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석배, "한국 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 벨트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2 정병모, "중국 북조(北朝) 고분벽화를 통해 본 진파리 1・4호분과 강서중・대묘의 양식적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1) : 313-334, 2013
3 세키노 다다시, "조선미술사" 동문선 2003
4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조선, 지극히 아름다운 나라" 살림 2010
5 옥낙안(Andreas Eckardt), "제2의 조국 한국이여 빛나라!" 신태양사 69 : 1958
6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열화당 2003
7 홍미숙,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19
8 조현범, "분도회 선교사들의 한국 문화 연구"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3) : 167-222, 2009
9 권영필, "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 문예출판사 2000
10 서울역사박물관, "동소문별곡" 서울역사박물관 2014
1 정석배, "한국 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 벨트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2 정병모, "중국 북조(北朝) 고분벽화를 통해 본 진파리 1・4호분과 강서중・대묘의 양식적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1) : 313-334, 2013
3 세키노 다다시, "조선미술사" 동문선 2003
4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조선, 지극히 아름다운 나라" 살림 2010
5 옥낙안(Andreas Eckardt), "제2의 조국 한국이여 빛나라!" 신태양사 69 : 1958
6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열화당 2003
7 홍미숙,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19
8 조현범, "분도회 선교사들의 한국 문화 연구"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3) : 167-222, 2009
9 권영필, "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 문예출판사 2000
10 서울역사박물관, "동소문별곡" 서울역사박물관 2014
11 정은영, "고구려 쌍영총벽화 안료의 연구" 고려대학교 2003
12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의미" 한국문화연구원 34 : 123-149, 2018
13 이종수, "關野貞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조사 연구, 그 성과와 한계" 한국미술사학회 260 (260): 5-33, 2008
14 이도학,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역사문화연구소 (58) : 3-34, 2016
15 Johannes Mahr, "”Wie meine Mutter den Sauerteig benützt hat" Benediktiner als Missionare in Korea und Nordostchina 1909~1954"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3) : 5-63, 2009
16 Eckardt, Andreas, "History of Korean Art" Edward Goldston 1929
17 Eckardt, Andreas, "Das große Königsgrab Yangwon’s : Ein Beitrag zur koreanischen Kunstgeschichte" 13 : 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