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심리운동학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tologie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3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일 및 스위스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심리운동을 한국초등학생 수학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위해 독일과 스위스에서 적용하고 ...

      본 연구는 독일 및 스위스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심리운동을 한국초등학생 수학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위해 독일과 스위스에서 적용하고 있는 심리운동의 개념 및 관점, 특성에 대한분석과 수학교과교육과 심리운동 간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학교육의 구체적인 심리운동학 적용방안을 도출하고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운동학의 흥미, 자발성 및 동기유발, 감각 및 지각경험, 신체경험, 구조화된 움직임 과제로 구성된 5가지 특성을 수학교육에서움직임 및 감각 체험 중심으로 수학의 개념과 원리가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교수방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4차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수학교육의 새로운 교수 방법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apply the Psychomotorik in schools in Germany and Switzerland to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this end, the concept,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s of Psy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apply the Psychomotorik in schools in Germany and Switzerland to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this end, the concept,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s of Psychomotorik applied in Germany and Switzerland were analyz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education and Psychomotorik was examined. In particular, specific methods of applying Motologie to mathematics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the school field were derived and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ing method in which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mathematics are naturally acquired based on movement and sensory experi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five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interest, spontaneity and motivation, sensory and perception experience, psychomotorik, and structured movement task It was presented by configur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new teaching metho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학교에서의 심리운동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심리운동의 특징적 요소와 교과적용 가능성 탐색 Ⅳ. 심리운동의 교과 적용방안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학교에서의 심리운동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심리운동의 특징적 요소와 교과적용 가능성 탐색 Ⅳ. 심리운동의 교과 적용방안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미, "초등학생이 기억하는 수업" 21 (21): 71-98, 2014

      2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동기의 변화" 14 (14): 47-66, 2004

      3 방정숙,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3 : 107-123, 1997

      4 이미애,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구체물 활용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2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5 (5): 99-120, 2001

      5 박재우, "지체장애아를 위한 심리운동" 한국심리운동연구소 2019

      6 김윤태, "지적장애아 조기중재를 위한 심리운동적 접근방법"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305-318, 2009

      7 유충현,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수학적 흥미및 동기유발" 13 (13): 335-341, 2013

      8 이은주, "제7차 수학교육과정의 '재미있는 놀이' 수업 사례 연구 : 5-가 단계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김경윤, "의식적 손가락 움직임이 인지기능 변화에 미치는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95-102, 2019

      10 조형숙, "유아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25-44, 2002

      1 송은미, "초등학생이 기억하는 수업" 21 (21): 71-98, 2014

      2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동기의 변화" 14 (14): 47-66, 2004

      3 방정숙,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3 : 107-123, 1997

      4 이미애,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구체물 활용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2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5 (5): 99-120, 2001

      5 박재우, "지체장애아를 위한 심리운동" 한국심리운동연구소 2019

      6 김윤태, "지적장애아 조기중재를 위한 심리운동적 접근방법"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305-318, 2009

      7 유충현,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수학적 흥미및 동기유발" 13 (13): 335-341, 2013

      8 이은주, "제7차 수학교육과정의 '재미있는 놀이' 수업 사례 연구 : 5-가 단계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김경윤, "의식적 손가락 움직임이 인지기능 변화에 미치는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95-102, 2019

      10 조형숙, "유아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25-44, 2002

      11 황순각,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 유아의 지각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2 홍애순, "아동의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311-323, 2012

      13 조혜경, "아동을 위한 움직임 놀이-아동의 발달을 어떻게 촉진할까-"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13

      14 이숙정, "심리운동 이해-아동을 위한 심리운동의 이론과 실천-"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15

      15 한국심리운동연구소, "심리운동 기본과정"

      16 반은섭, "실생활 맥락을 활용한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 32 (32): 341-362, 2018

      17 류승희,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35-152, 2006

      18 김지혜,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습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learninswitzerland, "스위스교육제도"

      20 이미연,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395-418, 2007

      21 김응태, "수학교육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2 교육부, "수학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2020

      23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24 윤수련, "수학 교과서의 재미있는 놀이 차시의 내용 및 지도 실태 분석" 12 (12): 39-55, 2009

      25 이종향, "문제해결 움직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6 홍진영, "라반 이론을 적용한 움직임 표현활동 교육 활용성 탐색"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7 김영수, "두뇌체조 신체 움직임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김유미, "두뇌를 알고 가르치자" 학지사 2002

      29 김혜숙, "교육정보화 정책의 효과성 분석 : TIMSS 2007의 한국, 싱가포르,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209-234, 2010

      30 Schilling. F., "zur Ganzheitlichkeit in der Motologie" 10 (10): 1987

      31 Salovey, P., "https://journals.sagepub.com/doi/10.2190/DUGGP24E-52WK-6CDG"

      32 Seewald. J., "Verstehen der Ansatz und seine Stellung in der Theorielandsch aft der Psychomotorik" 22 (22): 1997

      33 Robertson, S. S., "The integration of body movements and attention in young infants" 12 (12): 523-526, 2001

      34 Parten, M. B.,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27 (27): 243-269, 1932

      35 "Schule weidteile"

      36 Calßen. T., "Psychomotorik ist auch in der Schule möglich" Psychomotogik 2019

      37 Otmar. W., "Psycho motorik in der Schule" Universität wien 2018

      38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 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39 Piaget. J., "Play, dreams und imitations of childhood" Verlag heinem ann 1951

      40 Mattner, D., "Pers pektiven der Motologie" Hofmann 1996

      41 "Motologie"

      42 Schilling. F., "Motodiagnostisches Konzept zur Planung von Psychomotorischer Förderung und Behandlung" 25 (25): 2002

      43 "Kultusministerium"

      44 Zimmer, R., "Grundlagen der Psychomotorik – Wundermittel mit Breitbandwir kung" 29 (29): 6-11, 1999

      45 Grupe, O., "Die menschliche Bewegung" Hofmann Schorndorf 3-11, 1976

      46 Weizsäcker, V. W. J., "Der Gestaltkreis, Theorie der Einheit von Wahrnehm ung und Bewegung" Georg Thieme 1950

      47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48 Kirsh, D., "Complementary strategies : Why we use our hands when we think" Erlbaum 212-21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 German Association of Motologie -> Korean-German Society for Motologie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