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Smart Devic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Climat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4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인식과 태도의 변화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높은 흥미를 보였고, 진행된 수업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기후변화교육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인식과 태도의 변화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높은 흥미를 보였고, 진행된 수업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기후변화교육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상청, "한반도 기후전망 보고서" 2012

      2 기상청,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 2018

      3 김수앙, "초등학생의 에너지․기후변화 지식에 대한 조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 (2): 219-229, 2012

      4 환경부, "초등학교 교육자료 기후변화의 이해" 2008

      5 전송이, "초등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6 김선영, "체험학습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 분석 통한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41-667, 2019

      7 길지현, "지구온난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이해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421-428, 2012

      8 허소정, "중등학교 사회과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인지적 도구로서 테크놀로지의 역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18, 2018

      9 환경부,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2016-2020)" 2015

      10 장서연, "우리나라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연구의 실태 및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3 (3): 115-125, 2013

      1 기상청, "한반도 기후전망 보고서" 2012

      2 기상청,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 2018

      3 김수앙, "초등학생의 에너지․기후변화 지식에 대한 조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 (2): 219-229, 2012

      4 환경부, "초등학교 교육자료 기후변화의 이해" 2008

      5 전송이, "초등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6 김선영, "체험학습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 분석 통한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41-667, 2019

      7 길지현, "지구온난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이해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421-428, 2012

      8 허소정, "중등학교 사회과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인지적 도구로서 테크놀로지의 역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18, 2018

      9 환경부,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2016-2020)" 2015

      10 장서연, "우리나라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연구의 실태 및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3 (3): 115-125, 2013

      11 강명희,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111-129, 2008

      12 박경인, "에너지 기후 변화 교육과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1 (1): 169-182, 2011

      13 임정훈,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1-24, 2013

      14 김지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 관련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178-192, 2015

      15 이정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29-152, 2015

      16 장준혁,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521-528, 2014

      17 유지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조절학습능력, 협력지향성이 초등학생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8 이은환,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573-603, 2013

      19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2011

      20 김미용, "문제해결학습의 효과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5 (15): 143-156, 2014

      21 차주영,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기후변화대응 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25 (25): 63-77, 2017

      22 유이선,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산업정책적 대응방향" KIET 산업연구원 69-76, 2017

      23 김소이, "기후변화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태도와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6 (6): 199-209, 2016

      24 길지현, "기후변화 교육 관련 해외 논문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3 (3): 95-101, 2013

      25 장은진,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에서 스마트기기의 역할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13-824, 2017

      26 남혜인,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방식과 수업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787-797, 2017

      27 윤정현,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19-526, 2016

      28 IPCC, "Special Report, Global Warming of 1.5℃"

      29 정세진,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북한지역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II. 압록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한국습지학회 21 (21): 39-50, 2019

      30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31 정창규, "ESD 관점에 입각한 웹기반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5학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2 Sterman, J. D., "Cloudy skies : Assessing public understanding of global warming" 18 (18): 207-240, 2002

      33 전호철, "2018 국민환경의식조사"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0.54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