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도장선택요인과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의 관계

        김만준 暻園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이 연구는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도장선택요인이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조사대상은 여주 및 이천 지역 소재 20개 태권도장에서 수련하고 있는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 총 300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271명이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한 통계는 Spss for Windows 19.01을 이용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및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학부모의 특성에 따라서 도장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 부대시설요인에서, 도장만족의 지도자만족, 프로그램만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재등록의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부모의 연령에 따라서는 도장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요인 도장이미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도장선택요인,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련자녀의 품단에 따라서는 도장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 도장시설요인에서, 도장만족에서는 지도자 만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등록의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련자녀의 연령에 따라서는 도장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 도장이미지, 지도자특성, 부대시설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도장선택요인의 접근성 및 환경, 지도자특성, 도장시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나, 도장만족요인 및 재등록의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장 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요인은 도장만족의 도장환경만족을 제외한 지도자만족, 프로그램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재등록의도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장선택의 접근성 및 환경요인과 도장이미지요인은 도장만족의 모든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장선택의 지도자특성 요인은 도장만족의 모든 요인과 재등록의도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도장만족요인의 모든 요인은 재등록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도장선택요인의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 도장이미지, 지도자특성, 부대시설, 도장시설 등 모든 요인이 도장환경만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장만족의 지도자만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도장선택요인은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 접근성 및 환경 요인이었다. 도장만족의 프로그램만족 요인에는 도장선택의 모든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도장선택요인은 지도자자질 및 프로그램요인이었다. 넷째, 도장만족의 도장환경만족, 지도자만족, 프로그램만족 등 모든 요인이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도장선택요인은 도장만족 및 재등록의도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련생 학부모의 도장만족은의 모든 요인이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수련생 학부모의 도장만족이 높으면 수련생의 재등록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만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for users of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centers by empirically analyzing what factors affect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which require the change with a surge of social welfare centers and with various welfare policies increasing. Furthermore, it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centers based on these analyzed results. The study has been aimed at private commissioned welf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method has been a literature research along with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ocess of contracting-out, welfare values of a welfare center official in charge in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values of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on the spot in order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Accordingly, the service qu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has been classified into tangibility, reliability, reactivity, certainty and empathy with SERVQUAL scale. On the other h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process of contracting-out, the values of a welfare center official in charge and the values of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and the measure index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ir conceptual definitions and the prior researches. Concerning the process of contracting-out, the variables consist of legality, appropriateness, fairness, rationality and autonomy, and regarding the values of an official and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variables are composed of self-esteem for their work, the recognition of welfare system, an agent in charge of welfare and the desire of welfare policies and then hypotheses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factors about the effect of the contracting-out process on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legality, appropriateness and rationality have a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service quality. This result originates from that the contracting-out process has been enforced based on fairness and transparency under the provisions of laws and ordinances, regulations and rules, and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constituted based on the appropriate examination table in the course of consignment institution selection. On the one hand, fairness and autonomy do not have a lot of statistical influence. This is because that some private contracts have been signed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 and recontracting and there is strict control over finance such as excessive auditing of commission institution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factors about the effect of welfare values of an official in charge on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an agent in charge of welfare and the desire of welfare policies have directly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On the one hand, self-esteem for their work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e system do not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This is because that officials in charge are bureaucrats and their responsibilities for welfare and desires for welfare policies are different from other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desire for other duties with increase in rapidly changing welfare policies and they recognize the tendency not to work as the welfare is expanded. Third, as for the factors about the effect of welfare values for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on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centers, an agent in charge of welfare and the desire of welfare policie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the same as an official in charge. This result comes from that a person in charge on the spot of welfare overall executes welfare services for various welfare recipients as a delegate of government. On the one hand, self-esteem for the work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 system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s is because that the profession of social worker is difficult and the salary is low compared to other professionals, which leads to turnover and welfare is recognised as helping people who do not need to be helped. Fourth,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service quality for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centers,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s of an official in charge and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and the service quality. This result originates from that an official in charge and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directly and indirectly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users on the spot.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contracting-out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e values of a person in charge of social welfare centers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This is because that users of welfare centers are provided with only welfare services directly. Consequently, the fairer the contracting-out process is and the higher the values of an official and a person in charge of welfare centers are,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became.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uggested what factors affect the service quality of welfare center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centers and it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practical aspect in that it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private commissioned social welfare facilities. 본 연구는 급증하는 종합사회복지관과 다양한 복지정책의 증대로 변화가 요구되는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복지관 이용자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중심으로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에 관한 서비스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경기도에 설립된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민간위탁과정, 지방자치단체의 복지관 담당공무원의 복지가치관, 그리고 현장에서 복지관을 운영하는 복지관 책임자의 복지가치관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종속변수인 서비스 질은 SERVQUAL 척도를 가지고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독립변수는 민간위탁과정, 복지관 담당공무원의 가치관, 복지관 책임자의 가치관이며, 이들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민간위탁과정에서는 적법성, 적정성, 형평성, 합리성, 자율성 등으로 변수를 구성하였고, 복지관 담당공무원 및 복지관 책임자의 가치관은 업무 자부심, 복지제도 인식, 복지책임 주체, 복지정책 욕구 등으로 변수를 구성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위탁과정이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결과 적법성과 적정성, 그리고 합리성이 서비스 질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민간위탁과정이 공정성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법령과 조례․규칙에 의거 시행되고 있고, 수탁기관의 선정에 있어서도 적법한 심사표에 의한 배점기준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 형평성과 자율성은 통계학적으로 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계약과 재계약하는 과정에서 일부 수의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위탁기관의 지나친 회계감사 등 재정적인 부분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담당공무원의 복지가치관이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결과 복지책임 주체와 복지정책 욕구가 서비스 질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업무 자부심과 복지제도 인식은 통계학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담당공무원의 경우 국가의 복지사무를 직접 담당하는 관료들이기 때문에 복지에 대한 책임과 복지정책 욕구가 남다른 반면, 급변하는 복지정책의 증대로 업무량이 많아 다른 업무를 맡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복지가 확대될수록 일을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담당공무원은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복지관 책임자의 복지가치관이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결과 담당공무원과 마찬가지로 복지책임 주체와 복지정책 욕구가 서비스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복지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책임자로서 다양한 복지대상자를 상대로 국가가 해야 할 복지 업무를 대리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업무 자부심과 복지제도 인식은 통계학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사라는 직종은 다른 전문직에 비해 힘들고 보수가 적은 편이어서 이직을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복지는 돕지 않아도 될 사람을 돕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의 변수 간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담당공무원의 가치관과 복지관 책임자의 가치관은 서비스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복지관 담당공무원과 복지관 책임자는 이용자들에게 현장에서 직․간접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민간위탁과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복지관 이용자의 경우 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만 직접적으로 제공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민간위탁과정이 공정할수록, 복지관 담당공무원 및 복지관 책임자의 복지가치관이 높을수록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복지관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민간위탁 사회복지시설 분야에 확대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 社會福祉法人 設立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設立要件과 節次를 中心으로

        金萬俊 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의 현대국가들은 국민의 복지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고령화의 급속한 증가, 핵가족화 및 도시화의 진행에 의한 가족 및 지역사회의 부양능력 저하, 국민의식의 다양화 등에 의한 국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다양화를 들 수 있다. 그 동안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민간부문의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권위주의적이고 관료주의적인 행정체계로 인하여 미약한 재정지원과 과도한 규제가 뒤따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가 어려웠다. 이처럼 사회복지법인은 불합리적인 법규정과 행정절차에 의하여 법인설립의 절차가 까다로와 적절히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법인이 합리적으로 설립되기 위해서는 설립과정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회복지법인의 운영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기존의 연구도 법학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요건과 절차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고찰을 통해서 법인의 개괄적 내용을 살펴보고, 사회복지법인의 개념·특성과 사회복지법인관련 법규를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요건으로는 출연재산, 정관작성, 주무관청의 허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허가신청, 처리절차, 법인 설립 허가 후 조치사항과 같은 설립과정을 고찰하면서 현장 실무대표자들과의 면담도 함께 다루었다. 셋째, 위에서 고찰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출연재산, 정관작성, 준칙주의에 의한 법인설립 그리고 법인의 지도·감독으로 나누어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서술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장 실무를 보완하기 위하여 법인대표자(실무자) 및 법인업무 담당공무원과의 면담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정관의 작성, 주무관청의 설립허가, 설립등기 등 세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이 세가지 외에 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사업의 목적을 위하여 재산이 중심이 되는 법인이므로 법인이 설립의 요건을 갖춤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먼저 법정자산을 확보하는 것이 선결문제인데 이러한 설립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출연재산의 귀속시기이다. 출연재산의 귀속시기에 관한 민법 제48조는 물건 변동에 관한 대원칙인 성립요건주의(민법제186조,제188조)와 지시채권의 양도에는 증서의 배서·교부(민법제508조)를, 무기명 채권의 양도에는 증서의 교부(민법제523조)를 성립요건으로 하는 채권양도에 관한 원칙과의 관계에 있어서 곤란한 해석상의 문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학설도 대립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형식주의(민법제186조)라는 법에 근거없는 복잡한 기교적인 이원체제를 창안하여 재단법인의 법률관계가 획일적이지 못하고 불명확하다. 이원적으로 해석한 대법원판례는 재단법인의 설립과 그 기능의 혼란을 야기시킨다. 둘째, 정관작성상의 문제로 정관준칙은 획일적이고 사회복지법인의 자율성을 해할 우려가 크다. 그리고 정관에서 필요적 기재사항인 총칙중에서 명칭은 복지서비스의 대상이 일반적이고 포괄적임을 감안하여 어느 특정의 종교, 회사, 개인에서 그 명칭을 따오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임원과 이사회에 대한 문제에서 먼저 이사의 문제점으로, 이사의 인원수에서 실질적인 의결을 하는데 있어서 현 정관준칙에 의한 최저인원 5명은 부족한 인원이다. 그리고 현행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의 구체적인 활동을 하는 임원에 있어 법인의 업무를 집행할 이사나 이사의 사무집행을 감독할 감사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제적 제한 규정이 없으므로 사회복지법인의 운영에 있어 다소 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은 것이다. 감사의 문제점으로는 업무감사에 대해서 일관성있게 합의된 규칙이 없으며 일정한 감사실시규정 등의 정관상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감사의 실효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업무의 효과성등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회복지법인이 정한 정관에 이사회의 요의결사항의 구체적인 범위가 모호하고 이사장의 전결사항의 구체적인 범위내용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 셋째, 허가절차에 대한 문제점으로 허가절차에 있어 처리기간이 너무 짧아 형식적이고 주무관청의 일선 담당공무원도 비전문성과 지속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허가주의에 의해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을 제한할 경우 민간의 사회복지참여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는 첫째, 출연재산은 사회복지법인의 설립허가시 또는 설립자의 사망시에 당연히 법인에게 귀속한다고 해석하는 다수설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며, 향후 일관성 있는 법 해석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정관을 작성할때는 이사나 감사의 기능을 강화하고 이사회활성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작성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에 있어서는 법률이 정하는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당연히 법인이 설립되는 준칙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준칙주의를 채택하므로서 발생하는 조직 내 부실한 점은 법인설립 후 지도·감독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도·감독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실시 할 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을 위와 같이 개선함으로서 민간의 사회복지에 대한 참여를 적극 권장할 수 있으며, 활발한 민간참여는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In 21 century, modern country is interested in people's welfare. It is due to decrease of support capacity of family or local society caused by rapid increase of ageing people, the trend of nuclear family and promotion of urbanization and increase and diversity of people's desire for social welfare caused by diversity of people's consciousness. Until now on, Korean social welfare has rapidly grown on the basis of private social welfare corporation but it was hard to induc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due to timid financial assistance and heavy regulation caused by authoritarian and bureaucratic administration system. Social welfare corporation was not properly operated due to particular process of corporation foundation caused by unreasonable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ss. To establish social welfare corporation reasonably, we have to find problem and consider improvement method through considering foundation process. But the study on th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insufficient and that existing study has a character of law so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survey required condition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he problem of proces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 to solve problem. The context of this paper is like follow: First, it surveyed general context of corporation,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regulation concerned to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rough consider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Second, for required condition for found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 it surveyed contributed asset, preparation of statute, permission of competent authority, considered foundation process like application for permission, transaction process and management after permission of corporation and handled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s of practical affairs. Third, it surveyed the method to solve problem appeared in above foundation process of corporation through classifying it into contributed asset, preparation of statute, foundation of corporation according to standard and guidance and supervision of corporation. In study method, it used descriptive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erformed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 of corporation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in charge of foundation of corporation to supplement actual affair of fiel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and improvement method from the result of this paper was like follow: Three processes like preparation of statute, permission of competent authority and registration of foundation are necessary to establish social welfare corporation. Besides them,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asset-based corporation for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business so insurance of legal asset is previous question for meeting required condition for foundation of corporation. Problems appeared in the foundation process are like follows: First, the tim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Provision 48 of the Civil Law concerned to the tim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is providing existence condition basis, the broad principle about change of object (Provision 186 and 188 of Civil Law) and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le about transfer of bond that requires endorsement and grant of bond when transferring order bond (Provision 508 of Civil Law) and grant of bond when transferring bearer bond (Provision 523 of Civil Law). Theories about this problem are also confronted. Relative law of corporation is not uniform but unclear because complex and technical dual system was created regardless of external Formalism (Provision 186 of Civil Law). Dually-interpreted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gives confusion to foundation of corporation and its function. Second, due to problem on preparation of statute, standard of statute is not uniform and is apt to destruct self-control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name of corporation among general rules, required entry in statute has not to be named after certain religion, company or individual while considering that target of welfare service is general and wide. Among problems of executive and board of direction, first of all, in the problem of board of direction, minimum number of person to make actual decision according to present standard of statute, 5 persons are in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compulsory regulation to insure specialty for director to execute affair of corporation and inspector to inspect director's execution in present welfare business law, ineffective and unreasonabl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possible. The problem of inspection is that it is hard to insure actual effect of inspection because there is no consistent regulation about inspection of affair and constant inspection performance regulation is not mentioned in statute. The evaluation on effect of affair was almost not performed. Specific range of decision-making by board of director in statute defined by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vague and the regulation about specific range of chief director's decision is not clear. Third, the problem of approval process is that relative public servant of competent authority is lack of specialty and durability due to short management period in the process of permission and citizen is hard to participate in social welfare business when restricting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by permission basi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these problems are like follows: First, in contributed asset, theory of majority interpreting that it is reasonabl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to corporation in case of permission of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founder's death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law is required in future. Second, it has to be prepared for reinforcing director and inspector's right and encouraging activation of board of director when preparing statute. Third, when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meets required condition of law, it is reasonable to select standard basis founding corporation. Fourth, for the weak point happened from selecting standard basis, guidance and supervision have to be reinforced to supplement the weak point with them after founding corporation. Those guidance and supervision will be effective when public servant in charge of social welfare business who has specialized knowledge performs it. Through improving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like above, it is possible to actively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business and active citizen's participation will play important role for increase of social welfare.

      •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김만준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 검토를 통해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에 포함될 개념들을 구체화하여 측정 변인 간 영향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은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노동을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주의정도, 감정적 부조화, 감정표현의 다양성으로 구분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 16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15일간 수원지역 소재 6개소의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5부의 유효한 설문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수준은 리커트 척도 5점을 기준으로 감정노동의 평균은 3.03점(SD=.73)이었고, 하위요인인 감정표현의 빈도는 3.29점(SD=.85),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3.07점(SD=.92), 감정적 부조화는 2.60점(SD=.91), 감정표현의 다양성은 3.15점(SD=1.01)이었으며, 서비스 질의 평균은 3.83점(SD=.40)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수준은 중간값(3점,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질 수준은 중간값(3점, 보통)보다 높게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최종학력(F=4.170. p<.01), 결혼상태(t=2.796. p<.01), 일일평균 근무시간(F=5.355, p<.01)은 감정노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종교, 근무경력, 직종, 월평균 소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 차이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F=2.413, p<.05)은 서비스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상태, 종교, 근무경력, 직종, 일일평균 근무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의 빈도(r=-.402, p<.01), 감정표현의 주의정도(r=-.430, p<.01), 감정적 부조화(r=-.550, p<.01), 감정표현의 다양성(r=-.480, p<.01)은 서비스 질과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낮아지면, 서비스 질은 높아짐을 의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서비스 질을 투입한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39.7%(R=.397)이었으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F=12.699, p<.001).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감정적 부조화(t=-5.092, p<.001)와 감정표현의 다양성(t=-4.176, p<.001)이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표현의 빈도와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감정적 부조화(=-.349), 감정표현의 다양성(=-.238)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정적 부조화와 감정표현의 다양성이 낮을수록 서비스 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증적 연구결과로,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어르신들의 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earch what influence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on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is, a research model have been design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the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on the quality of service. In addi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have been researched by specifying the concepts to be included. Regarding the research model,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he service quality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has been researched by classifying the emotional labor into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the extent of the caution about the emotional expressions, the emotional disharmony,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For this, the survey have been conducted from April 16th in 2021 to April 30th in 2021(for 15 days) aimed at the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at 6 senior centers in Suwon. The data of 285 copies of the vaid questionnaire have been utiliz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ollected data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service quality, the average of emotional expressions is 3.03 point(SD=.73) according to the five-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regardi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the average for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s is 3.29point(SD=.85), that of caution for emotional expressions is 3.07 point(SD=.92), that of emotional disharmony is 2.60 point(SD=.91), that of diversity for emotional expressions is 3.15 point(SD=1.01) and that of service quality is 3.83 point(SD=.40). These indicate that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s a little negative consider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for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is a littl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 point, average) and that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is relatively positive considering its level i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 point, average).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the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F=4.170. p<.01), the marriage status(t=2.796. p<.01), and the daily average working hours(F=5.355, p<.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emotional labor. However, the gender, the age, the work experience, the type of job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the average monthly income(F=2.413, p<.05)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gender, the age,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he marital status, the religion, the work experience, the type of the job, and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service quality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02, p<.01), the caution exten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30, p<.01), the emotional disharmony(r=-.550, p<.01),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80, p<.01)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rvice quality. This means as the emotional labor gets lower the service quality gets higher.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 workers at senior centers. The explanation of the final model that the service qu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has been injected is 39.7%(R=.397), meaning the model is valid(F=12.699, p<.00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significance, the emotional disharmony(t=-5.092, p<.001)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t=-4.176, p<.001)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Also,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 caution exten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p>.05). The emotional disharmony (=-.349)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238) have a major significant influence in sequence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us, the lower the emotional disharmony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get, the higer the quality of service gets. The findings of research above are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indicating that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a senior centers has an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data for reducing the level of the emotional labor for workers at senior centers and as data that can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social welfare for senior citizens. * Keywords: senior center, worker, emotional labor, quality of service.

      • 요양보호사의 태도와 서비스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수원시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만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서비스의 최종 전달체계인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태도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요양보호사의 태도와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궁극적으로 질 높은 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노년기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이후 사회활동 참여변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만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life expectancy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and advances in medical system, population aging is progressing at a rapid pace in our society. Due to the progress in population ageing,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poverty in old age and sense of isolation have emerged, and preparing measur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has become the most pressing issue in the ageing society (Kim et al., 2003). However, the suicide mortality rate of the old age in Korea is still the highest among member countri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2022).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improvement in basic living standards does not guarantee or result in happiness in old age. In order to ensure successful ageing, economic intervention to relieve poverty of the old age is not enough. Additional resource exploration and various intervention that can revitalize old-age life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level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analyze whet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oderates this relationship.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old age could be a strong driver of successful ageing. This is largely becaus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old ag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can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by alleviating the loss of previously suspended roles due to the retirement from work (Lemon, 1972). However, the infectious disease outbreak in 2019, COVID-19, has led to a decrease in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of the older adults through policies that refrained from going out and minimized contact with others. Since the older adults are most likely the group to experience a great crisis amid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g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urther explore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old age life by exploring the actual influence of chang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method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lassified social activities into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What is the effect of assets and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fter COVID-19? 2) Does the impact of asset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formal and informal participation after COVID-19? 3) Does the impact of asset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increase/decrease) after COVID-19?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compare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7th panel survey data before COVID-19 (2018) and 8th panel survey data after COVID-19 (2020) were used. The number of samples that responded to both panel surveys was 5,388,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ir response valu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at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sset levels, but also through interactions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at have relational attributes. To this end,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results of previous literature studies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could still be supported in the post COVID-19 situation. As a main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could affect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Moreover,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Theory, which argu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could affect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was verifi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set of the old age, particiap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Seco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formal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onship between asset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cases where participation in formal social activities increased after COVID-19, the influence of asset on life satisfaction was mitigated. This tendency became stronger as the level of asset holdings de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for older adult with lower assets, increased participation in formal social activities can be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prevent a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ge. Fourth, the decrease in informal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was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level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Likewise, this tendency became stronger as the level of the asset holdings decreased. Through this trend, a decrease in participation in informal social activities could be a risk factor that reduces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ge with lower assets. The main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was identified. Through this,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relational attribute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More importantly, through the study design and results, this study expanded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theories by suggesting the fact that the theories that have previously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re still valid even at the post COVID-19 sit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could be used as a strategic resource to alleviate the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ge whose range of life has decreased after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formal social activities to the older adults with lower asset holding levels. This is because participating in formal social activities could be a protective factor that mitigates the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even if the level of holding assets is low. Therefore, practical effort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promotion are needed to increase the sense of benefit that the older adults with lower asset holding level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ng in formal social activities. Seco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reduction of informal social activities, along with encouragement of the older adutls to participate in formal social activitie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decreased after COVID-19, and it strengthened the influence of assets on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for those with lower asset levels, the decrease in informal social activities has become a risk factor that may worsen his or 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that decrease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ith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in infectious diseases situation could lead to a crisis in old age.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formal social activities of the older adults should be supported though various means even in the COVID-19 situation. Despite the implications discussed abov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ore data need to be accumulated after COVID-19. If sufficient data are accumula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can be verified at a more precise level. Second, there is a limit in terms of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o all older age groups in Korea. Although most of the data available in this study represent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ult may not be applied to some old age groups with very small or very large assets.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various data or qualitative research of other old age groups. Third,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influence of each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social activity was classified in terms of formal and informal ones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previous empirical studies. However, since each activity has a different magnitude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imply classifying them in terms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can distort the actual influence of each activity (Ritchey et al., 2001). In future studies, more detailed analysis is required while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previous classification methods. Furthermore, even at the event of prevalent disaster situation such as COVID-19,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a certain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lso, new types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club activities centered on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non-face-to-face cultural classes are emerging. Thus, in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meaning of existing social activities while including new type of activities such as non-face-to-face meetings, along with the classification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Beyond the early data of the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suggests that attempts to explore the changes i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older adults should be continued by examining the trends of life in old age that have changed since the pandemic.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by the old age after COVID-19, such as discussing ways to expand information or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cquiring new technologies. Even after the post COVID-19 situation, the study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older adults, and the in-depth exploration of the factors leading to happiness in the old age are further encouraged to continue steadily. 기술적 진보와 의학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해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회 내에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 진전으로 인해 노인빈곤과 소외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가 파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고령사회의 최대 이슈가 된다(김미숙 외, 2003). 그러나 한국 노인의 자살사망률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는데(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2), 이러한 조사 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기초생활 수준의 향상이 노년기의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빈곤 해소를 위한 경제적 개입과 더불어 노년기 삶에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자원 탐색과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산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사회활동 참여가 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지점으로 설정하였다. 노년기에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행복한 노년기를 이끄는 강한 동인이 될 수 있다. 사회활동을 통해 기존에 중단되었던 역할 상실을 대체시키는 등 삶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Lemon, 1972) 노년기에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팬데믹 감염병 사태 속에서 고령층에 달할수록 높은 치사율이 보고되었고, 이는 외출을 자제하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등 노년기 사회활동 참여의 무력화를 기도하는 배경이 되었다. 노년층은 사회활동 참여의 제한 속에서 큰 위기를 겪을 수 있는 집단이기에 COVID-19 이후 사회활동 참여의 변화가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활동 참여의 변화가 자산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하여, 노년기 삶에서 ‘사회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의 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사회활동이 지니는 특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1) COVID-19 이후 자산과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COVID-19 이후 공식적, 비공식적 참여 정도에 따라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3) COVID-19 이후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정도의 변화(증가/감소)에 따라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자료로, COVID-19 발생 전후의 상황을 비교하기 위해 COVID-19 발생 이전의 7차 고령화 패널(2018)과 COVID-19 이후 의 8차 고령화 패널(2020)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두 시기에 걸쳐 모두 응답한 표본은 5,388명이며, 이들이 응답 값을 기반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증 분석의 과정을 거쳐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가 자산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뿐 아니라 관계적인 특성인 사회활동 참여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노년기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강조한 문헌연구들의 결과가 COVID-19 이후의 상황에서 지지될 수 있는지 점검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 활동이론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이후 노년기 자산,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자산이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COVID-19 이후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정도는 노년기 자산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노년기 자산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VID-19 이후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정도의 증가한 경우 노년기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완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을수록 확연히 드러났으며, 이를 통해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은 노인들에게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의 증가는 삶의 만족도 하락의 위기를 경감시킬 수 있는 보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COVID-19 이후 비공식적 사회활동의 감소는 자산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을수록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을 통해 비공식적 사회활동의 참여 감소가 자산이 낮은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를 하락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산과 노년기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속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가 지니는 효과성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관계적 자원이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지니는 중요성과 의미를 고찰할 수 있었다. 특히, 노년기 자산과 삶의 만족도, 노년기 사회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강조해 온 이론의 유효성이 COVID-19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탐구하여 기존 이론의 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 속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는 한국의 상황을 고려하면 노년기 사회활동 참여는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저하를 완화할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냈다. 첫째, 노년기 삶의 만족도 감소를 보호할 수 있는 자원 탐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은 노년층에게 공식적 사회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할 필요가 있다. 공식적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더라도 삶의 만족도 하락으로 이어지는 위기를 경감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자산이 낮은 노년층이 COVID-19 이후에도 공식적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유익감을 얻을 수 있도록 이를 장려하는 노력과 프로그램 개발 등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노년층의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장려와 함께 비공식적 사회활동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동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COVID-19 이후 가족과 주변 이웃 등과의 교류가 감소하며 결과적으로 자산의 보유수준이 낮은 노년층일수록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노년층에게 비공식적 사회활동의 감소는 삶의 만족도 저하가 심화될 수 있는 위험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 이웃 등과 교류하는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가 줄어들 때 삶의 만족도 하락이 강화될 수 있는 위기 상황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타인과의 접촉이 제한된 COVID-19 상황 속에서도 비공식적 사회활동 참여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의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이후 의 상황을 반영한 데이터가 꾸준히 축적되어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제7차 및 제8차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로, 각각 감염병 발생 이전과 이후 초기 시점의 상황이 반영되었다. 감염병 발생 이후 노년층의 사회활동 참여정도의 변화를 살피고, 이러한 변화가 노년기 삶에서 지니는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종단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한국 사회의 모든 노년 집단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가용한 분석 데이터의 대부분은 연구 결과를 대변하고 있으나, 자산 수준이 매우 작거나, 매우 큰 일부 노년 집단에게는 본 결과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는 다각적인 자료 및 집단의 분석 또는 질적연구가 동반되어 보다 풍부한 의미를 이끌어내는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분류에 포함된 세부 변수의 효과 크기가 세밀히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경험연구들에서 제시해 온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활동의 분류에 근거하여 각 활동들을 분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특정 활동의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각 세부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끝으로, COVID-19 이후 노년기 사회활동 참여 보장을 위한 자원탐색과 개입과 관련된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온택트(Ontact)중심의 비대면 동호회 활동, 비대면 문화교실 등의 새로운 유형의 사회활동이 등장하고 있는 만큼, 후속연구에서는 비대면 형태의 신(新)사회활동 유형을 반영한 재편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신기술 습득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 교육제공의 확대방안을 논의하는 등 노년기 사회활동 참여 장려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COVID-19 발생 이후에도 꾸준히 노년기 삶에서 사회활동 참여가 지니는 의미를 탐구하고 노년기 행복감을 이끄는 요인을 심도있게 고찰하는 시도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Gunter Behnisch의 유기적 관점에서 본 건축 사상과 작품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thoughts and work characteristics of Gunter Behnisch from the organic viewpoint

        김만준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Behnisch 건축의 밑바탕에 깔린 주요한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고, 이러한 사상들이 그의 건축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건축구성방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Behnisch의 건축사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건축 사유를 그의 실제작품에 적용하여 분석해보고, 나아가 우리건축에서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Günter Behnisch 건축에서의 환경은 빛과 같은 자연적 요소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 그 자체가 살아가는 삶에서 공유되어짐이 우리에겐 더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의 건축은 권위나 억압은 없지만, Situation Architecture(상황 건축), Transparency(투명성), Humanity(휴머니티), Public Space(공유 공간)과 같은 자신만의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신만의 건축 어휘를 통해서 공간적 특성에 있어서 형태적 구성원리가 나타나게 된다. 2. Günter Behnisch의 건축어휘 중 가장 성격이 강한 것은 Situation Architecture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어휘는 주어진 대지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가장 적합한 건물을 지으려고 한 그만의 독특한 설계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이것은 Transparency, Humanity와 같은 다른 건축어휘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재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는 자신의 독특한 디자인을 표현하고 보완해 줄 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 신중함을 가진다. 그 결과 유리와 아크릴, 또한 채색된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건물을 밝고 가벼우면서 경쾌한 작품들을 만들어내게 된다. 4. 이제까지 그의 작품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Günter Behnisch는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건축의 스타일을 끊임없이 창조하며, 모든 사물을 순수한 시각으로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려고 노력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그 공간에서 사람의 행위는 그대로 살아있는 것이다. 곧 Günter Behnisch의 건축은 전반적으로 인간에 대한 해석과 환경을 바탕에 둔 휴머니즘의 건축이라 할 수 있다. 항상 논란과 관심의 대상이었던 Behnisch의 작품이지만, 항상 마지막에는 찬사를 받음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작품은 지루할 수 있는 건축 환경에 신선함과 자극을 불러 일으켜 주었다. 건축에 있어서 사람이 주체가 되는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Behnisch의 건축은 새로움이며 이미 그것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건축 양식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