들의 교육을 통해 보건·복지 전문직간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수가 학생들에게도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를 위한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서비스 간 조정을 통한 보건과 복지의 지속적인 협력관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노인보건과 복지서비스 전문직의 협력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제공받는 서비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하고, 자원의 한계나 서비스의 중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사회복지실천 상에 가장 중요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effect the knowledge degree to the old toward the connection attitude of health welfare and to searc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Then, I set up thre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knowledge degree of two groups toward the old? Second, what is their recognition level and attitudes of two groups toward the old's welfare service? And, third, how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degree to the old effect toward their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Nursing in H University and C University in Kwangju area, where they learn the science of nursing for the old as their major selective subjects. I used a question research as its research method. I received 210 responses in total, and, among them, used 201 responses as the final data except 9 respons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this study.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I analyzed their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of two groups, in case of the student in the Dept. of Social Welfare, they show their right response rate of 79 percent in physical area, 59 percent in psychological area, and 62 percent in social area.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students in the Dept. of Nursing, they show their right response rate of 78 percent in physical area, 52 percent in psychological area, and 49 percent in social area. Then, the knowledge degree of the students in the Dept. of Social Welfare shows higher than that in the Dept. of Nursing. And, among the lower areas, it is appeared as a slight meaning statistically, expecially it is appeared as p <.01 level in the psychological area and as p <.001 level in the social area. Second, as a result I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onnection between the old's welfare service and the old's health, over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agree that the connection is necessary and they point out that their obstruction factors are the lack of resources, the problems due to the different service policy between the experts, the overload of duty, the frequent personnel change, and the obscurity of their roles. That is, it seems to be a reflected result by the expectation toward the connection possibility with an anxiety for the problems totally. Third, as a result I analyzed the influence affected to the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by the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and their characteristics, it show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but th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connection attitudes to the health welfare. But, i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hether they stayed with the old or not and whether they volunteered related with the old or not is a meaningful factor to their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Regarding on whether they stayed with the old or not, among the lower areas to the connection attitude of health welfare, it is appeared a slight meaning statistically in that the connection necessity is a p <.05 level, the connection obstruction factor is a p <.01 level, and the connection attitude is a p <.001 level. For the connection of welfare service and the old's health by the students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I can recognize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Departments' students is necessary and I want to sugg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ducation on health welfare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e courses such as the old's welfare and nursing science for the old presently, which are attended as a selective cours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And our concerns and participations to the experts on the old's welfare should also be enhanced.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nnection on health welfare should be enlarged and executed. Throughout the training for the experts in charge of, who execute the welfare service on the spot, a various programs for enhancing the recognition levels of the experts on the health welfare area should be enlarged and executed even for the students. And their recognition level and the understanding degree relating with the health welfare on the spot should be enhanced by participating not only in thei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with their majors performed by the Dept. of Nursing or Social Welfare but also in other majors performed by other Departments. Third, an institutional maintenance for the connection of the health welfare service is also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continual cooperation relation toward health and welfare through the adjustment between the services, the lawful an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and the continual maintenance is also necessary. Finall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experts on the health for the old and the welfare service makes their services the old are received effective and successful in the society of the old and has a role to solve the problems due to the limitation of resources or the overlapping of services. And because they receive the services, fitted for their various and complex needs, I expect that the client-oriented servic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ne in the practice of the social welfare, will be more enhanced.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 중단과 지속 경험에 대한 탐구

        김보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tudy dropout and persistence and to driv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university admission for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the second one is ‘What is the meaning of study dropout experience for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last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driving forces for continuing their studies in the University? To study these research questions, four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the narrativ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iversity admission has the meaning of freedom to experience higher education, freedom of interaction with instructor, freedom of thought, freedom of career choice, the place to prepare advancement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place to grow himself as talented person for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ack of exploration of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and lack of career goals,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tend to decide to enter university by other’s decision, and in this case, It has been shown that the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admission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is to influence decision making of university admission and study dropout without deep deliberati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feel unfamiliar and difficult and decide to stop their studies due to the autonomous and competitive learning atmosphere of the university, the culture of individualism, the friendship with the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university's academic system. However, the experience of study dropout has the meaning of re-exploring one’s career and aptitude, a time to heal psychological trauma and to expand career related to dreams. Although the experience of study dropout was out of the formal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it has the meaning as ‘Currere Curriculum’that the individual's internal experience became an educational experience. The driving forces to continue the study were the clear goals and motivations based on aptitude, interest, and dreams, and emotional and practical support from family,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groups, clubs, and church community. In addition, when there were many successful experiences in academics, it was found that they continue their university life with high confid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scussion points in terms of the meaning of university admission, experiences of study dropout and persistence. This study also provide suggestion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for expanding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There are two limitations of this study. Sinc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and this study did not deal with the cases of participants born in third countr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be addressed these issues in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들의 학업 중단과 지속 경험을 탐구하여 고등 교육에서 북한이탈 학생들이 갖는 특성과 맥락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북한이탈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 중단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을 지속하게 하는 동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 탐색을 위해 연구 참여자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현상학적 관점으로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진학은 고등 교육권을 누릴 수 있는 자유,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의 자유, 사유의 자유, 진로 선택의 자유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남한 사회로의 진출을 준비하는 곳과 통일 인재로서 자신을 성장시키는 장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대한 탐색이 부족하고 진로 목표가 부재한 경우 북한이탈 학생들은 타의에 의해 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 경우 대학 진학을 지원하는 제도가 대학 진학과 학업 중단을 비교적 깊은 숙고 없이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자율적이고 경쟁적인 학습 분위기와 개인주의 문화, 남한 대학생들과의 교우관계와 대학의 학사제도 등에 북한이탈 대학생들은 낯설음과 어려움을 느끼고 학업 중단을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학업 중단 경험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재탐색하는 시간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외상을 치유하는 시간과 꿈과 관련된 커리어를 확장시키는 시간으로 의미화 되었다. 학업 중단 경험은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에서는 벗어났지만 개인의 내적 경험이 곧 교육적 경험이 되는 쿠레레(Currere) 교육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 지속의 힘이 되는 동인은 적성과 흥미, 꿈에 기반한 뚜렷한 목표 의식과 학업 동기 그리고 가족과 북한이탈 대학생 모임, 동아리, 교회 커뮤니티 등의 정서적·실질적 지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업에서 성공한 경험이 많을 경우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대학 생활을 지속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의 의미, 학업 중단 경험, 학업 지속 경험 측면에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진로교육, 사회적 지지 확대를 위한 교육과정 그리고 북한이탈 대학생에 대한 심리적 지원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가 북한이탈 대학생 전체에게 일반화될 수 없고, 제 3국에서 출생한 참여자의 사례를 다루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다룰 것을 제언하였다.

      •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김보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현적 자기애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설문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대기업에 재직중인 직장인 88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변인의 측정을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척도(강선희, 정남운, 2002), 직무소진 척도(신강현, 2003)를 사용하였으며,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Frost, Marten, Lahart와 Rosenberg(1990)의 실수에 대한 염려와 수행에 대한 의심 척도, Slaney, Mobley, Trippi, Ashby와 Johnson(1996)의 불일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 23.0 프로그램과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인 PROCESS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제안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 내현적 자기애, 완벽주의와 직무소진 관계를 파악한 후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하위요인들이 갖는 매개효과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는 수행에 대한 의심과 불일치를 높여 직무소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현적 자기애가 높인 실수에 대한 염려는 오히려 직무소진을 낮추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와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직장인들의 심리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직무소진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