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카파형 치유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apha Type Healing Program on the Korea Ayurveda Psychology Type (KAPT)

        이여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카파형 치유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하기 위하여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지를 통해 대학생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우울과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맞는 카파형 치유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요인 검증(뷰티아트과), 효과성 검증(보건계열), 1차 프로그램 내용 타당성 검증, 2차 최종 프로그램 적합성 검증 등 5단계의 절차에 의해 개발하였다.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단계에서는 기존프로그램 검토와 한국형아유르베다와 아유르베다를 키워드로 한 박사 논문 27편을 분석하여 단일차원으로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은 배제하고 아유르베다를 바탕으로 체질 또는 심리유형 결정요인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한 논문 18편을 선정· 분석하여 예비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예비추출을 하였다. 둘째, 카파형 치유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요인 검증을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뷰티아트과 대학생 남, 여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카파형 치유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보건계열 대학생 남, 여 300명을 대상으로 수정· 보완된 설문지와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 2차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성 검증을 위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교육을 이수한 박사 3인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FGI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최종 프로그램 적합성 검증을 위해 내용 타당성 검증 단계에서 수정· 보완하여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교육을 이수 한 박사 4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프로그램 적합성 검증을 받아 한국형아유르베다 카파형 치유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한국형아유르베다 기본심리유형 분석결과 한국형아유르베다 기본심리유형은 카파형(K), 바타형(V), 피타형(P)순으로 나타나 윤천성(2018a)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표준화 연구와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으나, 사회복지과의 경우 바타형(V)이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안정성, 고요함, 집중과 인내를 통하여 균형과 고요함을 발달시키는 학과의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형아유르베다 기본심리유형에 따라 체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욕은 바타형(V), 카파형(K)의 경우 대체적으로 변하기 쉽고 신경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타형(V)은 식욕이 항상 부족하고 불규칙적이며, 카파형(K)은 느린 소화력과 충분한 소화를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땀 상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카파형(K), 바타형(V)은 많지만 지속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났고, 피타형(P)은 적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활동성 상태를 분석한 결과 바타형(V), 카파형(K)의 대체적으로 활동성이 적당하거나 낮고 천천히 움직이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타형(P)의 경우 활동성이 적당하거나 높고 활동적인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면역기능 상태에 분석한 결과 거의 병치레가 없는 편인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우울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바타형(V)의 경우 카파형(K)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타형은 신경계와 뇌의 기능을 관장하며 신경이 예민하고 두려움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울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바타형(V)의 경우 피타형(P), 카파형(K)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타(V)는 민감하고 역동적이며, 건조하고, 차가우며 미세하다. 감정적인 동요가 크고 스트레스에 민감하여 불면증이나 소화불량이 잘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높으면 낮은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동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피타형(P)의 경우 바타형(V), 카파형(K)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타형(P)의 경우 지적이면서 통찰력이 있고 총명하다. 추진력이 있고 목표가 정해지면 전념을 다해 돌진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으므로 높은 성취 욕구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우울과 스트레스의 심리적인 면은 바타형(V)이 우월히 높다는 것은 입증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우울과 스트레스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변수로 카파형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은 윤천성(2018a)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표준화 연구에서 한국인 10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삼아 카파형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안정적이거나, 변화를 싫어하고 체재 순응적인 그리고 안정적인 면이 주는 정체, 둔함, 무지, 어둠을 만드는 기질이 있는 카파형(K)의 치유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형태와 구조 안에서 변화를 막고 분리, 이기적, 영적 활동의 중지를 촉진하는 카파형의 프로그램이 시급하다고 본다. 앞으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이용하여 다른 유형에 맞는 맞춤형 치유프로그램 후속 프로그램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 인천지역 경로당 리더의 성격유형(BIG5)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셀프리더십 매개효과 연구

        이경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선진국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는 핵가족화로 인해 자녀 동거가구는 감소하고 노인 부부가구 및 노인 독거 가구가 증가하면서 자기 스스로 생활을 돌보는 노인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노인을 돌보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마땅한 시설 또는 그것을 대신할 만한 장소가 지역사회 안에 필요하게 됨에 따라, 대안적 장소로써 접근성이 좋고 이용률이 높은 경로당이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며, 고령화의 진행에 따라 경로당은 양적이나 질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경로당의 효율적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은 경로당 회장이며, 경로당 회장의 리더십 발휘 여하에 따라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 이에 경로당 회장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경로당 리더의 성격유형(BIG5)이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보고, 연구목적은 경로당 리더의 성격유형(BIG5)과 삶의 만족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총 10개의 군·구⸳ 연합회에 소재하는 경로당 리더 들 50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여 1차는 7월12일에, 2차는 7월30일에 현장방문을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88부를 통계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데이터코딩(Data cording)과 데이터클리닝(Data cleaning)의 과정을 거친 후,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검정결과 경로당 리더의 전반적인 성격유형은 외향성이 가장 높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신경성이 높았고, 60대가 70∼80대에 비해 외향성이 높았으며, 70∼80대가 60대에 비해 신경성이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신경성이 높았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높고 급여가 300만 원 이상일 때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60대가 70∼80대보다 셀프리더십 성향이 높으며 신경성이 낮을수록 셀프리더십 성향이 높았다. 또한, 셀프리더십 성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셀프리더십은 성격유형(BIG5)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의 경로당 리더만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가 이루어진 결과로 인해 전국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보다 폭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셀프리더십을 개발하여 경로당 리더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도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는 경로당 리더십 개발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에 관한 실증 연구 : 도산 안창호의 융합성 통합적 리더십 연구

        최청평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논 문 개 요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고 ‘힘’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을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하였음은 물론 젊은 인재의 발굴과 육성에 특유의 지도력을 발휘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흥사단우의 30% 이상이 국정에 전문 인력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의 특성’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제Ⅱ장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산의 독립운동의 현황과 그 운동 속에 융합되어있는 도산의 리더십을 리더십이론에 준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산은 모든 독립운동에서 리더십 유형들을 융합과 통합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이 분석되었다. 제Ⅲ장에서 이상의 정성적 결과를 실증하기 위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흥사단우의 도산 안창호 리더십 인식 조사“를 시행키로 하여 이 인식 연구를 위하여 설문 및 질의 조사를 1차,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인식 조사 분석의 결과, 흥사단우는 도산이 수많은 독립운동에서 여러 가지 다차원적인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을 높고도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Ⅳ장에서는 제Ⅱ장의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와 제Ⅲ장의 실증적 인식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제Ⅴ장에서 본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은 진정한 인격자였다. 도산은 독립을 쟁취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는 민족 개개인의 건강하고 강건하게 수련된 “인격의 힘”이며 이 힘을 바탕으로 한 “동맹의 힘”이라고 굳데 믿었고 평생 솔선수범하며 진정한 리더의 삶을 살았다. 도산의 위인다운 리더십은 도산의 인격 속에 녹아있었고 스스로는 의식함이 없이 숙성된 자연의 발로였다. 둘째, 도산의 리더십에 관한 그간의 선행 연구 문헌은 연구자의 전문분야에 따라 개념화 되어 있었고 그에 따라 몇 가지 리더십유형으로 편향되어있거나 축소 혹은 왜곡될 위험마저 있어보였다, 이는 그간의 도산의 리더십 연구가 도산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던 결과로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그의 전 생애를 통한 독립운동에서 어느 특정한 리더십을 편향적으로 발휘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들을 통합과 융합을 통해 상승효과를 이루어 총체적으로 발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도산 안창호 리더십에 관한 흥사단우의 1, 2차 인식조사 결과, 도산이 총체적으로 발휘한 다양한 리더십에 관하여 흥사단우가 ‘보편적이고 공통적이며, 높고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실증 되었다. 다섯째,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전 생애의 독립운동 행보에서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던 바. 이러한 도산 안창호의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의 특성을 일명,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이라 명시하고자 한다.

      • 보험설계사의 다차원적 역량요인 분석 연구

        조인영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보험설계사는 노동관계법상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로 독립적인 사무실을 보유하지 않고 소속된 보험사업자를 위하여 업무를 수행하면서 독자적으로 모집, 판매, 관리 등을 통해 보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득을 얻는 자를 말한다. 이러한 직무상의 특성으로 보험설계사에게 역량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AI의 도입으로 보험 산업의 비즈니스 환경은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 활용은 보험설계사에게 직무상의 편의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일정 부분에서는 기존 보험설계사가 수행했던 직무를 대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고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과거와는 다른 보험설계사의 역량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급변하는 시대에 보험설계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에 대한 정의와 역량개발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험설계사의 직무특성에 변화를 가져오고 직무상 요구되는 역량도 역시 변화하게 되므로 보험설계사가 직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보험설계사의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변화와 직무상의 특징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첫째, 기존 문헌을 토대로 보험설계사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보험설계사들에게 요구되는 다차원적인 역량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둘째, 도출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보험 설계사의 구체적인 역량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 역량들 간의 중요 정도와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역량요인의 차이를 분석한다. 핵심역량과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1단계 절차는 역량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41개의 역량요인을 추출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추출한 역량요인을 현장전문가 4인과 HRD전문가 4인의 내용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목표지향성, 고객지향성, 자기관리능력, 활동성, 전문성의 5개의 역량요인을 도출하고, 3단계는 도출된 역량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인천, 경기, 서울 지역의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2020년 9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2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22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항목에 대한 답변을 누락하거나 이중응답을 한 65부를 제외한 457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여 20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4단계에서는 최종 도출된 20개의 하위요인을 HRD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이론적 근거, 연구방법, 연구결과, 효과성으로 구분하여 내용타당성 검증을 한 결과 모두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역량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관리능력(긍정적사고, 자신감, 성실성)이 나타났고, 고객지향성(책임감, 고객중심, 신속한 대응, 신뢰성, 의사소통능력), 전문성(분석력, 상품정보능력), 활동성(열정, 준비성, 설명력), 목표지향성(영업활동계획, 자기 확신, 도전정신, 목표설정, 자발성, 주도적계획력, 보수)으로 총 5가지의 역량요인과 총 20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전반적인 역량요인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5가지 역량요인 가운데 ‘자기관리능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험과 관련한 금융지식 뿐만 아니라 긍정적사고, 자신감, 성실성과 같은 직무상 태도와 마인드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경력이 오래될수록,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활동시간이 길수록, 가구경제 책임수준에서 주책임자일수록, 5가지 역량요인인 목표지향성, 고객지향성, 자기관리능력, 활동성, 전문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목표지향성, 고객지향성, 자기관리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외에 성별, 거주 지역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역량의 하위요인별 분석결과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경력이 오래될수록,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가구경제책임수준에서 주책임자일수록, 근로시간이 길수록, 책임감, 신뢰성, 성실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에 성별, 학력, 지역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HRD전문가와 현장전문가집단의 검증, 설문조사분석,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역량요인을 HRD전문가 집단의 재검토를 통해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보험설계사의 역량관련 요인과 일반적인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 후 보험설계사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교육만족도 관계 연구 : - 2년제와 4년제 졸업생 비교연구-

        최인실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2년제와 4년제 졸업생 대상으로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교육만족도를 설문하여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성과와 교육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졸업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여 미용학과의 발전에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논문의 목적은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2년제와 4년제 졸업생에게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독립변수인 미용교육서비스품질에서 유형성,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의 하위변수들이 종속변수인 효과성의 하위변수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변수인 자아개념에서 학습몰입,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는 표본으로 사용된 미용관련학과 2년제 졸업생과 4년제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글 설문지 양식과 설문지 기법으로 준비하여 SNS와 방문으로 설문을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1년 09월 18일부터 2021년 10월 15일까지 28일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하는 동안에 4년제는 238부로 49%, 2년제는 248부로 51%를 회수하였으며, 486부를 실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미용관련학과 선택이유에 따라서는 적성에 잘 맞고, 취업전망이 잘 되어있으며, 기술습득을 하기 위한, 학과의 인기도 때문에 선택한 경우 주위에서 권유해서 선택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하위요인별 유형성, 내용성, 반응성, 확신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전공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에 따라서는 교수의 전문성, 완벽한 실습실 제공, 취업 및 진학에 대한 정보제공, 다양한 교육과정, 진로에 대한 확신성이 만족스러운 경우 기타 부분이 만족스러운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하위요인별 유형성,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전공과 근무기관 일치 여부에 따라서는 졸업 후 전공과 근무기관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하위요인별 유형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졸업 후 근무기관, 졸업 후 현장 근무 기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다. 또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및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2년제 졸업의 경우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있어서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4년제 졸업의 경우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있어서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다. 여섯째, 미용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및 학습성과 관계에서 학습몰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유형성,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4년제 졸업의 경우 자기효능감은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별 유형성,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미용학과를 졸업한 2년제는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뢰성과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친다. 4년제는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형성과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친다.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는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치며, 4년제는 유형성, 내용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친다.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는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치며, 4년제는 내용성, 신뢰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친다.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는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치며, 4년제는 내용성, 신뢰성, 확신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몰입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4년제 또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와 4년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기효능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 4년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년제, 4년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2년제와 4년제의 졸업생들의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를 알 수 있었다. 미용관련학과의 발전을 위해 시대에 맞게 미용교육서비스품질의 부족한 부분을 교육개발, 개편 및 개선 등이 필요한 것을 시사하며, 미용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의 학습성과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2년제와 4년제 학생들의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제언하여 앞으로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기대해본다.

      • 외국인 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팜티투엣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외국인 근로자 고용 시,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는 인적자원관리 요인은 무엇이며, 그 관계에서 근로자의 셀프리더십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방법과 셀프리더십 개발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PCSDI) 개발 연구

        김현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을 분석하여 사계절 유형을 결정하는 객관적인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여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퍼스널컬러 측정도구 개발은 ‘구성개념 구체화’, ‘초기조사’, ‘측정항목정제’, ‘예비조사’, ‘척도기준’, ‘측정도구’ 등 6단계 척도개발 절차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구성개념 구체화’ 단계에서는 퍼스널컬러를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개념을 정리, 진단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초기조사’ 단계에서는 내용판단 접근법을 통해 퍼스널컬러 진단요소 하위영역에 대한 개념정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32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을 제거하였다. 셋째, ‘측정항목정제’ 단계에서는 내적구조 접근법으로 제거된 8문항을 내용판단 접근법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넷째,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측정항목정제 단계에서 수정, 보완된 문항으로 예비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총 32문항을 추출하여 인터넷과 모바일 설문을 통해 156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4개의 요인이 존재하며 4개 요인별 이미지 1문항이 제거되어 28문항으로 구성된 척도가 확정되었다. 다섯째, ‘척도기준’ 단계에서는 예비조사에서 확정된 척도를 재구성하여 최종문항을 설계하여 전국 표본 표집 남, 여 10대~50대 이상 남, 여 20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각 유형별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 조사용 척도 기준을 확정하였다. 여섯째, ‘측정도구’ 단계에서는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의 최종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표본 표집 남, 여 10대~ 50대 이상 16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내적 일관성 계수와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에 의한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1646명 중 19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최종 척도인 28개 문항에 대해 재검사를 실시하여 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시행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얻어진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PCSDI) 검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각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PCSDI) 신뢰도 분석결과 ‘봄’ 0.897, ‘여름’ 0.878, ‘가을’ 0.912, ‘겨울’ 0.879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4개의 유형이 유의하게 구분되며, 각 유형 측정 문항이 적절하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총 1646명을 대상으로 본 최종 척도 28개 문항에 대해 192명을 대상으로 재검사 신뢰도 분석 실시결과 0.80 이상의 높은 신뢰도가 나타나 본 PCSDI가 일관성 있게 해당 특성들을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PCSDI는 기존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퍼스널컬러 진단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객관적인 진단결과를 얻을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실증적 검증을 통해 퍼스널컬러 진단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제공에 기여하였다. 향후, PCSDI가 퍼스널컬러 진단 연구에 효과적인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건강신념과 자기 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연구 :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 중심으로

        정영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From the prehistoric times, the instinctive desire and healthy youth maintenance towards good health and long life have been the main concern for mankind. Up to today, which is the era people live up to age one hundred, health management without no disease and pain has become the main issue deciding the quality of life in modern society. Accordingly, the quantitative growth of fitness centers and the activation of the leisure sports industry is being revitalized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demand and needs. In addition, with the emphasis on the virtues through exercise and well-being desires, the beauty industry and sports industry are growing togeth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verify how the health belief of adult female users of the fitness center affect health-promoting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model.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of Rosenstock et al.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female adult members who have been attending the following S fitness center bran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or 6 months and over has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everity, one of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susceptibility, one of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 but no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ird, perceptual disturbance, one of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interest, one of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if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both have a positive impa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 Sixth, self-efficacy mediates a 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Seventh, exercise satisfaction mediates a 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rough the following results, it is to look over the process that leads to active health promotion actions, through the prime variabl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by the positive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tudy of th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action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pursuing the health of adult woman,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Hence by inspiring the disease prevention actions of middle aged woman which are easily exposed to adult illness, it is to promote the positiv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urthermore, additional meaning is placed on enhancing the awareness of consistent health management and exercise habits of fitness center members. 고대부터 인간의 무병장수에 대한 본능적 욕구와 건강한 젊음유지가 최대관심사가 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사회에서 질병과 통증 없는 건강관리는 인생 백세시대를 맞이하는데 삶의 질의 좌우하는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피트니스 센터의 양적인 성장과 레저 스포츠산업의 활성화는 그 니즈와 수요에 맞물려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성장과 스포츠 피트니스 산업이 웰빙 욕구와 함께 운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뷰티산업과 함께 동반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피트니스 센터 내 이용자들이 건강신념모델에 입각한 자기 효능감과 운동만족을 통해 건강증진행동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 연구 모형을 실증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의 질병예방 및 건강을 강조하는 건강신념모델 이론의 주요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서울과 경기 소재 S피트니스 센터 지점 중 6개월 이상 이용 성인여성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신념모델 요인 중 하나인 지각된 심각성은 자기 효능감, 운동만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신념모델 요인 중 하나인 지각된 개연성은 자기 효능감과 운동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신념모델 요인 중 하나인 지각된 장애는 자기 효능감과 운동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신념모델 요인 중 하나인 지각된 이익은 자기 효능감과 운동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 효능감과 운동만족은 건강증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 효능감은 건강신념과 건강증진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운동만족은 건강신념과 건강증진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건강신념모델의 주요 요인들을 통하여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성인여성들의 건강을 추구하는 심리적 변인들을 자기 효능감과 운동만족 이라는 긍정적인 태도변인을 통해 적극적인 건강증진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성인병에 쉽게 노출되는 중 노년층 여성들의 질병예방행동을 고취시켜 운동을 통한 자기 효능감과 운동 만족의 순기능을 홍보하고자 한다. 더불어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와 운동습관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여가 선용의 바른 길잡이 역할을 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뷰티힐링센터 이용자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과 삶의 만족도와 참여동기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 매개효과 연구

        김엘리사벳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뷰티서비스가 일상화 되고 보편적인 생활 방식이 됨에 따라 뷰티서비스의 차원이 ‘힐링’까지 확대되는 방향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여지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미용업계의 실상은 아직까지도 구태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대인들이 갈망하는 미에 대한 욕구가 외모에만 국한한다는 인식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뷰티서비스는 외모에 대한 관심으로 방문한 고객의 내면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공간의 배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외적 측면의 서비스에만 머물러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심신의 균형을 이루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도움이 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힐링의 도구로 도입하여 뷰티힐링의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뷰티힐링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검사와 삶의 만족도 및 참여동기 관계에서 셀프리더십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선행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뷰티힐링,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삶의 만족도, 참여동기, 셀프리더십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탐색하였다. 이들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거쳐, 각각의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후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은 참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은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셀프리더십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셀프리더십은 참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과 삶의 만족도 관계해서 셀프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일곱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과 참여동기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이 뷰티힐링을 경험하는 과정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뷰티힐링 프로그램으로 도입할 시 개인에게 적합한 맞춤형 힐링이 가능하다. 둘째, 뷰티서비스 현장에서 고객의 성향과 직업환경, 성격에 맞는 프로그램을 도입의 시급성이다. 뷰티힐링이 뷰티산업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용한 콘셉으로 자리잡기 위해서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이를 이해하고 개인상담 능력과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등의 상담도구 활용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뷰티산업 현장에서 뷰티서비스가 힐링의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 후속 연구자들이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접목한 뷰티힐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뷰티힐링,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삶의 만족도, 참여동기, 셀프리더십 As beauty services popularize and further has become a common way of lif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dimension of beauty services to 'healing'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reality of the beauty industry is so far outdated. The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perception that modern people's desire for beauty is limited to appearance. Unfortunately, beauty services remain only for external services despite the background of enough time and space to care for the interior of customers who visit with interest in appear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as a healing tool that consists of a process that helps to live a healthy and happy life by balancing the mind and body and further to prove the possibility of maximization of beauty healing. In this mann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examined as well as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test for users of the Beauty Healing Center. Research on prior studies and survey methods were conducted in equidistant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Definitions and concepts of beauty healing,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self-leadership were examined by prior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identifying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se concep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research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 method is as below. First,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ird,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Fourth, self-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self-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motivation. Sixth, self-leadership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erning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and life satisfaction.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elf-leadership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rocess of experiencing beauty healing. Also, customized healing suitable for individuals is available when the time that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is brought in as a beauty healing program. Second, it is the urgency of introducing a program that fits the customer's disposition, job environment, and personality in the beauty service field. To establish beauty healing as a useful concept that can create high added value through the beauty industry, this requires experts in regarding field to understand this and, through the use of counseling tools such as personal counseling ability and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it can grow as much as possible. This study further hopes that follow-up researchers may develop a beauty healing program incorporating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to accelerate to the stage of healing in the beauty industry. Keywords: Beauty healing,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