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장을 이용한 루프검지기 자동진단시스템 개발

        김남선 亞洲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의 루프검지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성능평가 방법으로서 사용해왔던 L-R-C Test에 의한 Q Factor(질 계수)방법을 대체/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Q Factor방법은 크게 세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첫째, 현장의 루프검지기의 전기적 특성인 L-R-C값을 Q Factor를 기준으로 루프검지기의 현재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인력에 의존하는 효율성에 문제를 안고 있으며 둘째, 루프검지시스템의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일부의 측정치만으로 전체시스템을 추론하고 있다는 점과 셋째, 기존의 방법으로는 루프검지기의 검지영역, 즉 높이별 검지영역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루프검지기헤드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루프검지기 전체시스템의 현재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루프검지기 헤드에서 형성되는 자기장 수집자료는 주파수와 세기이며 이를 높이별로 검지영역의 단면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이를 위하여 루프검지기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자료수집방법, 분석방법 및 진단방법등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에 문제점으로 제시한 세 가지를 모두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진단시스템은 첫째, 자기장센서를 차량에 부착하여 주행함으로써 자료수집이 가능하므로 인력에 의존한 효율성 문제를 극복하였다. 둘째, 루프검지기에 형성된 자기장은 루프검지기 전체시스템의 최종산출물이므로 루프선의 상태를 측정하는 기존시스템의 문제를 극복하였다. 셋째, 자기장센서를 높이별로 설치하여 각 높이별로 검지영역에 대한 단면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연속류와 단속류를 포함한 교통관리시스템 운영시 검지가능차종 및 보정계수설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한 자동진단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자기장 센서 설치방안수립 2. 자기장 기준값 설정 3. 자료수집차량 속도산정 알고리즘 4. 검지영역 추정 알고리즘 5. 점유시간 추정 알고리즘 6. 상태진단 방법 7. 루프검지기 튜닝방안 개발된 자동진단시스템에 대하여 이상적으로 설치된 루프검지기를 대상으로 실차량 점유시간의 비교를 통한 신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는 등가계수(Equality Coefficient), 카이스쿼어 검정(Chi-Square Test), Z 검정(Z Test)등 세 가지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32각 검지기는 각각 0.977, 귀무가설 채택, 귀무가설 채택, 8각 검지기는 각각 0.974, 귀무가설 채택, 귀무가설 기각, 원형 검지기는 각각 0.991, 귀무가설 채택, 귀무가설 채택의 결과를 보였다. 여기서 카이스쿼어 검정과 Z 검정의 유의수준은 5%, 검정통계량은 각각 70.224와 1.96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장을 이용한 루프검지기 자동진단시스템”의 장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1. 루프검지기 유지보수시 교통류의 흐름을 원활. 2. 유지보수체계의 자동화. 3. 교통변수(점유시간, 실검지영역 길이, 검지높이 등)의 참값을 제공. 4. 루프검지기 작동상태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제시와 분석가능. 5. 현행 유지보수체계에 비해 비용의 절감효과가 높음.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new method which can replace the existing method, known as the quality factor(Q factor) method by an L-R-C test for use in the performance test of inductive loop detectors(ILD) being installed and maintained. The existing Q factor method has the following three drawbacks : First, the performance test of ILD is based on the L-R-C values whose properties are electrical, which requires the test procedure to be a manual process, resulting in inefficiency of the test procedure due to a manual process. The second problem of the existing method is that the whole system of ILD is estimated based on the partially measured values instead of targeting the whole system of ILD. Third, the existing method is not able to measure detection area by height from the ground level. Thus, for those drawbacks to be corrected, a new approach was taken in which a magnetic field being generated from the inductive loop head was measu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hole system of ILD. In this study, a sensor to detect a magnetic field in terms of frequency and intensity, a method to collect field data, the method of analysis, and the method of diagnosis were developed. An automatic diagnosis system which was developed to overcome those drawbacks has the following features : First, field data is collected automatically by a test vehicle equipped with magnetic field sensors that is running can be said to along the roadway and, thus, the new system completely overcome the roadway and , thus, the new system can be said to completely overcome the inefficiency of the existing method second, sinc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ILD is the final output of the whole system of ILD, the existing problem has been solved. third, since each of the detection area by height is collected by the magnetic sensors installed by height, a basic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types to be detectable and the setting of adjustment factors has been made. For the automatic diagnosis system developed during in this study, a reliability test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vehicle times of ILD installed ideally. for the test, three indexes were used, namely, Equivalent Coefficient(EC), Chi-Square test, and Z test, and three types of ILD, namely, a 32 cornered (or a combination of 4 octagonal)loop, an octagonal(or square)loop and a circular loop were used. The field test results are as follows: ⅰ) 32 cornered ILD showed 0.977, acceptance of null hypothesis, acceptance of null hypothesis, ⅱ) an octagonal ILD showed 0.974, acceptance of null hypothesis, rejection of null hypothesis, ⅲ) a circular ILD showed 0.991, acceptance of null hypothesis, acceptance of null hypothesis, with respect to the three test indices mentioned above respectively. In conclusion, an automatic diagnosis ILD system using a magnetic field has been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and showed that it overcame the existing method's three drawbacks completely.

      • 일제의 대한 식민지교육정책 : 무단통치기를 중심으로

        김남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전 원문 누락) Confucian morality to inspire loyalty to Sumerangi. This was the educational plan for the development of mankind that, as the ruled, obey each policy made to maintain their own position and to the interest of them. 2) The policy aiming at the common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for recommending people the occupation in order to stabilize the order and dominative system and making them perform the role in response to the imperialistic economic policy, for it judged that if they couldn't eat they would become rioters. 3) The policy for spreading Japanese. The imperialists crammed mother tongue into people of colony in order to legitmize their plundering activity. 4) The oppress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They regulated the private school, Private Inistute and private school of old (Seodang) to hoist the banner of rescuing their country, and applied their uniform educational policy to them. 5) The policy of centraliz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uniformly. Through the complete bureaucratic or the controlling educational policy, Japanese imperialism controlled the content of education, indicated the method of education intensified the supervision and control in various means to prevent the teachers from deviating from It. To examine how this colonial educational policy was really reflected in the textbook, I see the real aspect of the textbook of moral training treated with the most importantly by Japanese ImperIalIsm to cram. their value system. It was written in Japanese. And the material of its episode and content was almost filled with the Japanese one. Its prelude and its edItion plan of government general revealed frankly that they regarded the teachIng based on the imperial edict of education as the aim of moral training's subject, that it collected the varIous morality necessary to develop the character of people. Dividing Its content generally, It was classified into the content in relation to making the subject of the ImperialIstic state that they had to be loyal to holiness of Japanese polity and majesty of Sumerangi as God's descendant and be loyal subject based on the imperial edict of educatIon, and the content in relation to morality of colonial workers such as occupational morals, frugality, Public good, charity and effort, and the content In relation to Confucian morality aIming at forming the subject of Sumerangi, and so on. (이후 원문 누락)

      • 성의 현상으로 본 여성의 돌봄에 관한 연구

        김남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Care, central and essential to nursing, is inevitable for the existence and growth of human being. But its performa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cultures. According to the ethnoscientific data, Caring, wheather it is professional or not, has been mostly performed by woman. Care in most cultures has been related to womanhood and maternity. Because of this traditional prejudice against care, nurse’s caring in a health care system has been also d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herefore, to find the way to secure the domain of nursing as a profession and then reveal that nursing has been unfairly devaluated in a structure of male dominated society. The Main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ethnographic approach. For this study, the fieldwork had been conducted from October, 1991 to May, 1993. The Key informants were 6 women aged from 40 to over 70 and general informants were 3 men, all over 50 years old, and 4 women between 20 and 30 years ol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earch field is located in Hongje-dong, the poorest distinct of Kangreung, and residents are engaging in labour as well as agriculture. In general people accepts the inevitavle of getting ill. Male, however, shows characteristics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bout the correct cause of illness, Female, on the other hand, shows internal locus of control. In case of illness, it is difficult for female to have a sick role behavior due to too much duty on her. Therefore the anticipation of role-exemption on female is lower than that of male when ill. If a husband is ill, the primary caretaker is his wife and the second caretaker is his daughter in law. Whereas if a wife becomes ill, by contrast, a husbond seldom takes care of the sick. Man generally provides psychological consolation and economic support. The analysis of data from interview, all informants indicates that, regardless of sex, accept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predominance of man over woma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is sexual discrimination in caring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such as man superior-woman inferior dichotomy. It is also related to the idea considering the care is dirty and minor. Therefore, woman who occupies lower status than man is forced to take the role of caring. However, she faces conflict because she is overburdened not only by caring the sick but also by house chores, farming, and raising her children and because her caring is not appreciated. There is a generational differences that the young feels more severe conflict than the old. Because of the patriarchial system, man’s caring too is valued more highly than womans’, but woman takes whole responsibility in caring. The continuous caring, in spite of conflicts on woman, is based on filical piety that one should be dutiful to his/her parents. The patriarchial discourse which restricts that the caring as a practice of filical piety is feminine job affects to woman continuously by way of moral pressure. 본 연구는 돌봄을 하나의 性의 현상으로 보고 일반 여성들의 돌봄행위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여성 억압의 현실과 그 기제를 확인하여 전문적 간호돌봄이 견지해야 할 전략 모색의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취하는 방법은 인류학적 접근법인 문화기술지(Ethncgraphy)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현지조사는 1991년 10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과 면적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해 준 주요 제보자는 50대~70대의 여성 6명과 50대 이상의 남성 3명이었으며 그밖에 20~30대의 기혼 및 미혼여성과 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지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연구지역 성하촌은 강릉시 홍제동에 속한 전형적인 농촌마을로서 마을의 경제 수준은 그 일대에서 가장 영세하며 농사외에 부업이나 노동등으로 생계수단을 삼고 있다. 본 연구는 돌봄이라는 의미 자체가 가지는 포괄적 특성 때문에 병자에 대한 돌봄에 국한하였으며 “배우자와 부모님이 아플 때 어떻게 돌보았는가”를 주된 질문으로 삼고 면접을 실시하였다. 병의 관념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병(건강)이란 체질적으로 타고 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체질적으로 건강한 사람도 누구나 살아가면서 병을 앓는 것으로 지각함으로써 병이란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병과 건강이 체질적으로 타고 나는 것으로 간주할 때 병이 생기는 것은 몸의 관리가 잘못되었음을 뜻하며, 남성은 자신의 병을 여성이 제대로 돌보지 않음으로써 발생한다고 하여 책임을 여성에게 전가하는 반면 여성들은 구체적인 병의 원인을 자기 자신이 관리를 소홀이 하여 발생한다고 본다.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세계 내에서 병의 원인을 찾으려고 하며 그것이 불가능한 병에 대해서는 초자연적 대상에 기인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병자역할 관행은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들은 과중한 역할부담과, 병을 운명적으로 생각하는 사고와 이어져서 병자 역할관행이 지연되고 역할면제에 대한 기대도 남성보다 낮았으나 남성들은 병이 나면 비교적 쉽게 역할 면제를 받고 병자 역할관행으로 들어간다. 남녀를 불문하고 가장 편하고 믿음직스런 돌봄 담당자는 배우자이며 아내나 남편 모두 대소변을 받아내어도 배우자가 가장 허물이 없는 편한 대상인데, 남성이 병자인 경우는 부인이 전적으로 병수발을 드나 여성이 병자인 경우에는 세대에 따라 며느리와 남편이 병수발의 책임을 나누어 지고 있었다. 성차에 따른 돌봄행위에 있어 여성들의 병돌봄 행위 유형으로는 수발하다(시중들다), 삼가다, 조심하다, 참다, 달래다, 위로하다, 안심시키다, 헤아리다, 염려하다, 대신하다, 즐겁게 하다, 빌다, 가르쳐주다 등의 행위가 나타났다. 여성들의 돌봄행위는 주로 병자 곁에서 온갖 심부름과 잔 시중을 드는 일에서부터 음식을 마련하여 섭생을 시키고 나가는 일을 삼가며, 늘 병자를 지키고 보호하는 일과 병자의 기분을 즐겁게 하는 것, 또 초자연적 대상에게 기원하며 병 치료를 위한 정보제공을 하는 일 등이다. 남성들의 돌봄행위로는 수발하다, 참다, 위로하다, 안심시키다, 헤아리다, 가르쳐주다, 부양하다가 있으며 남성들은 비교적 잔손길이 많이 가야하는 돌봄행위는 적게 수행한다. 대체로 남성들은 개인위생이나 의복세탁, 음식공양과 같은 수발행위에는 많이 참여하지 않는다. 남성들은 병구완하는 일과 수발 드는 일을 구분하여 병구완은 해도 수발행위는 하지 않으려 한다. 이러한 구분의 근저에는 남녀의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남존여비와 같은 가부장적 담론이 지배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에게는 손이나 몸놀림으로 하는 돌봄이 더 많이 기대되며 남성에게는 신체적인 돌봄 수행보다는 심리적인 위안이나 지지가 더 기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돌봄의 내용들이 전통적인 여성들의 가사노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유사한 행위들이 주종을 이루기 때문에 남성들은 수행하지 않거나 아예 하도록 기대조차 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남성들은 병자의 입원이나 수술결정과 같은 치료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주도권을 쥐고 있다. 남성들의 돌봄행위에서 여성과 비교하여 특기할 만하게 강조되고 있는 것은 경제적인 부양이다. 남성들은 돈을 벌어서 병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이 중요한 돌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남성이 돌봄 담당자인 경우에는 다른사람들의 도움이나 지원이 커서 여성들과는 달리 역할과다로 인한 부담을 지지 않아도 되며 일반적으로 여성의 돌봄보다는 남성이 하는 돌봄에 더 큰 가치 부여가 있다. 여성들은 병자에 대한 돌봄의 대부분을 담당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가사일이나 농사일, 자녀양육등 여러가지 역할들로부터 면제되는 것은 아니어서 돌봄의 부담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 60~70대 여성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 한 세대임으로 과중한 역할부담과 자신의 일이 평가받지 못하는데 대한 갈등이 없으나 40, 50대 여성들은 갈등은 있는데 표현하지 못하는 세대이며, 20~30대 여성들은 창조적인 역할수행보다는 전통속의 모형을 따르도록 요구되는 상황에 대한 내면적 갈등이 크고 비교적 솔직하게 갈등을 표현한다. 성차와 관련된 돌봄의 문화규칙으로는 여성의 본성은 남성보다 돌봄에 더 적합하다. 여성은 우선되는 돌봄 담당자이다. 여성의 돌봄보다는 남성의 돌봄에 더 큰 가치부여가 있다. 여성의 돌봄은 몸을 통한 실천이며 남성의 돌봄은 말을 통한 마음의 표현이다로 나타났으며 사람들은 남/녀, 공/사, 중요한일/소소한일 과 같은 분류 방식으로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며 이러한 차별이 지속되는데는 끊임없이 유포되는 남녀유별, 남존여비와 같은 가부장담론이 자리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가족구조의 변화로 부부의 상호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부분적이기는 하나 남녀에 따른 역할의 이분법적 도식에도 변화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돌봄의 가치를 재생산하는 기제로는 “효”가 기능을 한다고 보며 가부장제와 아울러 효를 지속시키기 위한 기제들은 여성들에게 효의 실천으로서 돌봄을 도덕적 의무감으로 부과하고 있다. 이처럼 돌봄현상을 통해 여성억압이나 차별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돌보는 여성들의 내부적인 느낌이나 경험을 표출시킴으로써 사회적으로 공감을 형성하고 앞으로 의무로 부과되는 돌봄으로부터 제대로 가치평가를 받는 돌봄으로 승화시켜 나가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 豫算決定에 있어서 地方議會 專門委員의 役割에 關한 硏究 : 濟州道 議會를 中心으로

        김남선 濟州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일정기간에 있어 목표와 사업계획을 성취하기 위하여 경제활동 전반에 대한 수입과 지출을 금전으로 표시한 숫자적 예정표로써 집행기관은 예산편성·집행권한이 있고, 지방의회는 의결·확정권과 결산 승인권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예산결정과정에 있어서 위원회를 보좌하고있는 전문위원이 예산결정에 미치는 역할을 주제로 1991년 7월 광역의회가 출범한 이후 12회계연도에 대하여 제주도가 제출한 본예산안중 일반회계를 중심으로 제주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결정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예산심의를 보좌하는 전문위원의 기능과 역할, 책임을 살펴봄으로써 의회사무처 기구강화의 합리화 방안을 도출하고, 특히 전문위원의 검토보고가 의원들이 예산결정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전문위원의 기능적인 면을 보면 첫째, 자료의 수집·조사·연구기능, 둘째, 예산안에 대한 주민의사 수렴과 의안을 반영하는 기능으로 의안심사 보조기능, 셋째, 의사결정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의사진행 보조기능이 있고, 위원회 중심주의하의 전문위원의 역할은 실질적인 의안심사 기관으로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문위원은 예산안 이외에도 결산, 조례안, 동의·승인안, 건의·결의안, 청원, 진정 및 기타의안 등 상당수를 직접 검토보고를 통해 위원회 안건 보좌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결정 내용분석을 토대로 검토보고서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검토의견 내용의 71% 정도를 의원들이 예산결정에 반영하고 있고, 의원들은 자신의 의견을 강조하기 위하여 전문성에 근거하는 전문위원의 검토의견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상임위원회나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심사 결과 1%내외의 수정율을 보이는 것은 집행기관의 전반적인 업무에 대한 정보수집·분석·전달능력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대부분의 예산심의와 관련된 자료는 집행기관에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에 의회 자체 내에서 집행기관의 각종 정책에 대하여 정책 분석기능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산심의 보좌기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전문위원의 임용자격 기준 법제화, 둘째, 예산심의 보좌기구의 신설, 셋째, 예비 검토제 시행, 넷째, 전보의 제한, 다섯째, 개선 담당자로서의 역할 등 현재의 제약조건들을 해결하여 나가야 하고, 전문위원 자신도 부단한 노력으로 소관 위원회 집행기관 업무에 대해 전문성을 키워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위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예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보고서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첫째, 전문위원의 검토보고는 의원의 예산심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회계 연도에 따라 전문위원의 검토보고서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예산심의 기간에 예산 수정율은 비례하지 않았다. 그리고 제도권에 있는 지방의회가 진정한 주민의 대표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의회사무처내에 법제와 예산안을 연중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전문위원의 직급도 집행기관의 국장급 정도로 상향조정하여 집행기관과의 위상문제가 제고되어야 하며, 사무직원도 직급을 6급에서 5급으로 상향조정하고, 인원 2인을 5인 정도로 늘려 기능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한계는 그 대상을 제주도로 하여 12년 동안의 행해진 본예산에 대하여 사례 분석한 연구이나 자료수집 과정에서 일부 자료는 회의록 또는 내부자료 미비 등으로 인하여 통계적 분석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2회계연도부터 2003회계연도까지 집행기관이 제출한 예산안에서 의회가 확정 시켜준 내용을 통계화하였고 전문위원의 역할에 대해 분석했다는 점을 감안하여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할 때 참고적인 논문이 되리라 믿는다. The budget is an itemized summary of estimated or intended expenditures for a given period along with proposals for financing them. The executive body has the right of allocation and execution of the budget, while the local assembly has the right of decision and confirmation of the budget and the right of approval of the settlement of accounts. The topic of this research is the role of staff who assist the committee in the process of the budget dec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on the budget decisions. Decisions made in the Budget Committee of the Jeju Provincial Assembly were analyzed. The main focus was the general accounts among the main budget plans submitted by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in the last 12 fiscal years since the launch of the Local Assembly in July 199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up the rationalization measures to enhance the Secretariat Office of the local assembly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reports of the staff on the budget decision of the assembly members. To this end, the function,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staff who assisted the budget review were examined. The functions of the experts are: first, collecting, reviewing, and researching materials; second, assisting with the bill review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on the budget plan and making recommendations for the bill; and third, assisting the progress of the proceedings. The role of the staff under the committee-centered principle is that of a practical bill review. Moreover, other than the budget plan, staff assist in a significant number of committee agendas, including the settlement of the accounts, regulations, approvals, proposals, and petitions, through report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report revealed by the analysis of the budget decision of the Budget Committee, the opinions of the assembly members reflect approximately 71% of the report on the budget decision. They also largely rely on the report of the staff based on the expertise to support their opinions. The correction rate of approximately 1% in the budget review of the Standing Committee or the Budget Committee shows an insufficient capability of the collection, analysis, and delivery of the information on the overall work of the executive body. They rely on the executive body for most of the materials regarding the budget review. Therefore, the assembly itself has an insufficient function of analysis of various policies of the executive body.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budget review advising committee are: first, the legislation of the appointment qualifications of the staff;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budget review advising committee;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review system; fourth, the restriction of transfer; and fifth, the role as representatives in charge of improvement. With these improvements, some of the restricting conditions could be resolved. Moreover, the staff themselves should constantly try to develop expertise on the work of the executive body of the relevant committe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budget decisio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taff through the report are as follows. First, the report of the staff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dget review of the assembly members. Second, the report of the staff has a similar influence on the Budget Committee members in each fiscal year. Third, the correction rate of the budget is not proportional to the budget review period in the Budget Committee. In addition, for the local assembly to develop as a true representative body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for the regular committee to review and analyze the regulations and budget plan in the Secretariat Office of the local assembly. The status of the staff needs to be adjusted up to a director-level of the executive body for the status balance with the executive body. The office workers' status also needs to be adjusted to the fifth-level from the sixth-level. Moreover, the number of office workers needs to increase from two to five to facilitate this function.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done on the Jeju Province for the analysis of the main budget in 12 years.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there were insufficient materials because some materials such as minutes were not available. In spite of the resultant difficulties, this research was still able to render a reliabl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ssembly decisions on the budget plan submitted by the executive body from the 1992 fiscal year to the 2003 fiscal year regarding the role of the staff. This paper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 Studies of Sampling Techniques and Analysis of Natural Aromas by GC-MS : GC-MS를 이용한 천연향료의 성분 분석과 시료 전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

        김남선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천연향료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며, 수십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천연 향료 식물의 아로마 성분들의 특성규명을 위한 새로운 시료 전처리 기술의 개발에 있다. 향장품, 아로마테라피를 비롯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유용한 새로운 성분의 규명 및 그것의 조합비를 탐색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고체상 포집-용매 추출법과 시료 상층부 매달린 방울 극미량 용매추출법을 새로운 극미량 시료 전처리 기술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추출방법의 효율에 미치는 몇 가지 변수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추출 기술의 특징을 과거에 가장 흔히 쓰이던 방법인 감압 수증기 증류법, 중류동시 용매추출법, 정적 시료 상층부 추출법 및 최근 개발된 시료 상층부 고체상 극미량 추출법과 비교하였다. 고체상 포집-용매 추출법, 시료 상층부 고체상 극미량 추출법, 그리고 시료 상층부 매달린 방울 극미량 용매추출법 같은 방법은 식물 성분과 세포의 분해를 감소시키며, 효소 활성을 최소화하고, 휘발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휘발성 아로마 화합물들을 분석하는데 매우 적합하였다. 특히, 시료 상층부 매달린 방울 극미량 용매추출법은 빠르고 용매 사용량이 무시할 만큼 작으며, 매우 낮은 농도의 분석목적 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전통적인 추출 방법의 강력한 대체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달맞이꽃, 레몬버베나, 로즈마리, 타임, 밤나무꽃, 매화나무꽃, 라벤더, 마늘, 한라봉이나 오렌지 같은 감귤류, 라일락의 아로마 성분들을 고체상 포집-용매 추출법, 시료 상층부 고체상 극미량 추출법 또는 시료 상층부 매달린 방울 극미량 용매추출법으로 분석하였다. 화학적 이온화 질량 스펙트라는 전자 충격 이온화 질량 스펙트라와 상호보완적이며 다중 질량분석법 실험은 보완적인 구조 정보자료를 얻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또한, 달맞이꽃, 레몬버베나, 라일락 중의 아로마 성분의 키랄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이클로텍스트린 모세관 컬럼을 이용한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리를 적용하였다. 위의 식물들로부터 채집한 아로마 성분들은 알코올, 알데하이드, 에스터, 터르펜, 선형 알케인, 케톤 등의 몇몇 화학적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적용된 시료 중에서 달맞이꽃, 레몬버베나, 밤나무꽃, 매화나무꽃, 라일락꽃, 한라봉의 아로마 성분들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최초의 보고들이다.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fragrances emitted by plant samples is a difficult task and has been a challenge to many researchers for many deca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velop a novel sample preparation technique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aroma compositions emanated from various natural pla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screening of new compounds and combination formulas for cosmetics, aromatherapy and many other applications is the final goal. In the present studies, solid phase trapping solvent extraction (SPTE) and headspace hanging drop micro-solvent extraction (HS-HDME) were developed as a novel technique of sample preparation. Then, the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on the method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Features of these isolation techniques were compared with the most common methods in the past such as reduced pressure steam distillation (RPSD),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SDE), static headspace (SHS), and headspace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HS-SPME) recently developed. Headspace sampling methods such as SPTE, HS-SPME and HS-HDME diminished fairly decomposition of plant compounds and cells, minimized activity of enzyme, and decreased loss of those constituents. These methods were competent methods to analyze volatile aroma compounds. Especially, HDME technique represented powerful alternatives to the conventional micro extraction method due to their speed, negligible volume of used solvents and the ability to detect analytes at very low concentration. Aroma compositions of evening primrose, lemon verbena, rosemary, thyme, chestnut, maewha (meihua : ume), lavender, garlic, hallabong, lemon, orange, grapefruit, and lilac were characterized by SPTE or HS-HDME and HS-SPME combined with GC-MS. CI spectra were complementary to EI spectra and multiple MS experiments were very helpful to obtain additional structural data. In addition, separation of enantiomers on a cyclodextrin capillary column was applied to identify chirality of aroma components from evening primrose, lemon verbena, and lilac. Aroma compounds collected from above plants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chemical groups: alcohols, aldehydes, esters, terpenes, linear alkanes, ketone, and others. Among these applications, present studies of the aroma compositions of evening primrose, lemon verbena, chestnut, maewha, lilac and hallabong were the first reports.

      • 시설장이 인식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인력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김남선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d direct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practical problems regarding manpower operation, education, facility management,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in the operation of brain lesions. Urrently, the guidelines for changing the standards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rom 3 disabled to 1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 are given, but there are many facilities subject to the standards of 4 disabled people in 2021. Accordingly, is the current manpower standard for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ppropriate for supporting the disabled by type of disability and facility operation?Through the question,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problems of facility operation, solutions, and system improvements through the operat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brain lesions (2 people), day care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1 pers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tailed manpower allocation standards such a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types are required to provide specific manpower support for the provision of customized day care services for each type of day care fac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acility area and facility standards. Currently, the standard of 66㎡ or more is installed and operated with a minimum floor area, so the space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eparate space due to challenging behavior, a rest space for workers, and an activity space for brain lesion users. In the case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the area of facilities suitable for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for securing spaces per person by referring to regulations that require more than 6.6㎡ of living room or bedroom space per person. Third, the expans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cluding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by reflecting research on needs of each field and policies subdivided through surveys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Korea Associat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nit price of services and usage fees supported by region and facility type. Through a nationwide single standard service, the quality of unbalanced services by reg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lowest standard for providing services without discrimination by type should be prepared.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facilities, support support manpower,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orkers through act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operating entiti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employment of workers, train professional manpower according to long-term service, and continuously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본 연구의 배경은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특화되어진 형태의 뇌병변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중고령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시설장이 세분화되어진 형태의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에 있어 인력 운영, 직원 및 교육, 시설 관리 및 운영, 지자체 지원 등에 대한 다방면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에 따른 향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다양한 유형의 시설의 신설과 운영의 방향성을 이끌어 보고자 하였다. 현재 ‘2022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3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에 의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인력기준이 이용 장애인 3명에 사회재활교사 1인으로 기준이 변경되어진 지침이 하달되어져 있지만, 현장에서는 2021년도 이용 장애인 4명에 사회재활교사 1인의 기준을 적용 받는 시설이 다수일 것으로 보여지며, 위에서 언급되어진 뇌병변, 최중증, 중고령 등의 유형별, 장애정도, 생애주기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주간보호시설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업무 강도, 서비스 제공 등에 따른 인력 지원기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인력지원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현행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인력 기준이 장애유형 및 시설 운영별 이용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인력지원 기준은 적정한가?에 질문을 통해 뇌병변 장애인주간보호시설(2명),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1명), 중고령 장애인주간보호시설(1명) 운영을 통한 인력 운영 기준에 따른 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 제도의 개선점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별 맞춤 주간보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 인력지원의 기준을 마련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의 업무 강도와 서비스, 프로그램 향승을 위해 인률적인 인력기준이 아닌 장애특성과 시설의 형태 등의 세분화되어진 인력배치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시설 면적 및 구비시설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연면적 66㎡ 이상의 기준을 최소로하여 설치되어 운영되도록 되어 있어서 공간이 협소하고, 도전적 행동 등으로 인한 분리 공간 부족, 종사자 휴게 공간 및 뇌병변 이용자의 활동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노인 주・야간보호시설의 경우는 시설 연면적 90㎡ 이상의 공간과 이용정원이 6명 이상인 경우에 1명당 6.6㎡(약 2평) 이상의 생활실 또는 침실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하는 규정을 참고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 맞는 시설 면적 및 1인당 확보 공간등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유형 및 정도,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확충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한국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 등에서 실시되어지는 실태조사를 통해 세분화되어진 분야별 욕구 조사를 반영한 연구 및 정책 반영을 통한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별, 시설 유형별 지원되고 있는 서비스, 이용료 단가 등이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국적인 단일화된 표준서비스를 통해 지역별 불균형된 서비스의 질을 높이며, 유형별 차별성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저기준의 평가기준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운영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한 시설 확충 및 지원 인력 지원,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종사자의 안정된 고용, 장기근속에 따른 전문 인력 양성, 지속적인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물길흐름의 방향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풍수이론 실증분석

        김남선 祥明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주거입지 선정 시 풍수지리이론을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고려해 왔다. 풍수지리이론에 따르면‘수관재물’이라 하여 물과 재물 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정설로 내려오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 이론에 대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풍수지리이론에 근거한 물길흐름의 방향(得水, 去水)이 아파트가격 및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길흐름의 방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고, 인터넷지도(다움 및 구글지도)를 활용하여 6개 지역(서울강북 및 5대 광역시)에 소재한 아파트를 도출된 조작적 정의에 기반하여 득수 및 거수지역으로 분류한 후, 이를 다시 물길형태(궁수와 기타)로 추가 분류하였다. 분류된 아파트의 2013년부터 2017년간 실거래자료(아파트 실거래가, 거래량, 규모)와 아파트 실거래자료와 관련이 있는 일반변수들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물길흐름의 방향은 전통적인 풍수이론에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득수지역 아파트 실거래가격 상승률이 거수지역보다 6개 전 지역에서 높았다. 그리고 물길흐름의 방향에 따른 형태도 풍수이론에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개 전 지역에서, 득수/궁수의 실거래가 상승률이 득수/기타보다 높았다. 하지만 거수의 경우 형태차이에 의한 결과는 명확하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래가격은 지하철역까지 거리, 동수, 경과연수, 전용면적, 물길방향(得水 및 去水), 단지형태, 아파트브랜드, 거래 층 등의 순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물길방향은 거래가격에서는 정(+)의 영향을, 거래량에서는 부(-)의 영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거래가격과 거래량은 전체적으로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Korean people have traditionally explicitly and implicitly given consideration to the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when selecting the residential location. According to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Water controls property'. The established theory has been handed down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property, but the reality is that there have thus far been poor objective and empirical studies on thi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rection of watercourse flow based on to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on apartment prices and the amount of transactions. Accordingly, it elicit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direction of watercourse flow and classified the apartment housing located in six areas(Kangbuk of Seoul and five metropolitan cities) into the areas of Deuksu and Geosu based on the elicited operational definition with the use of Internet map(Daum and Google maps). Then it additionally classified this into the form of watercourse(Gungsu and others) again. It constructed database by collecting data on real transactions of classified apartment housing over the period between 2013 and 2017(real transaction price, volume and size of apartment housing) and general variables relevant to data on real transactions of apartment housing. The direction of watercourse was shown to be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rise in th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housing in the area of Deuksu was higher in all of six areas than that of Geosu. And it was found that the form of direction of watercourse flow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The rate of rise in th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housing in the areas of Deuksu and Gungsu was higher in all of six areas than that of Deuksu'/others. But the findings from the difference in the form were not clear in case of Geosu.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al price of apartment hous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s of distance to the subway, number of apartment buildings, building age, the area of exclusive-use space, the direction of watercourse(Deuksu and Geosu), the form of apartment complex, apartment brand, the floors of apartment traded and so on.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watercour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action price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volume of transaction and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action price and the volume of transaction overall. key words : poong-soo, Inward and Outward Water Flows, deuksu, geosu, Apartment Price, transaction volu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