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기술 연구개발 시스템 연구

        권병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Research on the R&D System of Culture Technology in Cultural Content Industry Name : Byung Woong, Kwon Department : Study of Cultural Content, Applied Linguistics and Culture Studies Thesis Advisor : Youngdai Yoo Keywords : CT, CT R&D, Cultural Content, Value Chain, Digital Convergence, CT Complex, Culture Technology, Culture Contents Industry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scheme for CT(Culture Technology) R&D infrastructure which will enhance technological growth in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suggest appropriate metho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policy analysis by observing relationship between Value Chain and Cultural Technology. For this research, the concepts of 'Cultural Content, Cultural Content Industry, Culture Technology, CT Complex, CT Cube, Digital Road, CT Chain, CT City, CT Platform, CT Product, CT Packaging, CT Service and etc had been applied. And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was defined as recreated as a aesthetic, social and economic value and transformed to a commodity transformed into the type of Intellectual Property a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 was recreated as aesthetic, social and economic value whi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was defined as knowledge-based fusion industry by specifying Humanities Sciences and Culture & Arts as Text and Technology based competitive market as Context. And the concept of Culture Technology was defined as a related technology which functions to create the content as a knowledge based commodity value while the aesthetic, humanistic, social and managerial factor were defined as identity of content and methodology. The market trend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home and abroad is characterized by the incessant competitiveness weakness and the strengthened governance of global hybrid enterprise. Therefore, the futur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expected to be worsen by their monopolistic power. It is observed from the research trend of foreign Culture Technology that the growth requirement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be made when the content makes convergent research and its environment which will lead the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Cultural Con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 and Cultural Arts can be achieved when the sensitivity and creativeness lead the problems of genre and technolog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scheme of Space Chain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One Stop Networking System of CT R&D. The strategic development factors for implementation of CT R&D are internally the totality, efficiency, interactivity, and diversity while externa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and meaningfulness. The development model of implementation scheme of CT R&D is CT Complex, as it has industrial characteristic where Cultural Contend Industry demands multiple features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This development model, as a sustainable urban village, means convergence of nationwide CT R&D function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e Technology City, a Cultural Content Industrial City. The implementation plan for CT Complex was proposed as the type of CT Chain linked to business chain such as the support environment for Creative Industry, Open R&D environment, Self-sufficient CT Chain environment, Co-work of enterprises, Stable environment for developing talent, Test-bed environment suitable for OSMU application, and Industrial image with green growth. The objective of development strategy, presented as one of CT R&D implementation schemes, is to construct 'Convergent R&D System" This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New Urban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nvergent CT R&D system means R&D environment where the value creation structure was reflected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CT R&D System is configured as a convergent system where CT R&D, CT Product, CT Platform and CT Service process are blended. Also it has multiple functions where Policy, Planning, R&D, Product, Packaging, Platform and Service are interrelated. Because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generic technologies from development to service, the convergent R&D environment is necessary. Culture Technology Cube was presented for the space plan for CT R&D, as a development concept of CT Complex. For the development concept of space plan and facility plan, Cube, the integration of Unit which includes Dot was set as a motive. As the premise of space development plan, the diagram of space construction was presented. The space development should be equipped with 4 core functions of CT such as R&D, Production and processing, Distribution Platform and Service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For the R&D site plan, Product site for technology-based production site, Platform site for public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ervice site for commercial service space and Refresh site for community space should be prepared in one target location. Also, in this research, I suggested political task, legal/regulatory task, industrial/ technological task and academic/educational task as the issues to be solved. Conclusively, the issues on the CT R&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converged to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based multiple functions for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based multiple functions is to build the convergent CT R&D System where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re well structured systematically. The convergent research environment of CT R&D must be the convergent research and convergent production environment where the content will lead the technology through grafting Humanities with Arts. When the sensitivity and creativeness lead the technologic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 Arts and Cultural Technology, we can make industrial success in Content. As a result, The CT R&D implementation infrastructure will be advanced to global content market and will function as an island of Low-Carbon Ecology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Landmark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lso, it would be a momentum to improve the country brand value and urban marketing effect of Culture Technology City in the future. 본 논문의 주제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술적 성장을 도모할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R&D 기반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가치사슬(Value Chain)과 문화기술(CT)과의 인과관계를 고찰하고, 실증연구와 정책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를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CT R&D 기반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기본개념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 문화기술, CT Complex, CT Cube, 디지털로드(Digital Road), CT Chain, CT City, CT Platform, CT Product, CT Packaging, CT Service' 등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문화콘텐츠의 개념은 유무형의 콘텐츠가 미적․사회적․경제적 가치로 재탄생되어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의 형태로 전화(轉化)된 재화로 규정하였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개념은 인문사회와 문화예술을 텍스트(Text)로, 기술기반 경쟁시장을 콘텍스트(Context)로 하는 지식기반 융합산업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개념은 콘텐츠가 지식기반 형태의 재화적 가치로 창출되는데 기능하는 제반기술로 규정하였고, 미적, 인문적, 사회적, 경영적 요소는 콘텐츠의 정체성이자 방법론으로 규정하였다. 국내․외 문화콘텐츠산업의 시장동향은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글로벌 복합기업들의 지배구조가 강화되어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의 독과점 구조가 심화되는 특징을 지닌다. 해외 문화기술(CT) 연구동향을 통해 살펴 본 시사점은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의 요건은 콘텐츠가 기술을 선도하는 융합연구 및 융합제작 환경을 만들 때 성취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즉, 문화콘텐츠의 성공은 인문예술과 문화기술과의 관계에 있어 감성․창의성이 장르와 기술의 문제를 선도할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CT R&D 기반구축 전략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공간사슬(Space Chain)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즉, 가치사슬과정인 개발-기획-제작-가공-유통-소비과정의 CT R&D 원스톱시스템(One Stop Networking System)의 구축방안을 목표로 제시되었다. CT R&D 구축의 전략적 개발요소로는 내재적으로 전체성․효율성․상호작용성․다양성을, 외재적 요소로는 특징성․구조성․의미성을 제시하였다. CT R&D 기반구축 방안의 개발모델은 문화기술 복합단지(CT Complex)이다.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이 가치사슬에 따른 복합기능을 요구하는 산업적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개발모델은 지속가능한 어반빌리지 개발모델이자 문화콘텐츠산업도시인 문화기술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모델이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CT R&D 기능의 융복합화를 의미한다. 문화기술 복합단지의 조성방안은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의 지원환경 구축, 개방형 연구개발 환경 구축, 자족적 CT Chain 환경, 기업의 Co-Work 환경, 인재육성을 위한 쾌적한 정주환경, OSMU 개발응용에 적합한 Test-bed 환경, 저탄소 녹색성장의 산업이미지 구축 등 가치사슬과 공간과 기능이 사슬화된 CT Chain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CT R&D 기반구축의 방안의 일환으로 뉴어바니즘(New Urbanism)과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의 관점에서 개발전략을 고찰하였는 바 개발전략 수립의 핵심은 ‘융합형 R&D 시스템 구축’이다. 융합형 CT R&D 시스템이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가치창출구조가 반영된 연구개발 환경을 의미한다. 이 R&D 시스템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인 CT R&D 과정, CT Product 과정, CT Platform 과정, CT Service 과정이 융합된 체계로 구성된다. 또한 CT R&D 시스템 기능구축은 정책((Policy), 기획(Planning), 연구개발(R&D), 제작(Product), 가공(Packaging), 유통(Platform), 소비(Service)가 연결된 복합기능이다. 개발에서 소비까지 기반기술간 기능의 집적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융합형 R&D 환경이 필요하다. CT R&D 공간계획은 CT Complex의 개발컨셉으로 문화기술큐브(Culture Technology Cube)를 제시하였다. 공간계획과 시설계획의 개발컨셉은 요소(Dot)를 포괄하는 단위(Unit)들의 집합체인 문화기술큐브(Cube)를 모티브로 하였다. 공간개발 계획의 전제로 공간구축 다이아그램이 제시되었다. 공간개발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CT의 4가지 핵심기능인 연구개발(R&D), 제작 및 가공(Product), 유통플랫폼(Platform), 서비스(Service)를 갖추어야 한다. CT R&D 기반구축을 위한 R&D Site 계획은 연구개발 집적공간인 R&D Site, 기술기반 제작단지인 Product Site, 대중적 유통 및 소비공간인 Platform Site, 상용서비스 공간인 Service Site, 커뮤니티 공간인 Refresh Site가 하나의 대상지 안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CT R&D 사업의 특성과 기반구축 과정에 요구되는 현안 과제로 정책적 과제, 법․제도적 과제, 산업․기술적 과제, 학술․교육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CT R&D 기반구축의 방안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을 위한 기술기반 복합기능의 구축 문제로 귀결된다. 기술기반 복합기능의 구축이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가 체계화된 융합형 CT R&D 시스템의 구축을 의미하며,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에 적합한 개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CT R&D 융합형 연구환경을 선도할 철학적, 미학적 가치는 인문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해 콘텐츠가 기술을 선도하는 융합연구 및 융합제작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인문예술과 문화기술과의 관계에 있어 감성․창의성이 장르와 기술의 문제를 선도할 때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성공이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CT R&D 구축기반은 글로벌 콘텐츠마켓으로 발전하고, 문화콘텐츠산업의 랜드마크 및 아일랜드로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또한 CT R&D 구축기반은 미래 문화기술도시 구축의 토대이자 도시마케팅 효과와 국가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어메니티와 문화경영 매트릭스 분석연구

        권병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메니티와 문화경영 매트릭스 연구는 어메니티가 지니는 문화경영적 특성과 과제를 살펴 어메니티 매니지먼트로서의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어메니티는 문화경영의 원천소스(resource)이자 문화경영은 어메니티의 인프라 구축 및 자원개발에 있어 주요한 방법론이 제시된다. 어메니티는 역사와 문화의 시간적 차이, 도시와 농촌의 공간적 차이를 넘어 21세기 문화의 시대에도 유효하다. 이는 어메니티가 문화인프라 측면, 지식정보화 측면, 관광상품적 측면, 문화콘텐츠 측면, 생태환경적 측면에서 경영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면서 창조적 문화경영의 영역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천적 영역에서 어메니티에 대한 학술연구가 문화경영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거의 없다. 어메니티의 자원유형와 실천범주가 환경, 자연, 역사, 전통, 문화, 관광, 산림, 특산품, 교육, 정보, 디자인, 건축 등 복합적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메니티 자원을 문화적 가치로 재해석하고 이를 문화산업으로 승화시켜내는 문화경영적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문화경영 측면에서 어메니티는 전통산업, 관광산업, 환경산업, 문화산업적 성장기반(foundation)의 구축을 전제로 자원화되고 정책화 될 수 있다. 어메니티는 전통과 자연환경과 역사문화를 축으로 발전하는 문화산업 분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어메니티 전개는 생산-가공-유통-소비라는 어메니티의 성장기반 속에서 그 발전이 담보될 수 있다. 또한 문화와 전통자원 그리고 생태와 환경자원의 산업적 특화를 통해 경쟁력 있는 산업공간으로 창출될 수 있다. 그러나 어메니티로 포괄되는 자원개발은 그 스스로 문화경영의 목표를 성취할 수 없다. 어메니티 자원이 지니는 종합적 쾌적성과 개발의 방향성은 문화경영의 올바른 간섭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저히 공공적 지원에 의한 인큐베이팅 및 육성지원에 따라 성취할 수 있는 과제라 할 수 있다. 어메니티의 산업자원화는 생산-가공-유통-소비영역에서 문화경영의 실현수단인 정책지원, 인프라구축, 콘텐츠개발, 네트워크 형성, 문화정보화, 시설경영, 문화마케팅, 지식정보화, 관광상품화, 법제도의 개선, 환경디자인 등을 통해서 성취될 때만 비로서 개발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국내외 실천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어메니티에 대한 문화적 접근의 폭은 매우 광범위하다. 도시, 농촌, 정보, 건축, 환경, 문화, 디자인, 복지, 의료, 교육, 색체, 예술, 전통, 문화시설, 서비스, 레저, 휴양, 이벤트 영역에서 어메니티 컨셉으로 연구되고 실천되고 있다. 어메니티의 실천단위(실행조직)가 문화경영조직(Service organization)을 정확히 만나야 할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어메니티란 ‘물질자원과 생명자원간의 미적환경’이라고 정의를 내리면서 인간생활의 쾌적한 미적환경의 성취를 위해서는 어메니티가 문화경영적 접근을 통해서 가능한 일임을 제시하고 있다. 어메니티는 문화경영의 주요한 실천범주이다. 본 연구는 어메니티 자원의 개발과 실천이 갖는 문화경영적 특성을 분석하고, 어메니티 자원의 문화경영적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메니티 매니지먼트로서의 방법론을 도출하고 문화경영적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에 한국사회에서 전개되는 어메니티 자원개발의 문화경영적 접근과 방법의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어메니티와 문화경영의 관계>, <어메니티의 상품화 유형>, <어메니티를 위한 문화경영 Method>, <어메니티 성장기반별 매니지먼트 방안>, <어메니티 매니지먼트 매트릭스>, <어메니티 문화경영의 단계별 추진전략> 등이 관계모형과 도식화를 통해 제시되었다. 이 제시된 모형과 도식을 통해 어메니티는 문화경영의 원천소스(resource)이자 문화경영은 어메니티의 문화인프라 구축 및 자원개발에 있어 주요한 방법론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