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귀국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 및 국어 교육 양상 -보호 프로그램으로서의 귀국 학생 대상 특별학급을 중심으로 = Classroom Adapt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for Elementary Returnee Students -With a Focus on Special Classes as a Sheltered Program for Returne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5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귀국 학생 대상 특별학급의 보호 프로그램의 성격에 주목하여, 서울의 S초등학교 귀국 학생반 사례 연구를 통해 귀국 학생을 위한 초기 학교생활 적응 교육 및 국어교육 양상을 살...

      이 연구는 귀국 학생 대상 특별학급의 보호 프로그램의 성격에 주목하여, 서울의 S초등학교 귀국 학생반 사례 연구를 통해 귀국 학생을 위한 초기 학교생활 적응 교육 및 국어교육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호 프로그램으로서의 귀국 학생반에서는 궁극적인 목표를 1년 정도의 교육 기간을 통해 자칫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놓치기쉬운 귀국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이들의 학교 적응을 도와 일반학급에 입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최우선적인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기대하는 이중언어교육이나 몰입식 영어교육 등 국제성 유지 신장 측면의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하지만 보호 프로그램으로서의 귀국 학생반에서는 귀국 학생의 문화 적응, 학교 생활 적응, 언어 적응, 교과 학습 적응을 위해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층위의 교육 경험을 제공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귀국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적인교육 내용을 상위 주제로 설정하고, 이 주제를 여러 교과의 관련 내용들을 연결하여 자연스럽게 언어와 교과 내용을 함께 가르치는 일종의 내용 중심 보호 교수법을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귀국 학생 대상 국어수업 분석 결과, 귀국 학생반의 국어 수업은 일반 국어 교과서로 정규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정해진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한국어가 부족한 귀국 학생에 맞게 정해진 국어교육의 조건들을 조정해 나가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해가능한 입력 제공하기, 주요 핵심 개념을 영어 단어 제시를 통해 이해시키기, 소리내어 읽기를 통한 읽기 유창성 훈련 강조하기, 어휘의 의미와 사용법 강조하기, 국어의 메타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깊이있는 교육 유도하기, 발화 속도 및 수업 진행 속도 조절을 통한 학습자의 정의적 여과막 수준 낮춰주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여 탄력적으로 수업 운영하기 등의 교수 전략이 보호 프로그램으로서의 귀국 학생반 국어 수업의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 examining the conditions in early-stage classroom adaptatio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returning to Korea after having lived abroad through the case study of Returnee Class at S Elementary School 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 examining the conditions in early-stage classroom adaptatio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returning to Korea after having lived abroad through the case study of Returnee Clas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ying attention to the features as a Sheltered Program in the special classes for such students. In the Returnee Class as Sheltered Program the ultimate objective over the education period of a year or so is to help the students with insufficient capabilities of the Korean language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ing material and to assist with the classroom adaptation so that they may join a regular class soon, which in terms of the content was distinct from bilingual education or immersion English program targeted at maintaining international qualities, that are expected from the parents. However the Returnee Class as Sheltered Program has demonstrated that it can provide various laye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its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which was ran for the adaptation of returnee students in such areas as culture, school life, language and subject learning.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was run based on Sheltered Content-BasedInstruction, in which the core learning content is set as the Big Idea and these topics are linked to related content in various subjects so that language and subject content are naturally taught together.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for returnee students it has come to light that teaching in this class was based on the learning objective in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using the regular Korean language textbooks, but the condi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been adjus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hose Korean language skills are insufficient.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Returnee Class as Sheltered Program can be identified as providing comprehensible input, making sense of core concepts by explaining with English words, emphasizing the training of reading fluency through choral reading, emphasizing the meaning and usage of vocabulary, inducing in-depth learning by emphasizing metacognitiv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lowering the affective filter level of students by adjusting the speed of speech and teaching, and running class flexibly by restructuring the learning content and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해외 귀국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2 손인순, "해외 귀국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13 (13): 37-52, 2010

      3 김지영, "해외 귀국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2013

      4 이준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34): 349-370, 2007

      5 진제희, "한국어 수업을 위한 내용 중심 교수 방안-고급수준 재미 교포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353-377, 2005

      6 장한업, "프랑스 초등학교의 상호문화교육의 현황과 그 시사점"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0 (10): 107-125, 2012

      7 권준영, "초등학교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 방안 : 귀국학생 특별학급 지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권효숙, "초등학교 '귀국반' 아동의 적응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윤희경, "초등귀국학생의 모국어 교육과 외국어 유지를 위한 노력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2

      10 정현주, "초등 귀국학생의 유형별 수업 사례를 통한 한국어(KSL)교육과정 적용 양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1 김미경, "해외 귀국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2 손인순, "해외 귀국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13 (13): 37-52, 2010

      3 김지영, "해외 귀국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2013

      4 이준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34): 349-370, 2007

      5 진제희, "한국어 수업을 위한 내용 중심 교수 방안-고급수준 재미 교포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353-377, 2005

      6 장한업, "프랑스 초등학교의 상호문화교육의 현황과 그 시사점"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0 (10): 107-125, 2012

      7 권준영, "초등학교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 방안 : 귀국학생 특별학급 지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권효숙, "초등학교 '귀국반' 아동의 적응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윤희경, "초등귀국학생의 모국어 교육과 외국어 유지를 위한 노력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2

      10 정현주, "초등 귀국학생의 유형별 수업 사례를 통한 한국어(KSL)교육과정 적용 양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11 정은홍, "초등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원진숙, "이중언어교육으로서의 해외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2003

      13 이정희,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9-232, 2003

      14 윤미라, "귀국학생의 불안·우울에 관한 연구 : 특별학급 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5 박지희, "귀국학생을 위한 문식성 신장 프로그램의 개발 : 균형적 언어 접근법을 활용하여" 서울교육대학교 2012

      16 박주용, "귀국학생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안" 한국중원언어학회 2 (2): 23-50, 2011

      17 심순실, "귀국학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귀국학생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설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고현영, "귀국초등학생 한국어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서 활용 방안" 한양대 교육대학원 2006

      19 송영복, "귀국반 어린이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주요 귀국반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지도 방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원진아, "귀국 초등학생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일반학교 통합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이선희, "귀국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일반학교 통합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조미경, "귀국 초등 학생용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1

      23 이진주, "귀국 조기 유학생의 학교 적응 언어 문제" 120 : 260-287, 2011

      24 문경숙, "“난 내 나라가 낯설어요!” 귀국학생의 국내 학교적응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21-649, 2012

      25 Stephen D. Krashen, "The input hypothesis : Issues and implications" Longman 1985

      26 Grabe, "The content-based classroom: Perspectives on integrating language and content" Longman 1997

      27 Brown, "Teaching by principles―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Longman 2001

      28 M. A. Snow,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Newburry House 1991

      29 Echevarria,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Teach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diverse abilities" Allyn & Bacon 2007

      30 Stephen D. Krash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Pergamon Press 1981

      31 Stephen D. Krashen, "Fundamentals of language education" Laredo Publishing Company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