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14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의 K어린이집 만 4-5세 유아 157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자기조절능력, 놀이성을 ...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의 K어린이집 만 4-5세 유아 157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자기조절능력, 놀이성을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리더십은 자기조절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타인존중은 자기조절 능력을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도전과 자신감, 자기행동관리, 문제해결력은 놀이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타인존중은 의미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신감, 타인존중, 문제해결력은 놀이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with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157 young children of 4 to 5 year olds.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with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157 young children of 4 to 5 year olds.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leadership was indicated as an important factor predicting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playful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leadership was indicated as an important factor predicting play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can increas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development of playfulness, if they apply them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well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considering young children"s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희정,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유아를 위한현상학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교육 방향 모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39-357, 2006

      2 이경진, "전래동요를 활용한 놀이 경험이 유아의 놀이성 및 음악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김효정,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놀이성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57-182, 2011

      4 최명선,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성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03-116, 2006

      5 황윤세,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4 (4): 115-129, 2010

      6 이연실,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33-48, 2010

      7 최수경, "유아의 놀이성, 사회적 유능감, 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0) : 55-76, 2012

      8 강지혜,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159-180, 2011

      9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0 이은미,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조희정,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유아를 위한현상학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교육 방향 모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39-357, 2006

      2 이경진, "전래동요를 활용한 놀이 경험이 유아의 놀이성 및 음악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김효정,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놀이성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57-182, 2011

      4 최명선,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성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03-116, 2006

      5 황윤세,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4 (4): 115-129, 2010

      6 이연실,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33-48, 2010

      7 최수경, "유아의 놀이성, 사회적 유능감, 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0) : 55-76, 2012

      8 강지혜,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159-180, 2011

      9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0 이은미,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박연경,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2 이은진,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3 노현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281-292, 2009

      14 임은경,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 친사회적 능력 및 리더십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15 윤현희, "부모보고형 자아탄력성 척도의 개발." 10 (10): 33-53, 2001

      16 Bennis, W., "리더와 리더쉽" 황금부엉이 2005

      17 Northouse, P. G., "리더쉽" 경문사 2007

      18 이명숙, "또래관계에서의 유아 리더십 양상과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85-106, 2006

      19 박성연,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20 임진경,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놀이성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Kagan, L. S., "leadership: Rethinking it-making it happen" 59 (59): 50-54, 1994

      22 Block, J. 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Erlbaum. Easterbrooks 39-101, 1980

      23 Fukada, 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ociometric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158 (158): 481-486, 1997

      24 Barnett, L. A.,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disposition to play" 4 (4): 51-74, 1991

      25 McCabe, L. A.,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young childr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texts, In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Guilford 340-356, 2004

      26 Saarni, C.,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Guilford 1999

      27 Gross, N., "Staff leadership in public schools" Wiley 1965

      28 Brownell, C., "Socialization of Self 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1997

      29 Dunham, S. A., "Social cognition,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 in preschoolers: Contextual validation" 57 : 194-201, 1986

      30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47): 1020-1029, 1979

      31 Mitchell, A.,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NAEYC 85-96, 1997

      32 Goleman, D., "Primal leadership: The hidden driver of great performance" 79 (79): 42-51, 2001

      33 Lie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34 Ashiabi, G. S., "Play in the preschool classroom: Its socioemotional significance and the teacher's role in play" 35 (35): 199-207, 2007

      35 Luthar, S. S.,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issues in research on childhood resilience" 34 : 441-454, 1993

      36 Roger, C. S., "Measuring playfulness: Development of the child behaviors inventory of playfulness" 1988

      37 Astoth, K. A., "Leadership in nonformal youth groups: Does style affect youth outcomes?" 34 (34): 2-6, 1996

      38 Lipham, J. M.,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In Behavioral service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39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Delmar 2002

      40 Gardner, H., "Five mind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7

      41 Hemphill, J. K., "Development of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In Leader behavior. Its description and measurement" Business Research, Ohio State University 1957

      42 Garmezy, N.,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56 : 127-136, 1993

      43 Kopp, C. B.,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18 : 199-214, 1982

      44 육아정책연구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자료집" 육아정책연구소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