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hloretin ameliorates succinate ? induced liver damage and regulates the func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Cong-Thuc Le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Chronic liver disease is becoming a significant cause of morbidity and death in worldwide. Hepatic fibrosis is a wound-healing response to chronic liver injury. Hepatic stellate cells (HSCs) is major source to induce hepatic fibrosis. HSCs transdifferentiate into activated myofibroblasts during liver injury and produce extracellular matrix. During activation of myofibroblasts, there were increases i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contractility. Succinate and succinate receptor signaling pathway has now emerged as a regulator of metabolic signaling.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succinate and its specific receptor are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HSCs and the overexpression of fibrogenic marker, proliferation, migration. During liver fibrosis, aerobic glycolysis is a noticeable metabolic phenotype of activated HSCs. Phloretin has been investigated for its anti-obesity,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several preclinical studies. In in vitro study, treatment with succinate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increased production of fibrogenic marker, proliferation, migration and contraction on LX-2 cells. Moreover, there is increased protein expression of aerobic glycolysis during the activation of HSCs and the phloretin treatment ameliorates the function of activated HSCs by suppressing the aerobic glycolysis. In in vivo study, the sodium succinate diet demonstrated increased steatohepatitis and hepatic fibrosis compared to the group of control diet-fed mice. Administration of phloretin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10 mg/ kg every other day for 16 weeks attenuates serum alanine transaminas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lactate in sodium succinate diet-induced liver fibrosis in mice compared to the group of sodium succinate-f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loretin has therapeutic potential for treating hepatic fibrogenesis. 만성간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이환율 및 사망의 원인이다. 간섬유화는 만성 간손상에 대한 상처회복반응이며, 간성상세포가 간섬유화에 관여하는 중요한 세포로 잘 알려져 있다. 간성상세포는 간손상시 활성화된 근(육)섬유모세포로 변하면서 세포외기질을 만들고, 세포의 증식, 이동, 수축의 증가가 일어난다. 숙신산(Succinate)과 숙신산 수용체가 최근에는 대사질환 신호의 조절자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 숙신산과 그 수용체가 간성상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간성상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간섬유화시 호기해당작용이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의 주요한 대사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Phloretin은 항비만,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효과에 대해 주로 연구가 되어온 천연 페놀 성분이나, 간에서의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 phloretin을 간성상세포인 LX-2세포에 처리시 전환성장인자 β-1 (TGFβ-1)에 의해 증가된 간성상세포의 섬유화, 이동 및 수축이 약화되고, 호기해당작용이 약화됨을 확인하여, phloretin이 호기해당작용을 억제하여 간성상세포의 기능을 조절함을 제시하였다. 숙신산을 투여하여 유되된 간섬유화 동물실험에서 phloretin을 16주간 복강내 격일 투여시, 숙신산에 의해 증가된 혈청내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간내 중성지방, 혈액 및 간내 젖산의 농도가 감소하고, 간의 지방증 및 섬유화가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phloretin의 간섬유화의 타겟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관련된 신호전달 및 다른 지방간 및 간섬유화모델에서의 추가적인 실험이 요구된다.

      •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

        현혜림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ime expression shown in the ending of the Jeju dialect.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researched the meaning of morphemes and their meaning that involve in the time expression, each scholar developed the individual system of time expression. To handle such incoherence that has hindered Jeju dialect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the realization aspect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in detail based on the school grammar system to clarify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established in school grammar. Because school grammar has a general and comprehensiv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t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time expression of the Jeju dialect.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suggested in school grammar consists of tense and phase, and the tense is divided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depending on the temporal position at the time of event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phase classifies the movement into the 'progress phase,' 'completion phase'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grammatical markers involved in expressing time in line with each system in the Korean language are checked and the semantic function is examined.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and its use in the Jeju dialect. [Jeju Language Oral Data Collection(1-28)] were used to examine specific aspects of realization. As this collection is a copy of the old dialect speaker's speech, it can check the natural speech where the time expression is realized. The pattern of usage is examined by divi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elements, focusing on the grammatical markers in the tense and the phase. Multiple types of temporal terminology realized in Jeju dialect were studied through this combination.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Because the grammatical marker unlike the Korean language is realized in Jeju dialec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Als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Finally, the fifth chapter will organize the discussion in the text, and finalize the study by suggesting the insufficient part and future tas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grammar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suggest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간 표현에 관여하는 형태소와 의미를 개별적으로 밝히 는 성과가 있었지만, 학자마다 시간 표현의 체계를 달리하여 제주 방언 교육에 혼란을 가져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학교 문법의 체계에 바탕을 두고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2장에서는 학교 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시간 표현의 체계를 검토한다. 학교 문법은 국어의 일반적이고 전반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어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학교 문법에서 제시하는 시간 표현은 시제를 발화 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고, 상은 개별 시제에 종속된 동작의 모습을 ‘진행상, 완료상’으로 나눈다. 이러한 체계에 맞춰 국어에서 시간을 표현하기 위해 선어말어미와 통사적 구성의 실현 방법을 확인하고 각 의미 기능도 검토한다. 3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와 실현 양상을 본다.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제주어구술자료집(1∼28)을 활용한다. 이 자료집은 고령 의 방언 화자의 발화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시간 표현이 실현된 자연 발화를 확 인할 수 있다. 실현 양상은 시제와 상의 문법적 표지를 중심으로 선행 요소와 후 행 요소의 관계를 나누어 살핀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제주 방언에서 실현 된 시간 표현의 여러 이형태를 살핀다. 제주 방언에서 구체적인 실현 양상은 과 거시제 ‘-아시/어시/여시/라시/앗/엇/엿/랏-’의 이형태 조건을 확인한다. 후행 요 소는 ‘-아시/어시/여시/라시-’는 어미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 형 ‘-라’와 청유형 ‘-게’와 결합한다. 선어말어미 ‘-앗/엇/엿/랏-’은 후행 요소가 ‘- 저, -주, -구나’일 때의 결합 양상을 본다. 회상의 선어말어미 ‘-더/아/어/여/라-’ 가 결합하는 요소로 ‘-라, -ㄴ게, -냐/니, -ㄴ가’가 있고, 주로 과거 어느 시점의 일을 떠올리는 ‘회상’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시제 ‘-ㄴ/느-’는 선행 요소가 동사와 형용사일 때 결합이 가능하다. 주로 ‘-ㄴ-’은 평서형 어미 ‘-다’와 반말체 어미 ‘- 어’와 앞에 결합하고, ‘-느-’는 ‘-녜, -냐/니’가 앞에 결합하여, 현재의 시간 보다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갖는다. 미래시제의 ‘-크-’는 통사적 조건에 따라 ‘추측’이나 ‘의도’를 표현하는데, 후행 요소는 ‘-라, -ㄴ게, -냐/니, -가(고)’가 결합 한다. 제주 방언에서 ‘진행상’은 국어와 달리 선어말어미가 관여하며, 어간의 품 사에 관계없이 결합한다. ‘-암시/엄시/염시/람시-’는 후행 요소가 ‘-어, -ㄴ게, - 녜, -ㄴ가(고), -냐/니, -라, -게’일 때 결합하며, ‘-암(ㅅ)/엄(ㅅ)/염(ㅅ)/람(ㅅ)-’은 후행 요소가 ‘-저, -주, -구나, -디야’가 결합한다. 주로 진행의 의미를 표현하지 만, ‘상태 변화’와 ‘현재’의 의미도 실현된다. 완료상은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 나시/아낫/어낫/여낫/라낫-’이 관여하는데, 선행 요소가 품사에 관계없이 결합되 어 국어와 달리 생산성이 넓다.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나시-’는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형 ‘-라’와 청유형 ‘-게’가 결합된다. 반면, 선어말어 미 ‘-아낫/어낫/여낫/라낫-’은 후행 요소로 ‘-저, -주, -구나’일 때 결합된다. 4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특징을 살펴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제주 방언은 국어와 다른 문법적 표지가 실현되고 있다. 과거시제는 명 령형과 청유형 어미에 결합하여 ‘완료’의 의미 기능을 한다. 현재시제는 반말체 어미 ‘-어’와 결합하여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한다. 미래시제는 감탄형 어 미 ‘-구나’와 결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진행상은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가 결합 되어 ‘상태의 점진적 변화, 현재시제’의 의미 기능을 보인다. 완료상은 ‘명사-이 다’와 ‘아니다’와 결합하여 점차 선어말어미의 기능으로까지 문법화 과정을 본다. 이러한 제주 방언의 독특한 시간 표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살펴본다. 마지막 5장은 본론에서 논의된 바를 정리하고 부족한 부분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며 마무리 짓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에 대한 형식적인 문법 특성을 이해 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국어 품사 통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허원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alled ‘multicate gory of word class’ in which two or more word class are shared in one wor d. The existing discussions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have been theoret ically ambiguous and failed to clearly define the phenomenon. Furthermore, th ese theoretical limitations have led to problems in dictionary production and s chool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imits of the e xisting discussions and re-describe the phenomenon. In Chapter 2, the existing research and limitations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were reviewed. In addition to ‘multicategory of word class’, duplication of word class is explained by ‘transformation of word class’ and ‘derivation’. Among these, ‘multicategory of word class’ has the theoretical limits of ‘lack of standard’ and ‘lack of orientation’. The former refers to the phenomena tha t a non-identified cause of a state results in the lack of criteria in classificati on. The latter refers to the phenomena that not considering the ‘orientation’ in a conceptual definition leaves room for a few exceptional cases. These theoret ical limitations soon lead to practical issues. ‘multicategory of word class’ is a pplied to dictionary production and school grammar as a concept of norm for the given phenomenon. However, ‘lack of standard’ in ‘multicategory of word class’ does not guarantee the consistency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in t he dictionary production, and it causes a grammatical error represented as ‘ad verb modifying noun’ in school grammar. That is, the theoretical ambiguity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brings about the practical issues and confusion i n its actual application, which calls for a critical review of the existing discus sions. In Chapter 3, the given phenomenon was re-described based on a critical a pproach to ‘multicategory of word class’. First, the concept was redefined to c ompensate for the limits of ‘lack of orientation’ in the existing discussions; th e concept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was defined as ‘a phenomenon invo lving more than two word class in a word’, which was theoretically integrate d with the opposing idea of ‘transformation of word class’. The concept was reset to [±orientation], not the existing [-orientation], and could include both i nstances of sharing word class as well as shifting word class. Next, the reas ons, which included ‘incompleteness of classification of word class’ and ‘synch ronic interpretation of grammaticalization’, were re-addressed to supplement th e limits of ‘lack of standard’ in the existing discussions. The former explains that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words that cannot be uniformly defined re stricts the applicability of a single word class, which ultimately ends up the ‘multicategory of word class’. Apart from the intrinsic character of words, the latter means that the change of pars of speech is understood as its multicateo ry, since the transitive process of word change is interpreted chronologically. The study also classified these cases in a basis of such causes. In addi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word class, classification based on ‘orientat ion’ was added to the examples of ‘multicategory of word class’. As discussed above, the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 ing discussions on ‘multicategory of word class’ and re-described the given p henomenon. Considering the stagnation of the discussions on ‘multicategory of word class’, the phenomenon requires more fundamental approach. In this cont ex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이 연구는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공유되는 이른바 ‘품사 통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품사 통용’은 그 논의가 이론적으로 모호하여 해당 현상을 명확하게 정의해 내지 못한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한계는 곧사전 기술과 학교 문법의 영역에서 몇 가지 문제들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연구 에서는 기존의 논의가 갖는 한계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당 현상을 재기술 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기존 연구와 그 한계에 대해 검토한다. 품사가 중복되는 현상은 ‘품사 통용’ 외에도 ‘품사 전성’과 ‘영 파생’ 등의 논의를 통해 설명된 다. 그 중 ‘품사 통용’은 ‘기준의 부재’와 ‘방향성의 부재’라는 이론적 한계를 갖는 다. 우선 전자는 현상에 대한 원인이 올바르게 규명되지 않아 해당 사례를 분류 함에 있어 기준이 부재하는 한계를 말한다. 그리고 후자는 현상에 대한 개념을 정의할 때 ‘방향성’이 고려되지 않는 한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한계는 곧 실용적인 부분에서 몇 가지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품사 통용’의 경우 해당 현상에 대한 규범으로서의 논의로 사전 기술과 학교 문법에 적용된다. 그런데 ‘품사 통용’이 갖는 이론적 모호함은 사전에서 ‘품사 통용어’를 기술할 때일관성을 보장해 주지 못하며, 학교 문법에서도 ‘체언 수식 부사’라는 문법적 오류를 파생시킨다. 결국 ‘품사 통용’은 그 이론적 한계에 따라 실질적인 적용에 있어 문제를 갖는 논의이며, 이에 보다 비판적인 차원에서의 고찰을 필요로 하게 된다. 3장에서는 ‘품사 통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해당 현상을 재기술한다. 우선 기존의 논의가 갖는 ‘방향성의 부재’를 보완하고자 그 개념을 다시 정의 한다. 이때 ‘품사 통용’의 개념은 이와 대립되는 ‘품사 전성’과의 이론적 통합으로써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포함되는 현상’으로 기술된다. 이에 ‘품사 통용’ 의 개념은 기존의 [-방향성]이 아닌 [±방향성]으로 재설정되고, 품사의 공유에 대한 사례뿐만 아니라 품사의 이동에 대한 사례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논의가 갖는 ‘기준의 부재’를 보완하고자 해당 원인을 다시 규명한다. 그 결과 ‘품사 통용’의 원인으로 ‘품사 분류의 불완전성’과 ‘문법화의 공시적 해석’ 이 새롭게 제시된다. 전자의 경우 단어란 그 기능과 의미를 단일하게 규정지을수 없는 것이기에 하나의 품사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결국 한 단어에 여러 품사가 통용되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후자는 이러한 단어의 본질적인 특성과는 별개로 단어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공시적으로 해석함에 따라 품사의 변화는 곧 품사의 통용으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원인을 기준하여 해당 사례를 분류한다. 이에 ‘품사 통용’의 사례는 품사 개수에 따른 기존의 분류 외에도 ‘방향성’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방법이 추가된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품사 통용’이 갖는 한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차원에서 해당 현상을 재기술하려 한다. ‘품사 통용’에 관한 논의가 다소 고착되어 있는 시점에서 해당 현상은 보다 근본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나름대로의 논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결과이다. 핵심어 : 품사 통용, 기준의 부재, 방향성의 부재, 사전 기술, 학교 문법, 품사 분류의 불완전성, 문법화의 공시적 해석

      • 제주방언 감정 표현의 유형 연구

        김신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rgely classify the types of emotions shown in the Jeju dialect, and to categorize the expression of emotions in the Jeju dialect by dividing this classification into subcategories. For this purpose, the Jeju Dictionary was carefully investigated and reviewed from beginning to end, and the used references include 「Revised Jeju Language Dictionar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9)」, 「Jeju Language Big Dictionary (Song Sang-jo, 2007)」, 「Jeju Language Examples DictionaryⅠ」 by Yang Jeon-hyung(2020), 「Jeju Language Examples DictionaryⅡ」by Yang Jeon-hyung(2021), 「Jeju Language Examples DictionaryⅢ」by Yang Jeon-hyung(2022) and 「Jeju language Oral Data Collection(1~28)」. Th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ategorized the types of dialects in Jeju. We categorized the emotional types into seven categories: ‘joy’, ‘sadness’, ‘anger’, ‘fear’, ‘love’, ‘hatred’, and ‘surprise’, and then put these types into lower categories. For example, we divided joy into ‘pleasure, excited, satisfaction, impression, comfort, confidence, hope, welcome, and coolness.’ After this classification, type of emotion was classified by part of speech, and the corresponding words and examples were discussed. Next, we examin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ression of Jeju dialect that were revealed through discussion of Jeju dialect emotion type. To summarize briefly, the following: First of all, Jeju dialects, unlike other regional dialects, had the most vocabulary of rough and tough ange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sland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y and environment, but it has been historically invaded, exploited, and ruled by the outside, so Jeju people have a strong sense of resistance and defense. Second, Jeju dialects have many forms of one language and expressions of agreement.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vocabularies similar to Jeju dialect emotional language is proof that different villages use many different vocabularies. As a result of estimating, it was assumed that it was because there were many daily lives in a small area, not in a large space of living space. Third, the Jeju dialect, which is currently used except for Jeju's standard and foreign words, was used independently in Jeju and contained a unique and original language that people in other regions could not understand because it was introduced for a long time. Fourth, Jeju dialect has a strong audiovisual image,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are often clearly expressed. If you look closely at the Jeju dialect used by Jeju people, you can see the shape and behavior of many languages and even feel the sound. In addition, Jeju dialect is a valuable resource for researching ancient languages because there are many old words that can find traces of medieval Korean that have disappeared, and many vocabulary words that have ‘a-rae-a(․)’ left. It can also be seen that Jeju dialect has many repetitive words and imitations. Jeju dialect has many vocabulary words that express emotions strongly by repeating the same words over and over again. Repeated expressions ar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which is often used to express imitations more variously or to express emotional states more vigorously. In addition, the use of Mongolian language in Jeju dialect is more common than in other regions,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s related to the exile of many scholars or the transfer to Jeju. In summary,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you understand how to express emotions in Jeju dialect, but will also be the first step in comparing emotions between, South Korean standard language and Jeju dialects.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t is to focus attention when talking and to properly speak the necessary emotions so that the expression is properly delivered and accepted. It also enables the use of effective and appropriate emotional language in each situation.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Jeju dialect education by compiling a list of emotional words through a preliminary analysis of Jeju language, and it can be categorized into words to help vocabulary education in similar categories. 이 연구는 제주방언에 나타난 감정의 유형을 크게 분류하고, 이 분류를 다시 하위 범주로 나누어, 제주방언 감정 표현을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어사전을 (ㄱ)~(ㅎ) 까지 면밀히 조사하여 검토하였고, 활용된 자료는 「개정증보 제주어사전(제주특별자치도, 2009)」,「제주말 큰사전(송상조, 2007)」, 양전형(2020)의「제주어용례사전Ⅰ」, 양전형(2021)의「제주어용례사전Ⅱ」, 양전형(2022)의「제주어용례사전Ⅲ」,「제주어구술자료집(1~28)」등이 있다.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주방언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감정의 유형을 크게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사랑’, ‘미움’, ‘놀라움’ 등 7가지로 분류하였고, 다시 이 유형들을 각각 하위 범주화하였다. 예를 들어 ‘기쁨’이라는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고, 기쁨을 다시 ‘즐거움, 신명남, 만족감, 감동, 편안함, 자신감, 희망, 반가움, 시원함’ 등으로 다시 하위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후, 감정의 유형을 다시 품사별로 분류하였고, 해당하는 단어와 예문 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제주방언 감정 유형의 논의를 통해 드러난 제주방언 감정 표현의 언어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방언이 다른 지역의 방언과는 달리 투박하고 거친 분노 감정의 어휘가 가장 많았다. 그 이유는 외부와 철저히 격리된 섬이란 지형 조건과 환경의 차이도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외부로부터 수많은 침략과 수탈, 지배를 받아왔기 때문에 제주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온통 저항과 방어 의식이 강하다보니 어투가 더 격해지고 투박할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제주방언에는 한 어간의 어형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서 동의적 표현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제주방언 감정언어에 유사한 어휘가 많다는 것은 마을마다 다른 어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증거다. 추정해 본 결과, 그건 넓은 공간에서 상호 간 소통하게 만들어진 생활 공간이 아닌 협소한 작은 지역에서 일상생활이 많았기 때문이라 짐작되었다. 셋째, 제주방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어휘들 중 표준어나 외래어가 제주어화 된 것을 제외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주방언은, 제주 속에서만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지며 오랫동안 전래되어 오고 있는 언어이다보니 다른 지방 사람들이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독특하고 독창적인 언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제주방언은 시청각적 이미지가 강하고, 은유적 표현이 빈번히 드러나는 감정 표현이 있다. 제주인들이 사용하는 제주방언을 유심히 살펴보면 많은 언어들이 그 형태나 행동이 눈에 보이는 듯하고 소리까지 느낄 수 있게 하였다. 그 외 제주방언은 지금은 사라진 중세국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고어(古語)들이 많이 남아 있고, 특히 ‘아래아(․)’가 남아 있는 어휘들이 많기 때문에 고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제주방언은 반복어와 흉내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주방언은 같은 말을 거듭 반복함으로써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는 어휘들이 아주 많다. 반복 표현은 주로 의성어나 의태어에 나타나는 특징 가운데 하나인데, 이는 흉내 대상의 다채로움을 보다 생동감 있게 표현하거나, 혹은 감정 상태를 격하게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주방언에는 다른 지역보다 몽골어 차용이 많고 한자어가 많이 쓰이는 것은 많은 선비가 유배나 제주에 부임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이 연구는 제주방언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표준어와 제주방언의 감정 비교 연구의 첫 단계라고 본다. 위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대화할 때 주의 집중을 선행하고 필요한 감정을 적절하게 발화함으로써 표현이 제대로 전달되고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제주방언을 사용하는 언중들이 상황마다 어떤 유효적절한 감정언어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보다 더 유효적절한 감정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기도 하다. 게다가 제주어 사전 분석을 통해 감정 단어의 목록을 구성하여 제주방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단어별로 범주화하여 비슷한 범주의 어휘 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 비교 연구 : 초급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이소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문법 중에서 조사를 정확하게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조사는 매우 발달하였으며,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어의 조사는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낯설어하고, 배우기 어려워하는 문법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조사를 초급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초급 학습자들이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초급 한국어 교재 중에서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미 모국어를 습득한 성인 학습자들에게 제2언어로 배우는 한국어의 조사가 더 낯설고, 어려운 문법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교재를 선정하기 위해 먼저 원미진 외(2020)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동안의 한국어 교재의 흐름을 반영하고자 최근에 출판된 교재인 『한국어와 한국문화』(2020), 『서울대 한국어』(2013), 『세종한국어』(2019), 『즐거운 한국어』(2019) 4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4종의 초급 교재는 다음의 4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했다. 첫째, 학습 목표로 제시된 조사는 무엇인지, 둘째, 제시된 조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셋째, 조사는 어떤 순서로 제시되었는지, 넷째, 조사의 형태 및 용법 설명은 어떻게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급 교재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면 먼저, 4종의 초급 교재에 모두 제시된 조사에는 주격조사 ‘이/가’, 목적격조사 ‘을/를’, 보격조사 ‘이/가’, 부사격조사 ‘에(장소, 목적지, 시간)’, ‘에서(장소)’, ‘(으)로(방향)’, ‘보다’, 보조사 ‘은/는(주제)’, ‘까지’, 접속조사 ‘하고’, ‘(이)나’가 있었다. 초급 교재에 제시된 조사 대부분은 서로 다른 주제에 제시되었고, 공통적인 형태로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초급 교재 4종에서는 첫 번째 교재 1과에서 가장 먼저 서술격조사 ‘이다’가 결합한 ‘이에요/예요’, 보조사 ‘은/는’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초급 교재에서 부사격조사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교재 초반이나 후반에 상관없이 제시되었다. 그 외의 다른 격조사는 보통 초급 교재 초반에 제시되었고, 보조사는 대부분의 초급 교재에서 초반과 후반에 모두 제시되었다. 접속조사 ‘하고’는 초급 교재 초반에 제시되었고, ‘(이)나’는 후반에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종한국어』에서는 보통 ‘명사 뒤에 붙어서 …을/를 나타낸다.’의 형식으로 조사의 형태, 용법 설명이 제시되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서는 형태 설명은 없고, ‘…할 때 사용해요.’라는 형식으로 용법 설명이 제시되었다. 『서울대 한국어』와 『즐거운 한국어』에서는 조사의 형태, 용법 설명이 모두 제시되지 않았지만, 형태 관련 정보는 예시나 도식·표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렇게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의 양상을 전반적으로 비교 분석한 이 연구가 추후에 조사 교육에서의 교재 활용 방향이나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에 토대가 되는 자료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 analyze the postposition in Beginner’s Korean textbooks. Because postposition in Korean is very develop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learn accurately postposition in Korean grammar for Korean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However, the postposition of Korean is a grammar that most Korean learners are unfamiliar with and difficult to learn. Therefore, Korean learners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from the beginner level.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mparative analyze the postposition in Beginner’s Korean textbooks. Among the beginner’s Korean textbooks, we analyze the textbooks targeted adult Korean learners, because the postposition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is more unfamiliar and difficult for adult Korean learner who have already mastered their first langua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Won Mi-jin et al.(2020), we select four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to reflect the flow of Korean textbooks as study subjects: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2020),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2013), 『Sejong Korean』(2019), and 『Pleasant Korean』(2019). The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first, what is the postposition presented as learning objectives, second, what types of postposition are presented as learning objectives, third, the order in which postposition were presented, and four, how the forms and usage explanations of postposition were presented. From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beginner’s textbooks in this study, first, we find that postposition presented in all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include subject case marker ‘이/가’, object case marker ‘을/를’, complement case marker ‘이/가’, adverbial case marker ‘에(place, destination, time)’, ‘에서(place)', ‘(으)로(direction)', ‘보다’,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는(subject)', ‘까지’, and conjun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하고’, ‘(이)나’. Most of the postposition presented in the beginner’s textbooks are presented in different topics and in a common form. Second, ‘이에요/예요’ combined with predicative particle ‘이다’ and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는’ is presented first in the lesson 1 of the first text book of the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And, adverbial case marker is presented the most in the beginner’s textbooks regardless of the beginning or latter part of the textbooks. Other case markers are usually present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beginner’s textbooks and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is presented both at the beginning and latter part of most beginner’s textbooks. Conjun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하고’ is presented at the beginning part, and ‘(이)나’ is presented at the latter part in the beginner’s textbooks. Lastly, in the 『Sejong Korean』, the explanation of the form and usage of postposition are usually presented as the form of ‘…is attached to a noun, indicate ….’.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ere is no explanation of the form of postposition, and the usage explanation is presented as the form of ‘…is used to….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Pleasant Korean』, the explanation of the form and usage of the postposition are not presented, b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m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examples or diagrams·tables, etc. We hope that this study, which comparative analyzes the overall aspects of postposition in the Korean textbooks, will serve as a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utilization in postposition education or the development of the beginner's Korean textbooks.

      • 국어의 고유어 접두사 선정에 관한 고찰

        이상호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coming up with a definite criterion for selecting a corpus of native Korean prefixes which form the basis of derivative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riterion,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native prefixes that already exist in 6 major Korean dictionaries. It was noted that the prefixes that have been inserted into the 6 current Korean dictionari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ttempts have been made accordingly to come up with a plan to round up all of them together in this paper. Amongst the myriad of criteria that exist in selecting prefixes, the ‘change of meaning’, ‘morphological dependencies’ and ‘inseparability’ were suggested for the commonalization or generalization process. Under these criteria, amongst the prefixes that can be found in 6 mainstream dictionaries, overlapping entries were eliminated and amongst the 136 prefixes that were picked, 96 prefixes whose origin could be indentified by going through a lexicalization process from being a common vocabulary were tested to see if they met the conditions of beling selected.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in being selected as prefixes, the prefixes shortlisted for elimination were as follows; amongst the prefixes that originated from being substantives(nouns), ‘간1 (gan1 ), 겹-(gyeop-), 배내-(baenae-), 소-(so-), 쇠1 (sae1 ), 홑-(hot-), 숫2 (sut2 )’, among the prefixes that have predicates as their origin ‘졸-(jol-), 줄2 (jul2 ), 간2 (gan2 ), 다가-(daga-), 들이2 (deulie2 ), 에-(e-)’, adjective originated prefixes of ‘늦-(neut-), 옥-(ok-), 된-(daen-)’, amongst the prefixes that have originated from modifiers and also have adjectives as roots ‘뭇 -(mut-), 새2 (sae2 ), 옛-(yet-), 온-(on-), 이듬-(ideum-), 첫-(cheot-), 허튼 -(heoteun-)’, amongst the prefixes that have adverbs as its root ‘갓 -(gat-), 들이1 (deuli1 ), 몽당-(mongdang-)’.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ss, amongst the 136 prefixes that were selected for testing, other than the 26 that were eliminated, about 110 native prefixes were finally settled on. Determiners and prefixes have similar grammatical functions and not much difference in meaning so for prefixes that have originated from determiners, they were given the suggestion of being set up as root words.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investigated into the basic concept of prefixes could have a partial contribution in publishing new dictionaries or in everyday Korean language usage.

      •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명사구 내포문 연구

        김현숙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20세기 초기 문헌인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명사구 내포문의 형태 및 통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매일신보>가 20세기 초기 문헌이라는 점에서 이전 국어 및 현대국어와의 비교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명사구 내포문의 공시적인 특징만이 아니라 통시적인 변화 양상까지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명사화 구성의 기능과 제약을 살펴보았다.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으)ㅁ’ 명사화 구성과 ‘-기’ 명사화 구성은 조사와 결합하여 상위문장의 문장성분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기’ 명사화 구성이 상위문 장의 주어와 목적어로 기능하기 위해서 결합한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수의적 으로 생략이 가능하였다. 이 장에서는 명사화 구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명사화 구성의 제약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명사화 구성이 가지는 제약은 명사화 어미와 관련이 있으며 그 제약으로는 상위문장의 서술어 제약, 시제어미와의 결합 제약, 높임법과의 결합 제약이 있다. 둘째,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관형화 구성의 유형과 제약을 살펴보았다. 관형화 구성은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가 자립명사일 때와 의존명사일 때, ‘-ㄴ’ 관형화 구성과 ‘-ㄹ’ 관형화 구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장에서도 관형화 구성의 유형뿐만 아니라 관형화 구성이 가지는 제약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관형화 구성이 가지는 제약은 관형화 어미와 관련이 있으며 그 제약으로는 시제어미와의 결합 제약, 내포문 명사에 따른 제약이 있다.셋째, 명사구 내포문의 통시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명사화 구성의 경우 15세기에는 ‘-(으)ㅁ’ 명사화 구성이 독보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기’ 명사화 구성은 드물었다. 그러나 16세기부터 점차 ‘-기’ 명사화 구성이 활성화 되고, ‘-(으) ㅁ’ 명사화 구성이 축소하기 시작하였으며, 17세기에는 ‘-기’ 명사화 구성이 ‘-(으)ㅁ’ 명사화 구성보다 많은 분포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16세기까지 볼수 없었던 ‘-ㄴ/ㄹ 것’ 구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는 ‘-기’ 명사화 구성과 ‘-ㄴ/ㄹ 것’ 구조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초기 문헌인 <대한 매일신보>에서는 ‘-(으)ㅁ’ 명사화 구성이 ‘-기’ 명사화 구성보다 더 많은 분포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형화 구성의 경우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주체․대 상법의 소멸이다. 16세기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소멸되기 시작하면서 주체․ 대상법 역시 소멸하기 시작하고 17세기 이후로는 주체․대상법이 거의 소멸되었 다. 17세기 이후의 관형화 구성은 점차 현대국어의 관형화 구성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in Daehanmaeilsinbo, an early 20th century document; the nature of <Daehanmaeilsinbo> as the early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allowed the significant comparison of the past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he study also examined not only the synchronic features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but also the aspect of diachronic change.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s and constraints of the nominalization composition in <Daehanmaeilsinbo> have been reviewed. The composition of ‘-(으)ㅁ’ and the composition of ‘-기’ of Daehanmaeilsinbo function as a sentence component of the superior sentence combined with a postposition. The combination of a nominative case postposition and an objective case proposition in the composition of ‘-기’ can be omitted. The chapter examined not only the functions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 but also the restrictions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 The restrictions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 are related to nominalization ending, which included the predicate constraint of superior sentence, the combination constraint of tense ending, and the combination constraint of honorifics. Second, the functions and constraints of the adnominal composition in <Daehanmaeilsinbo> have been reviewed. The adnominal composition can be specified into relativisation composition and complementation composition. In case of a noun modified by adnominal clause is an independent noun or dependent noun, ‘-ㄴ’ adnominal composition and ‘-ㄹ’ adnominal composition can be identified. In this chapter, the types of adnominal composition and its restrictions were reviewed. The restrictions of adnominal composition is related to adnominal ending, which included the combination restriction of tense ending and the restriction according to head noun. Third, the diachronic changes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were reviewed. In case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 ‘-(으)ㅁ’ nominalization composition was most frequent in the 15th century, with few instances of ‘-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 However, since the 16th century,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 has gradually been activated, while ‘-(으)ㅁ’ nominalization composition began to reduce. In the 17th century,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 was more frequent than ‘-(으)ㅁ’ nominalization composition; at that time, the structure of ‘-ㄴ/ㄹ 것’ that did not existed until the 16th century showed up. Afterwards, the structure of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 and ‘-ㄴ/ㄹ 것’ became more activated. Nevertheless, <Daehanmaeilsinbo> in the early 20th century revealed that ‘- (으)ㅁ’ nominalization composition was more frequent than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 In case of adnominal composition, the most prominent change was the extinction of subject-object method. As a prefinal ending ‘-오/우-’ began to extinct in the 16th century, the subject-object method began to extinct as well. After the 17th century, the subject-object method nearly disappe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bdominal composition after the 17th century gradually seemed like the contemporary Korean abdominal composition

      • Metformin and Dichloroacetate Synergistically Kill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by Inhibiting mTOR Complex 1 : Tae-Suk Kim

        Kim, Tae-Su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암세포의 에너지 생산에 있어 해당과정과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산화적 인산화는 와버그(Warburg) 효과에 의해 유연하게 작동하며 이는 암세포 증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해당과정의 저해제인 dichloroacetate (DCA) 와 사립체 호흡사슬(mitochondrial respiratory complex I) 억제제인 Metformin의 병합치료를 통한 항암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Metformin은 간암세포의 해당과정을 상향조절하며, 또한 sensitizer로 작용하여 DCA의 항암효과를 높여주는 결과를 가져와 두 약제를 통한 동반 상승 효과에 의해 간암세포의 사멸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데노신 일인산 활성단백질 인산화효소(AMPK) 신호전달경로와는 독립적으로 regulated in development and DNA damage responses 1 (REDD1)의 상향조절을 통한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mTOR) 복합체-I의 신호전달체계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Metformin과 DCA는 간암 세포 내에 reactive oxygen species(ROS)를 증가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Metformin과 DCA의 병합치료가 현재까지 간암 치료에 적용되지 않고 있는 에너지 대사 억제 기전 통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간암 치료의 또 다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e Warburg effect is important for cancer cell proliferation. This phenomenon can be flexible by interaction between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oxidation for energy production.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the glycolytic inhibitor dichloroacetate (DCA) and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omplex I inhibitor metformin in hepatocellular (HCC)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metformin and DCA synergistically induced apoptosis in HCC cells. Metformin upregulated glycolysis in HCC cells, thereby increasing sensitivity to the DCA treatment. Metformin and DCA inhibited mTOR complex I signaling through upregulated AMPK-independent REDD1. In addition, metformin and DCA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in HCC cells, which 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 combined treatment of metformin and DCA had a potent anticancer effect in HCC cells. This strategy may be effective for patients with advanced HCC.

      • 1920년대 잡지에 나타난 명사구 내포문 연구

        고나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1920년에 간행된 3종의 잡지인 『개벽』, 『별건곤』, 『삼천리』를 대상으로 명사구 내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을 공시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1920년대 이전과 이후의 명사구 내포문과도 비교하였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920년대 잡지에서 명사화 구성은 기능, 제약, 분포와 변천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기능 면에서 1920년대도 명사화 어미 ‘-(으)ㅁ’, ‘-기’나 ‘-ㄴ 것’ 구조로 나타난 명사화 구성에 격조사 혹은 보조사가 결합하여 문장 성분으로 기능했다. 이때, ‘-기’ 명사화 구성은 주어,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가 수의적으로 생략되어 나타나거나, 어간말음 ‘ㅎ’ 혹은 ‘-하다’류 용언이 명사화 어미 ‘-기’와 결합할 경우 축약된 ‘-키’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1920년대 명사화 구성의 제약 양상은 상위문장 서술어 결합, 시제어미 결합, 높임법 결합 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ㄴ 것’ 명사화 구성은 관형화 구성의 구조를 취하여, 상위문장 서술어 결합에서 제약 양상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1920년대 명사화 구성의 분포와 변천을 살펴보았다. 원래 명사화 구성은 선어말어미 ‘-오/우-’의 규칙적인 결합을 기반으로 ‘-(으)ㅁ’이 가장 우세했으나, 16세기부터 선어말어미 ‘-오/우-’가 소멸하면서 ‘-기’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또한 17세기에는 ‘-ㄴ 것’ 구조가 등장하여 명사화 구성으로 기능하며, ‘-(으)ㅁ’이 더욱 축소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 양상은 1920년대 잡지에서 1925년부터 ‘-기’와 ‘-ㄴ 것’의 분포가 ‘-(으)ㅁ’을 뛰어넘으며 나타났다. 이때, ‘-기’는 비슷한 수준으로 빈번하게 나타났고, ‘-ㄴ 것’은 ‘-(으)ㅁ’이 감소하는 만큼 증가하는 반비례 형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ㄴ 것’이 ‘-(으)ㅁ’을 대체하며 분포를 확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920년대 잡지에서 관형화 구성은 유형, 제약, 변천을 살펴보았다. 관형화 구성은 관형절과 내포문 명사의 관계에 따라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으로 나누는데, 1920년대 잡지에서 관형화 구성 또한 관형화 어미나 내포문 명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관형화 어미에 관련한 제약 양상은 시제어미 결합, 높임법 결합, 내포문 명사에 따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관형화 구성은 주체‧대상법이 소멸하고, 관형화 어미 ‘-ㄴ’과 ‘-ㄹ’로 나타나며, ‘관형절+내포문 명사’ 구조가 보편화 되는 등의 변화를 보였는데, 1920년대 관형화 구성 또한 이러한 양상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이미 관형화 구성은 현대국어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The focus of this study will be on three magazines from the 1920s: 『Gaebaek』, 『Byeolgungon』, and 『Samcheonri』. Furthermor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1920s.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function, restriction, distribution, and diachronic changes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s in the 1920s magazines. Firstly, in terms of function, nominalization compositions that appeared in the 1920s with nominalization endings such as '-(으)ㅁ', '-기', or '-ㄴ 것' structures functioned as sentence components when combined with a postposition. In this case, in '-기' nominalization compositions, the postposition is omitted from the subject and object, so they can function as sentence components. The nominalizing ending '-기' was used as a shortened '-키' when the stem endings 'ㅎ' or '-하다' were combined. Next, there are constraints on nominalization composition. We have identified, in nominalization compositions, the predicate of a superior sentence,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tense endings, honorifics. However, in the case of the '-ㄴ 것' nominalization composition, we did not find the predicate combination of a superior sentence. Then,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diachronic changes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 in the 1920s. Originally, the distribution of nominalization compositions was dominated by the nominalization ending '-(으)ㅁ', which regularly combines with the prefinal ending '-오/우-'. However, as the use of the prefinal ending '-오/우-' disappeared in the 16th century, '-기' became the more commonly used form. In the 17th century, the '-ㄴ 것' structure emerged as a nominalization composition, which further reduced the use of '-(으)ㅁ'. This pattern of change began in 1925 when the distribution of '-기' and '-ㄴ 것' surpassed that of '-(으)ㅁ'. At this time, the usage of '-기' was similarly frequent, while the usage of '-ㄴ 것' was inversely proportional, increasing as the usage of '-(으)ㅁ' decreased. This allows we can see that '-ㄴ 것' has replaced '-(으)ㅁ' and expanded its distribution. Next, we examined the functions, restrictions, and diachronic changes of adnominal composition in the 1920s magazines. There are two types of adnominal composition: relativisation composition and complementation composition. The type of composition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nominal clause and the head noun. Similarly, relativisation composition and complementation composition also appeared in magazines in the 1920s. This is true regardless of the type of adnominal endings or head nouns with which they combine. Next, constraints related to the adnominal ending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tense ending, honorifics, and head nouns. Lastly, the adnominal compositions show changes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the subject-object method, the use of adnominal endings '-ㄴ' or '-ㄹ', and the universalization of the 'adnominal clause + head noun' form. The adnominal composition of the 1920s also exhibited the sam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a 1920s adnominal composition has the appearance of a modern Korean adnominal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