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도화된 청년 활동과 지역공동체민주주의의 가능성: 서울시 ‘지역혁신청년활동가’ 제도에서의 민주적 수행성정치의 전망 = Institutionalized Youth Activities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Democracy: A prospect of democracy in 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in Seoul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inds that the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system implemented by Seoul city is a combination of ‘community’ that emerges as a new territory of ‘the social’ and ‘youth’ who experiences unstable labor structure. Therefore, the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is the subject that is constituted and produced by technology of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finds out various internal conflicts in the actual field of activity through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a researcher working as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and of interviews with other activists,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within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erformative contradiction’ is not only a political possibility that can resist and change the technology of community that passes through the body of the youth, but also the prospect of a ‘democratic performative politics’ that could cope with problems outside the community at the same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finds that the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system implemented by Seoul city is a combination of ‘community’ that emerges as a new territory of ‘the social’ and ‘youth’ who experiences unstable labor structure. Therefor...

      This study finds that the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system implemented by Seoul city is a combination of ‘community’ that emerges as a new territory of ‘the social’ and ‘youth’ who experiences unstable labor structure. Therefore, the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is the subject that is constituted and produced by technology of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finds out various internal conflicts in the actual field of activity through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a researcher working as ‘Local innovation youth activist’ and of interviews with other activists,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within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erformative contradiction’ is not only a political possibility that can resist and change the technology of community that passes through the body of the youth, but also the prospect of a ‘democratic performative politics’ that could cope with problems outside the community at the same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버틀러, 주디스, "혐오 발언" 알렙 2016

      2 서울연구원, "혁신도시" 한울아카데미 2013

      3 김주환, "한국의 사회적 경제에서 연대와 민주주의 이념의 기능 맥락과 규범 맥락의 동학: 사회적 경제 활동가들의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35) : 93-139, 2016

      4 주성수, "한국시민사회사: 민주화기 1987~2017" 학민사 2017

      5 이영롱, "한국 청년세대의 사회적 노동 경험: 2010년대 청년들의 자기 서사와 노동 서사를 중심으로"

      6 홍경준, "한국 복지체제의 개혁과 제3섹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8-234, 2000

      7 신충식, "푸코의 계보학적 접근을 통한 통치성 연구" 한국정치사상학회 16 (16): 126-162, 2010

      8 윤재호, "청년창업자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특성과 공유가치창출(CSV)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4

      9 박은진, "청년세대의 불안정한 노동과 주거실험 : 해방촌 '빈집' 게스츠하우스(Guests' House)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소연, "청년세대 문화정치운동 : 자립음악생산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 버틀러, 주디스, "혐오 발언" 알렙 2016

      2 서울연구원, "혁신도시" 한울아카데미 2013

      3 김주환, "한국의 사회적 경제에서 연대와 민주주의 이념의 기능 맥락과 규범 맥락의 동학: 사회적 경제 활동가들의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35) : 93-139, 2016

      4 주성수, "한국시민사회사: 민주화기 1987~2017" 학민사 2017

      5 이영롱, "한국 청년세대의 사회적 노동 경험: 2010년대 청년들의 자기 서사와 노동 서사를 중심으로"

      6 홍경준, "한국 복지체제의 개혁과 제3섹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8-234, 2000

      7 신충식, "푸코의 계보학적 접근을 통한 통치성 연구" 한국정치사상학회 16 (16): 126-162, 2010

      8 윤재호, "청년창업자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특성과 공유가치창출(CSV)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4

      9 박은진, "청년세대의 불안정한 노동과 주거실험 : 해방촌 '빈집' 게스츠하우스(Guests' House)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소연, "청년세대 문화정치운동 : 자립음악생산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1 박찬주, "청년사회적기업가 육성 활성화 방안" 사회적기업연구원 3 (3): 2010

      12 박해긍,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역할" 사회적기업연구원 4 (4): 2011

      13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청년과 마을을 잇는 핸드북"

      14 관계부처합동, "청년 실업 현황과 대책" 2003

      15 신중진,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 2007~2009 살고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43-56, 2013

      16 류연미, "지속가능한 삶으로서의 활동 : '서울시청년일자리허브'와 청년 활동가의 실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7 버틀러, 주디스,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2008

      18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자립, 탐구생활" 2015

      19 서울시, "일자리창출 종합대책" 2013

      20 서영표, "인식되지 않은 조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 노골적인 계급사회의탈계급 정치" 58 : 62-85, 2013

      21 김우영, "은평구 마을공동체로 바라보는 주민참여 사업"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5-35, 2013

      22 버틀러, 주디스,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 2009

      23 서울연구원, "서울특별시 마을공동체 기본계획: 마을공동체 기본계획수립및 종합지원센터 설치연구용역" 2012

      24 김권수,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사회학회 4 (4): 66-92, 2014

      25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연구보고서: 마을, 3년의 변화그리고" 2014

      26 대통령비서실 삶의 질 향상 기획단, "새천년을 향한 생산적 복지의 길"

      27 김성윤, "사회적인 것의 재-구성: 사회자본론, CSR, 자원봉사활동 담론들의접합" 진보평론 48 : 2011

      28 김현민, "사회적기업에서 종사하는 청년들의 일 경험에 관한 연구 : (주) 노리단 사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29 이신모, "사회적 기업 창업을 통한 청년실업해소" 한국경영학회 2009

      30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을 말하다 1"

      31 오완석, "마을공동체회복사업과 주민자치를 위한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104-125, 2013

      32 김수영, "마을공동체 형성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337-381, 2014

      33 하현상,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421-459, 2017

      34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35 유창복,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휴머니스트 2014

      36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37 박주연, "대안적 일터로서의 사회적기업 : 문화예술분야기업 청년종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8 버틀러, 주디스,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8

      39 푸코, 미셸, "권력과 지식" 나남 1991

      40 이왕기, "고령사회에 대응한 마을만들기 전략- 인천지역 마을활동가 설문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137-150, 2014

      41 강수돌, "경영과 노동" 한울아카데미 2002

      42 조영훈, "’생산적 복지론’과 한국 복지국가의 미래" 비판사회학회 45 : 90-113, 2000

      43 조주영, "‘주체’ 없이 행위성을 설명하기-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5 (25): 73-96, 2014

      44 조문영, "‘사회’의 위기와 ‘사회적인 것’의 범람: 한국과 중국의 ‘사회건설’ 프로젝트에 관한 소고" 비판사회학회 (113) : 100-146, 2017

      45 정태석,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시민은 어디에 있는가?" 새얼문화재단 49 : 132-148, 2005

      46 정수남, "ʻ잉여인간ʼ, 사회적 삶의 후기자본주의적 논리: 노숙인·부랑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285-320, 2014

      47 Rose, N., "The Death of the Social? Re-figuring the Territory of Government" 25 (25): 327-356,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3 1.316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