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명운, "현대국어의 공손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정명숙, "현대 국어 말소리의 통시적 변화 : 1950년대 이후 방송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전혜영,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국어학회 26 : 125-146, 1995
6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평양 사회과학 출판사 1989
7 조민하, "연결어미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조민하, "연결어미의 기능 변화에 나타난 억양의 문법표지성" 민족어문학회 (58) : 93-125, 2008
9 김용석, "연결어미 ‘-는데’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6 (6): 269-291, 1981
10 김선희, "여성어의 한 유형에 관한 연구" 19 : 111-127, 1991
1 김명운, "현대국어의 공손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정명숙, "현대 국어 말소리의 통시적 변화 : 1950년대 이후 방송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전혜영,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국어학회 26 : 125-146, 1995
6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평양 사회과학 출판사 1989
7 조민하, "연결어미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조민하, "연결어미의 기능 변화에 나타난 억양의 문법표지성" 민족어문학회 (58) : 93-125, 2008
9 김용석, "연결어미 ‘-는데’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6 (6): 269-291, 1981
10 김선희, "여성어의 한 유형에 관한 연구" 19 : 111-127, 1991
11 Chafe, W., "담화와 의식과 시간: 언어 의식론" 한국문화사 1994
12 김귀순, "남성언어와 여성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접근" 한국 언어과학회 7 : 27-53, 2000
13 김선희,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2 (2): 35-74, 1992
14 유혜령, "국어의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377-409, 2010
15 안병섭, "국어 운율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6 전영옥, "구어와 담화 연구" 한국어학회 45 : 45-93, 2009
17 권재일, "구어 한국어에서 서술문 실현방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7) : 25-46, 2003
18 신지영,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어의미학회 44 : 119-139, 2014
19 김선희, "공손법의 원리와 실체" 29 : 5-24, 1996
20 구현정, "공손법의 실현 양상" 담화·인지언어학회 11 (11): 1-24, 2004
21 조민하, "‘-는데’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우리어문학회 (40) : 225-254, 2011
22 Brown, P., "Universals i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23 Lakoff, R., "The logic of politeness, or minding your P’s and Q’s" 292-305, 1973
24 Jun, Sun-Ah,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3
25 Leech, G., "Principles of pragmatics" Longman 1983
26 Levinson, S.,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1983
27 Brown, P.,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8 Jun, Sun-Ah, "K-T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 version 3.1" UCLA 2000
29 이창덕, "-는데‘의 기능과 용법" 2 : 239-259,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