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부적응 행동

        최지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8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practice and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child. The child-rearing practice, in the present study, is specified into 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The maladjustment behavior includes hyperactivity, aggression, withdrawal and defens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8 sixth graders sampled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 consisted of 162 boys and 166 girls. Home Environment Test developed by Sung Shim Oh and Jong Sung Lee(1982) has been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o measure child-rearing practice of the parents. And a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used for measur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subjects. Correlation technique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applied for the analyses of data,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The first, father's child-rearing pract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s behavior of maladjustment. In general, the child who has been grown under affirmative father shows a low score on the maladjustment scale. The father who put an emphasis on autonomy and rationality in child-rearing practice showed a tendency to have a child with a lower score on the maladjustment scale. Th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ffirmative child-rearing practice and child's behavior of maladjustment. Children of affirmative mothers have shown a lower score on the maladjustment scale. Mother's practice emphasizing autonomy and rationality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child's adjustment behavior. Th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oled-score of parent's child-rearing practice and child's maladjustment behavior.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not affected by the consistency-inconsistency level of mother and father in child-rearing practice.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와 자녀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아동이 가정이나 학교, 사회에서 유능한 구성원으로서 바르게 성장하고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부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적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2> 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적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3> 한 가정에서 부와 모의 양육태도의 차이에 따라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4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회수된 328부를 분석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설문지를 재구성한 임선화(1987)의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행동에 대한 질문지와 Quay(1972)가 제작한 정서적 부적응 질문지를 김광수(1990)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p<.01 수준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다. 부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적게 나타난다.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력은 가지고 있는 것은 부의 자율-통제 차원과 합리-비합리 차원의 양육태도이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p<.01 수준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다. 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적게 나타난다. 부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력은 가지고 있는 것은 모의 자율-통제 차원과 합리-비합리 차원의 양육태도이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 차이가 어떠한가에 따라 아동의 부적응 행동은 다르게 나타난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인 집단은 아동의 부적응 행동 점수가 낮게 나타나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인 집단은 아동의 부적응 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부와 모간에 양육태도의 차이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학업성취사와 귀인성향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

        박현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83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사와 귀인양식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사가 서로 다른 집단간에 귀인성향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학업성취사가 서로 다른 집단간에 자아효능감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학업성취사 집단이란 초등학교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수행해 온 학교학습의 결과에 따라 구분되는 집단이다. 이 집단은 네 가지 유형, 즉 일관성 집단, 상향 집단, 하향 집단, 불규칙 집단으로 구분되고 일관성 집단은 다시 상위 집단, 중위 집단, 하위 집단으로 구분된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시의 J초등학교 6학년 8개 반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290명에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업성취사를 알아보기 위해 생활기록부의 교과발달사항란을 이용하였고 귀인성향 검사, 자아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사 집단 간에는 귀인통제소재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규칙 집단의 아동이 하향집단에 비해 내적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다. 일관성 집단 내 상, 중, 하위 집단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상위집단의 아동은 내적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고 하위집단의 아동은 외적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다. 둘째, 학업성취사 집단 간에는 귀인의 통제가능성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향 집단의 아동이 일관성 집단의 아동에 비해 통제 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다. 일관성 집단 내 상, 중, 하위 집단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상위집단의 아동은 통제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고 하위집단의 아동은 통제불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하려는 성향이 높다. 셋째, 학업성취사 집단 간에는 자아효능감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향집단의 아동이 하향집단의 아동에 비해 자아효능감이 높다. 일관성 집단 내 상, 중, 하위 집단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상위집단의 아동은 자아효능감이 높고 하위집단의 아동은 자아효능감이 낮다. 넷째,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에 있어서 상향집단의 아동이 일관성집단의 아동에 비해 자신감이 높다. 또한 일관성 집단 내 상위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자신감이 높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cademic performance history upon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hypotheses were derived, in the study, from overview of theories and past researches. Hypothesis Ⅰ: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bution among groups which are defined by thepersonal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Hypothesis Ⅱ: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mong groups defined by the personal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atement of the above hypotheses, attribution refers to the behavior of attributingthe causes of results to something else. The causes that are attributed by a studen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locus (internal-external) and controllability (controllable-uncontrollable). Self-efficacy, in the study, includes preference of difficult task, self-regulatory efficacy and confidence. According to personal history of success-failure in academicachievement for 5 year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signed into one of the six groups: upper(high) group, middle(acceptable) group, lower(failed) group, ascending(upward) group, descending(downward) group, and inconsistent(irregular)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0 sixth graders, sampled from 8 elementary schools. An Attribution Scale and a Self-Efficacy Test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the study. Transcript of school record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to identify the pattern of personal history in academic achievemen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test were applied for testing the hypotheses of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The high(upper) group and irregular group have shown a significantly higher tendency of attributing the causes of their success/failure to internal factors as compared to other groups of children. They recognize that their own efforts and abilities must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i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upward-group and the high(upper) group showed a higher tendency of attributing causes of success/failure to controllable factors as compared to the consistently lower(failed) group.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self-efficacy among the groups defined by the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The upward-group shows a higher mean score on self-efficacy as compared to the downward-group. The upward-group of students,as compared to the students of down-ward group, showed a higher efficacy in self-regulation and preference of difficult tasks. Fourth, among three groups which have been consistent in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ents of upper(high) group showed a higher mean score on self-efficacy as compared to the lower(failed) group. Specifically, the upper group showed a higher mean score on self-confidenc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umulative experiences of success and/or failure in school learning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development of student's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efficacy. A long period of successful experiences in school learning may lead the student to develop a positive self-efficac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is academic performance, And experiences of irregularity and upwardness in his academic achievement can make him to believe that his own efforts must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 in schoo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