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미선, "한류문화의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문경,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국외 보급 정책 연구 : 한류 기반 잠재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현정, "한류 애호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의 방향성 고찰" 253-263, 2008
4 이정평, "한국어 학습과 한류 간 관계성에 관한 연구: 중국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5 최문석,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한국어교육 방법 연구 : 게임과 Information Gap Activity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이희경,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한 일본 대학생의 한국어 학습과 한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125-151, 2006
7 최주열,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 수업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 및 전공 수학능력 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67-184, 2012
8 유승금,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학점 이수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1-82, 2005
9 김지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체계와 내용" 영주어문학회 25 : 75-106, 2013
10 최정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회 (31) : 277-314, 2006
1 장미선, "한류문화의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문경,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국외 보급 정책 연구 : 한류 기반 잠재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현정, "한류 애호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의 방향성 고찰" 253-263, 2008
4 이정평, "한국어 학습과 한류 간 관계성에 관한 연구: 중국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5 최문석,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한국어교육 방법 연구 : 게임과 Information Gap Activity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이희경,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한 일본 대학생의 한국어 학습과 한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125-151, 2006
7 최주열,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 수업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 및 전공 수학능력 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67-184, 2012
8 유승금,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학점 이수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1-82, 2005
9 김지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체계와 내용" 영주어문학회 25 : 75-106, 2013
10 최정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회 (31) : 277-314, 2006
11 민현식,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20, 2008
12 박성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 요목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5-214, 2015
13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14 허신영, "취업 목적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15
15 김세란, "취업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6 곽영숙, "이주 노동자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 (2): 293-342, 2008
17 안선영, "여행 목적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외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18 김윤주,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재 비교 분석 - 의사소통상황 및 문화를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39) : 337-368, 2011
19 최권진,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247-269, 2014
20 최권진, "언어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341-363, 2013
21 박혜진, "세종학당 학습자 96%, “친구에게 세종학당 소개하고 싶다”"
22 안병근,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장미라, "문화 기반 초급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회 (116) : 103-130, 2012
24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연구 보고서 1단계" 국립국어원 2010
25 박석준,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69-200, 2008
26 정채은, "관광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임화정, "과제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지도 방안 - 초급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65-90, 2009
28 조위수, "과제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듣기 연계 교육 방안"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169-199, 2008
29 구선희,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25-639, 2008
30 조현용,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한국어원학회 (3) : 127-144, 2000
31 이윤경,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게임 구성 요소 및 운용 방식에 따른 학습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32 Roberson, Jr. D. N., "Leisure and learning: An investigation of older adults and self-directed learning" 29 (29): 203-237, 2010
33 Dattilo, A. E. L., "Learning as leisure: Motivation and outcome in adult free time learning" 30 (30): 1-18, 2012
34 류혜진, "Korean 1" McGraw-Hill Education 2013
35 Gatehouse, K., "Key issue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curriculum development" 7 (7): 1-10, 2001
36 조정민, "K-pop과 K-drama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2-311, 2014
37 Sysoyev, P. V., "Developing a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ourse using a learner centered approach: A Russian experience" 6 (6): 1-5, 2000
38 Nunan, D.,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