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viet avant-garde was large, and influential wave of modern art that flourished in Soviet Union, approximately from 1910 to 1930. The influence of Soviet avant-garde art has not been limited to painting and sculpture, but led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the Soviet fashion. This study focuses on formativenes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viet Union. The study reviews a wide range of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on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viet Union and Soviet fashion in 1910s and 1920s. In addition, the formativenes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was carefully analyzed, reviewing visual and literature references worldwid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using factors as silhouette, color, material, pattern, four features – application of geometric structure of straight lines, preference of color contrast,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combined application of traditional and geometric patterns - were derived. This study highlights formativeness feature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that it strengthened traditional culture, expressed national socialism, encouraged interaction between art and fashion and industrialized fashion. Russian art has been unrevealed in histor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s and has few previous studies especially on Soviet fashion. This study will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Russian fashion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번역하기

      The Soviet avant-garde was large, and influential wave of modern art that flourished in Soviet Union, approximately from 1910 to 1930. The influence of Soviet avant-garde art has not been limited to painting and sculpture, but led to the general devel...

      The Soviet avant-garde was large, and influential wave of modern art that flourished in Soviet Union, approximately from 1910 to 1930. The influence of Soviet avant-garde art has not been limited to painting and sculpture, but led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the Soviet fashion. This study focuses on formativenes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viet Union. The study reviews a wide range of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on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viet Union and Soviet fashion in 1910s and 1920s. In addition, the formativenes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was carefully analyzed, reviewing visual and literature references worldwid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using factors as silhouette, color, material, pattern, four features – application of geometric structure of straight lines, preference of color contrast,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combined application of traditional and geometric patterns - were derived. This study highlights formativeness feature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that it strengthened traditional culture, expressed national socialism, encouraged interaction between art and fashion and industrialized fashion. Russian art has been unrevealed in histor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s and has few previous studies especially on Soviet fashion. This study will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Russian fashion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비에트 아방가르드는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함께 창안된 소련의 새로운 예술 정책으로 매우 혁신적이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예술은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이 발전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였고,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은 소비에트 패션의 시초가 되었다. 본 연구는 20세기 소련의 정치ž경제ž사회ž문화ž예술ž패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소비에트의 사회ž문화적 배경과 패션의 특징을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분석은 문헌자료에 수록된 작품사진과 국외 인터넷 시각자료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을 실루엣, 색채, 소재, 문양 등의 조형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기하학적 형태와 직선적 실루엣의 활용, 원색 대비 선호, 다양한 소재와 화려한 장식의 활용, 전통 문양과 기하학적 문양의 혼용 등의 특징을 보였다. 위와 같은 디자인의 특징에는 러시아의 전통성 고취, 소비에트 국가 이념의 표출, 패션의 예술화 시도, 패션의 산업화 등의 조형적 의도가 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도 한국사회에 생소한 러시아 패션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시도되었으며, 나아가 러시아와 러시아 패션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미술과 패션은 소련 붕괴 이후 도약적인 발전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할 가치 또한 높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러시아 패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소비에트 아방가르드는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함께 창안된 소련의 새로운 예술 정책으로 매우 혁신적이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예술은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이 발전할 ...

      소비에트 아방가르드는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함께 창안된 소련의 새로운 예술 정책으로 매우 혁신적이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예술은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이 발전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였고,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은 소비에트 패션의 시초가 되었다. 본 연구는 20세기 소련의 정치ž경제ž사회ž문화ž예술ž패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소비에트의 사회ž문화적 배경과 패션의 특징을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분석은 문헌자료에 수록된 작품사진과 국외 인터넷 시각자료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을 실루엣, 색채, 소재, 문양 등의 조형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기하학적 형태와 직선적 실루엣의 활용, 원색 대비 선호, 다양한 소재와 화려한 장식의 활용, 전통 문양과 기하학적 문양의 혼용 등의 특징을 보였다. 위와 같은 디자인의 특징에는 러시아의 전통성 고취, 소비에트 국가 이념의 표출, 패션의 예술화 시도, 패션의 산업화 등의 조형적 의도가 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도 한국사회에 생소한 러시아 패션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시도되었으며, 나아가 러시아와 러시아 패션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미술과 패션은 소련 붕괴 이후 도약적인 발전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할 가치 또한 높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러시아 패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화, "혁명기(1917-1929) 러시아 무대디자인에 나타난 유토피아니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 신가현, "혁명기 러시아 미술에 나타난 미술과 사회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경묵,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1999

      4 이다경, "소비에트 Red Dior의 패션디자인 특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5 칼 마르크스, "마르크스 엥겔스의 문화예술론" 논장 1989

      6 최현숙, "러시아 혁명기의 직물과 의상디자인" 17 (17): 1993

      7 이무열, "러시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09

      8 김영미,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에 나타난 사회성에 관한 연구 : 러시아 구축주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말주,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 Ballets Russes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0 이진숙, "러시아 미술사" 황금가지 2007

      1 박경화, "혁명기(1917-1929) 러시아 무대디자인에 나타난 유토피아니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 신가현, "혁명기 러시아 미술에 나타난 미술과 사회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경묵,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1999

      4 이다경, "소비에트 Red Dior의 패션디자인 특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5 칼 마르크스, "마르크스 엥겔스의 문화예술론" 논장 1989

      6 최현숙, "러시아 혁명기의 직물과 의상디자인" 17 (17): 1993

      7 이무열, "러시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09

      8 김영미,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에 나타난 사회성에 관한 연구 : 러시아 구축주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말주,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 Ballets Russes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0 이진숙, "러시아 미술사" 황금가지 2007

      11 박윤정, "라리오노프와 곤챠로바의 공연 예술의상 연구" 한국복식학회 55 (55): 1-21, 2005

      12 김은정, "디아길레프 발레뤼스 작품과 의상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В. И. Ивановская, "Русский Народный Орнамент" В. Шевчук 2010

      14 А. Петрова, "Русский Костюм в Фотографиях. Метаморфозы" СЛОВО/SLOVO 2010

      15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 "Русская Мода. 150 лет в Фотографиях" СЛОВО/SLOVO 2009

      16 АллаЩипакина, "Мода в СССР. Советский Кузнецкий, 14" СЛОВО/SLOVO 2009

      17 Степанян Н., "Искуссво XX века Взгляд 90-х" М.ЭКСМОПресс 1999

      18 "http://www.yandex.ru"

      19 "http://www.rambler.ru"

      20 "http://www.pinterest.com"

      21 "http://ru.wikipedia.org"

      22 "http://dic.academic.ru"

      23 "http://100.daum.net"

      24 I. Yasinskaya, "Soviet Textile Design of the Revolutionary Period" Thames & Hudson 1990

      25 Tatiana Strizhenova, "Soviet Costume and Textiles 1917-1945" Flammarion 1991

      26 Evelina Khromtchenko, "Russian Style" Assouline Publising 2009

      27 I. Yasinskaya, "Revolutionary Textile Design: Russia in the 1920's and 1930's" Viking Press 1984

      28 David Elliott, "New Worlds: Russian Art and Society 1900-1937" W. W. Norton & Company, Inc 1990

      29 Natalia Kalashnikova, Galina Pluzhnikova, "National Costumes of the Soviet People" Planeta 1990

      30 Roger Leong, "From Russia with Love: Costumes for the Ballets Russes 1909-1933"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2000

      31 Djurdja Bartlett, "Fashion East: The Spectre that Haunted Socialism" The MIT Press 2010

      32 Austria Museum, "Art and Revolution-Russian & Soviet Art 1910-1932" MAK 1998

      33 제르다 북스바움, "20세기 패션 아이콘" 미술문화 2009

      34 오선희, "20세기 초반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가의 의상디자인 활동–구성주의를 중심으로" 51 (51): 2001

      35 조윤경, "1920년대 소비에트 구성주의 패션에 관한 연구" 36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