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은 개방형 질문법을 통해 수집한 원가족 규칙을 요...

      본 연구는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은 개방형 질문법을 통해 수집한 원가족 규칙을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개발한 척도를, 종속변인은 한국판 부부적응 척도를, 매개변인은 Satir의 일치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기혼남녀 34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은 부부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치성은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일치성의 하위변수 중 대인간 차원은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반면, 심리내적 차원과 영적 차원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남녀의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관점의 원가족 규칙의 향상과 일치성 및 대인간 차원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부부적응을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and marital adjustment. For this study,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scale made by the factor analysis after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and marital adjustment. For this study,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scale made by the factor analysis after gathering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gruence scale was selected as a mediate variable, and marital adjustment scale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urveyed 345 married men and women between over 20 and under 65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marital adjustment. (2) Congruence mediated between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and marital adjustment. (3) Interpersonal dimension defined as a sub factor of congruence mediated between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and marital adjustment. But,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didn’t mediate between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and marita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marital adjustment through enhancing 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 congruenc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이론과 실제"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1

      2 최진태, "중년여성의 자존감 향상을 위하여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를 적용한 상담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53-76, 2011

      3 김현재, "원가족 규칙과 분화 및 양성평등의식이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7

      4 현인순,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관계에서 일치성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2012

      5 장선웅,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2008

      6 김현정,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1999

      7 박경숙, "어머니의 의사소통을 통해 본 원가족의 가족규칙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2009

      8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분석 –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학지사 2014

      9 이미영,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나타난 영성"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세련, "사티어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87-107, 2010

      1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이론과 실제"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1

      2 최진태, "중년여성의 자존감 향상을 위하여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를 적용한 상담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53-76, 2011

      3 김현재, "원가족 규칙과 분화 및 양성평등의식이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7

      4 현인순, "원가족 규칙과 부부적응 관계에서 일치성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2012

      5 장선웅,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2008

      6 김현정,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1999

      7 박경숙, "어머니의 의사소통을 통해 본 원가족의 가족규칙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2009

      8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분석 –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학지사 2014

      9 이미영,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나타난 영성"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세련, "사티어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87-107, 2010

      11 최진태, "사티어변형체계치료와 에니어그램에 기반한 경험적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서남대학교 2014

      12 육혜련,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12 (12): 1-23, 2015

      13 고영수, "사티어 변형체계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과정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4 김영애, "사티어 모델의 집단상담"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9

      15 한국 버지니아 사티어 연구회, "사티어 모델: 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4

      16 김영애, "사티어 모델 : 핵심개념과 실제적용"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4

      17 김선미, "비일치적 의사소통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부부에대한 사티어변형체계치료 모델의 적용 연구" 단국대학교 2015

      18 박민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2006

      19 이민식, "부부적응척도(DAS)의 표준화 예비연구" 15 : 129-140, 1996

      20 전춘애,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1994

      21 강은령,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취업주부/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9

      22 이종원, "부부 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2002

      23 허원무,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6 (6): 43-59, 2013

      24 김선녀, "기혼남성이 지각하는 원가족 규칙과 부부의사소통이 옹서갈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13

      25 오은희, "기혼 남녀의 내외통제성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135-156, 2012

      26 정연성,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연구: 사회적 낙인인식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0

      27 김옥희, "교류분석의 의사거래 유형과 Satir의 의사소통 유형비교" 2 (2): 35-54, 2011

      28 이화자, "경험적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 Satir성장모델과 비폭력대화(NVC)모델의 통합" 성균관대학교. 2009

      29 조성경, "결혼초기 부부에서의 상담요구 분석 : 원가족 특성과 갈등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05

      30 홍미기,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9

      31 김정원,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아파트에 거주하는 핵가족 부부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7

      32 Jackson, D. D, "The study of the family" 4 : 1-20, 1965

      33 Baron. R.,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51 : 1173-1182, 1182

      34 Banmen, J, "The Satir Model: Yesterday and Today" 24 (24): 7-22, 2002

      35 Satir, V, "The Satir Model: Famiy theraphy and beyond" Science and Behaviour Books 1991

      36 Ng, S. K. V, "The Role of Congruence in Psychotherapy"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04

      37 Satir, V, "The New People Making" Science and Behaviour Books 1988

      38 고문정, "Satir 일치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2009

      39 Wilcoxen, S. A., "Perceived health and similarity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dyadic adjustment for married couples" 9 (9): 431-434, 1983

      40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41 Spanier, G. 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das" 38 (38): 15-28, 1976

      42 Forrest, M,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artial satisfaction" University of Arkansas 1991

      43 Spanier, G. B, "Dyadic Adjustment Scales" Multi-Health Systems 2001

      44 Lee, B. K, "Congruence in Satir's Model: Its Spiritual & Religious Significance" 24 (24): 57-78, 2002

      45 Olson D. 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22 (22): 144-167, 2000

      46 Preacher, K., "Asymptotic and rea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40 : 879-891, 2008

      47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07

      48 MacKinnon, D. P.,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7 : 83-104, 2002

      49 Hovestadt, A. J., "A Family-of-Origin Scale" 11 (11): 287-297, 1985

      50 통계청, "2014년 혼인·이혼 건수"

      51 통계청, "2014년 이혼율과 이혼사유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1-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35 1.67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