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양반가의 주거문화 연구 : 풍수문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7796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경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경대학교 , 문화예술학과 풍수지리 전공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30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전원해

      • UCI식별코드

        I804:11015-200000115825

      • 소장기관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Jeon, Woo Jae
      Dept. of Culture and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loca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where our ancestors resided, by using the principle of Feng Shui. Our dwellings were not merely utilized as spaces for survival. It was a residential cultural space of Gippsungchon with strong local self-government characteristics that led the society at the time. The people of the past did not build any ‘time’ when they built a house, but they recognized it as an organic correlation and wanted to be assimilated with nature as a Feng Shui principle.
      Here, 'time' is submit to Cheonmyeong(Heaven´s will) following the order of heaven, and the place and the structure refer to geography. It is the unity and concord that tries to match in it. Feng Shui thought is divided into Yangtaek and Eumtaek. Yangtaek is a residence of living people and is forming houses and villages. As the grave of a dead person, it is selected through Identical-Qi Sympathy Theory that affects the offspring of the dead person. 'The best meaning of 'Taekri is to avoid the world, and then to evacuate the land which is not good,' which would have been most mindful of the posi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In this study, the house which is the subject of study was chosen as the folklore data, which have been passed down for more than two generations among yangban family houses. In addition, it included not only moonban(civil officials) and muban(military officials). The scop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Chungcheong area where the Yangban houses are well preserved, Seongyojang in the Kangwon area where the typical traditional houses are preserved in full, and Ojukheon which is Ulgok Yi I's birthplace.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existing and current status of the selected houses through several field trips and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with dwellers. As a result, it found the appearance and the difference of the old houses when it was first constructed due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changes. This research method is to minimize the error of modern interpretation by recognizing the phenomenon that has changed over generations from the firs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of old houses and the meaning of Feng Shui.
      This study included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houses are located, and Ga-Shin Belief in houses. In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ban families, various religious bodies centered on shrines coexisted together and kept their families and symbolism.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d examined the houses of sadaebu(the literati) and Yangban families, while excluding Ga-Shin belief unilaterally coexisting in the structure of houses.
      Gippsungchon and clan community villages centered on Yangban houses were utilized as a means of utilizing labor in a labor-intensive agricultural country as well as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The Gippsungchon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unique Dureae culture of Korean people, and it can be seen that a Yangban family is a member of a village coexisting together, not merely a Western lord dominating the reg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ny Yangban family houses, including the birthplace of Admiral Uh Jae-hyun's is a low chimney around the yard. This is to expel diseases and insect pests through smoke and to consider the poor neighbors not to show them that they were making foo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is study aims to Ⅱ) summarize the residential culture of Yangban family in Joseon Dynasty, Ⅲ) look into the origin and tradition of Korean Feng Shui, Ⅳ) analyze the traditional houses in terms of Feng Shui culture, andⅤ)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Yangban houses.
      번역하기

      Abstract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Jeon, Woo Jae Dept. of Culture and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

      Abstract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Jeon, Woo Jae
      Dept. of Culture and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loca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where our ancestors resided, by using the principle of Feng Shui. Our dwellings were not merely utilized as spaces for survival. It was a residential cultural space of Gippsungchon with strong local self-government characteristics that led the society at the time. The people of the past did not build any ‘time’ when they built a house, but they recognized it as an organic correlation and wanted to be assimilated with nature as a Feng Shui principle.
      Here, 'time' is submit to Cheonmyeong(Heaven´s will) following the order of heaven, and the place and the structure refer to geography. It is the unity and concord that tries to match in it. Feng Shui thought is divided into Yangtaek and Eumtaek. Yangtaek is a residence of living people and is forming houses and villages. As the grave of a dead person, it is selected through Identical-Qi Sympathy Theory that affects the offspring of the dead person. 'The best meaning of 'Taekri is to avoid the world, and then to evacuate the land which is not good,' which would have been most mindful of the posi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In this study, the house which is the subject of study was chosen as the folklore data, which have been passed down for more than two generations among yangban family houses. In addition, it included not only moonban(civil officials) and muban(military officials). The scop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Chungcheong area where the Yangban houses are well preserved, Seongyojang in the Kangwon area where the typical traditional houses are preserved in full, and Ojukheon which is Ulgok Yi I's birthplace.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existing and current status of the selected houses through several field trips and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with dwellers. As a result, it found the appearance and the difference of the old houses when it was first constructed due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changes. This research method is to minimize the error of modern interpretation by recognizing the phenomenon that has changed over generations from the firs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of old houses and the meaning of Feng Shui.
      This study included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houses are located, and Ga-Shin Belief in houses. In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ban families, various religious bodies centered on shrines coexisted together and kept their families and symbolism.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d examined the houses of sadaebu(the literati) and Yangban families, while excluding Ga-Shin belief unilaterally coexisting in the structure of houses.
      Gippsungchon and clan community villages centered on Yangban houses were utilized as a means of utilizing labor in a labor-intensive agricultural country as well as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The Gippsungchon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unique Dureae culture of Korean people, and it can be seen that a Yangban family is a member of a village coexisting together, not merely a Western lord dominating the reg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ny Yangban family houses, including the birthplace of Admiral Uh Jae-hyun's is a low chimney around the yard. This is to expel diseases and insect pests through smoke and to consider the poor neighbors not to show them that they were making foo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is study aims to Ⅱ) summarize the residential culture of Yangban family in Joseon Dynasty, Ⅲ) look into the origin and tradition of Korean Feng Shui, Ⅳ) analyze the traditional houses in terms of Feng Shui culture, andⅤ)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Yangban hou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우리 선조들이 거주하던 양반가의 주거 입지를 풍수지리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우리의 주거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공간으로만 활용되지 않았다. 당시 사회를 이끌어온 지방 자치적 성격이 강한 집성촌 성격의 주거 문화적 공간이었다. 옛사람들은 집을 지을 때 아무 ‘때’나 짓지 않았고 하나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로 인식하여 풍수 원리로 자연과 동화되기를 원했다.
      여기서 ‘때’라는 것은 하늘의 명을 따르는 천명(天命)이며, 장소와 구조는 지리(地理)를 말한다. 그 안에 어울리려는 것이 인화와 단결이다. 풍수사상은 양택과 음택으로 구분된다. 양택은 살아있는 사람의 집터로 가옥과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음택은 죽은 사람의 유택으로 후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同氣感應) 의식을 통해 선정된다. ‘택리(擇里)의 가장 좋은 뜻은 세상을 피함이며 그 다음으로 좋지 않은 땅에서 피난하는 것’으로, 양반가의 위치 선정에 가장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되는 가옥은 양반가 가옥 가운데 2대 이상 내려온 민속자료로서 가치와 함께 현존하는 고택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문반뿐 아니라 무반의 가옥도 포함하였다. 그 범위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양반 가옥이 잘 보존되어있는 충청권, 대표적인 전통가옥의 모습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강원권의 선교장과 율곡 이이의 태어난 오죽헌 등 3개 권역을 나누었다.
      선정된 가옥들은 여러 차례의 현장답사 및 현지 주민들과의 면담 그리고 거주자와의 면담을 통해 기존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는 처음 터를 잡은 사람으로부터 세대를 넘어 변질된 현상을 초기의 모습으로 인식하여 현대적 해석을 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고택의 입지 환경, 현황, 풍수의 의의를 살피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전통 가옥이 위치한 지역과 가옥 내 가신신앙을 포함하였다. 양반가 전통 가옥에서는 사당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적 실체가 함께 공존하면서 집안을 지켜왔으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양반가, 사대부 가옥을 연구하면서 일방적으로 가옥의 구조 안에 공존해 온 가신신앙을 배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를 도외시한 채 일방의 현상만을 분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양반 가옥을 중심으로 하는 집성촌, 씨족 공동체 마을은 성리학의 이념과 함께 노동집약적 농업 국가에서 노동의 활용 수단이었다. 집성촌 문화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두래 문화로 발전하였으며, 양반가는 단순히 지역을 지배하는 서양의 영주 개념이 아니라 함께 공존하는 마을의 일원이었다. 어재현 장군의 생가를 비롯한 다수의 양반가의 특징 중에 하나는 굴뚝을 마당을 중심으로 낮게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연기를 통해 병해충을 쫓아내는 목적 뿐 아니라 주변의 가난한 이웃들에게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한 배려였다.
      전통 가옥은 선조들의 숨결이 스며있는, 살아 있는 삶과 역사의 현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전통 가옥들을 양택 풍수의 대표적 이론인 형세(形勢)⦁이기(理氣)⦁비보론(裨補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사례 전통가옥 연구에 ‘형세론(形勢論)’을 적용하였다. 형세론은 간룡(看龍), 장풍(藏風), 득수(得水), 정혈(定穴) 등의 이론을 기준으로 지세와 형세를 분석했다. 또한 전통 가옥 ‘터’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비보(裨補)가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한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우리 선조들이 거주하던 양반가의 주거 입지를 풍수지리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우리의 주거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공간으로...

      한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우리 선조들이 거주하던 양반가의 주거 입지를 풍수지리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우리의 주거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공간으로만 활용되지 않았다. 당시 사회를 이끌어온 지방 자치적 성격이 강한 집성촌 성격의 주거 문화적 공간이었다. 옛사람들은 집을 지을 때 아무 ‘때’나 짓지 않았고 하나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로 인식하여 풍수 원리로 자연과 동화되기를 원했다.
      여기서 ‘때’라는 것은 하늘의 명을 따르는 천명(天命)이며, 장소와 구조는 지리(地理)를 말한다. 그 안에 어울리려는 것이 인화와 단결이다. 풍수사상은 양택과 음택으로 구분된다. 양택은 살아있는 사람의 집터로 가옥과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음택은 죽은 사람의 유택으로 후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同氣感應) 의식을 통해 선정된다. ‘택리(擇里)의 가장 좋은 뜻은 세상을 피함이며 그 다음으로 좋지 않은 땅에서 피난하는 것’으로, 양반가의 위치 선정에 가장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되는 가옥은 양반가 가옥 가운데 2대 이상 내려온 민속자료로서 가치와 함께 현존하는 고택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문반뿐 아니라 무반의 가옥도 포함하였다. 그 범위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양반 가옥이 잘 보존되어있는 충청권, 대표적인 전통가옥의 모습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강원권의 선교장과 율곡 이이의 태어난 오죽헌 등 3개 권역을 나누었다.
      선정된 가옥들은 여러 차례의 현장답사 및 현지 주민들과의 면담 그리고 거주자와의 면담을 통해 기존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는 처음 터를 잡은 사람으로부터 세대를 넘어 변질된 현상을 초기의 모습으로 인식하여 현대적 해석을 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고택의 입지 환경, 현황, 풍수의 의의를 살피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전통 가옥이 위치한 지역과 가옥 내 가신신앙을 포함하였다. 양반가 전통 가옥에서는 사당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적 실체가 함께 공존하면서 집안을 지켜왔으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양반가, 사대부 가옥을 연구하면서 일방적으로 가옥의 구조 안에 공존해 온 가신신앙을 배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를 도외시한 채 일방의 현상만을 분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양반 가옥을 중심으로 하는 집성촌, 씨족 공동체 마을은 성리학의 이념과 함께 노동집약적 농업 국가에서 노동의 활용 수단이었다. 집성촌 문화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두래 문화로 발전하였으며, 양반가는 단순히 지역을 지배하는 서양의 영주 개념이 아니라 함께 공존하는 마을의 일원이었다. 어재현 장군의 생가를 비롯한 다수의 양반가의 특징 중에 하나는 굴뚝을 마당을 중심으로 낮게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연기를 통해 병해충을 쫓아내는 목적 뿐 아니라 주변의 가난한 이웃들에게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한 배려였다.
      전통 가옥은 선조들의 숨결이 스며있는, 살아 있는 삶과 역사의 현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전통 가옥들을 양택 풍수의 대표적 이론인 형세(形勢)⦁이기(理氣)⦁비보론(裨補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사례 전통가옥 연구에 ‘형세론(形勢論)’을 적용하였다. 형세론은 간룡(看龍), 장풍(藏風), 득수(得水), 정혈(定穴) 등의 이론을 기준으로 지세와 형세를 분석했다. 또한 전통 가옥 ‘터’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비보(裨補)가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 론 1
      • 제2장 조선 시대 양반가 주거 문화 5
      • 목 차
      • 제1장 서 론 1
      • 제2장 조선 시대 양반가 주거 문화 5
      • 제1절 전통 마을의 형성과 입지 특성 5
      • 제2절 성리학과 민간 신앙 11
      • 제3장 한국 풍수설의 기원과 사상 19
      • 제1절 풍수지리설의 사상적 근원 19
      • 제2절 풍수 사상의 기본 이념 32
      • 제4장 대상 전통 가옥의 풍수 이해 40
      • 제1절 주거 공간과 풍수 문화 40
      • 제2절 대상 전통 가옥의 입지 환경 및 연혁 81
      • 제5장 결 론 112
      • 참고문헌 115
      • Abstract 1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 임동권, 한국의 민속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999

      2. 역, 이능화, 서영대, 『조선무속고』 (파주: 창작과비평사, , 2016

      3. 「풍수지리」, 이희덕, 『한국사상의 원천』 (서울: 박영사, , 1985

      4. 『풍수잡설』, 최창조, 모멘토, (서울: 모멘트, , 2005

      5. 저, 韓松溪 역, 서선계, 서선술, 『풍수지리명당전서(風水地理明堂全書)』 (서 울: 명문당, , 1975

      6. 『옛사람의 집』, 박광희, 가치창조, (서울: 도서출판 가치창조, , 2016

      7. 「논산명재고택」, 김주형, 『월간 이매진』 (4) (연합뉴스, 2015), , 2015

      8. 지음. 이익성 옮김, 이중환,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 2002

      9. 「風水와 擇里志」, 최영준, 한국사 시민강좌 14집 (서울: 일조각, , 2005

      10. 『풍수지리 입문』, 황종찬, (좋은 글, , 1996

      1. , 임동권, 한국의 민속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999

      2. 역, 이능화, 서영대, 『조선무속고』 (파주: 창작과비평사, , 2016

      3. 「풍수지리」, 이희덕, 『한국사상의 원천』 (서울: 박영사, , 1985

      4. 『풍수잡설』, 최창조, 모멘토, (서울: 모멘트, , 2005

      5. 저, 韓松溪 역, 서선계, 서선술, 『풍수지리명당전서(風水地理明堂全書)』 (서 울: 명문당, , 1975

      6. 『옛사람의 집』, 박광희, 가치창조, (서울: 도서출판 가치창조, , 2016

      7. 「논산명재고택」, 김주형, 『월간 이매진』 (4) (연합뉴스, 2015), , 2015

      8. 지음. 이익성 옮김, 이중환,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 2002

      9. 「風水와 擇里志」, 최영준, 한국사 시민강좌 14집 (서울: 일조각, , 2005

      10. 『풍수지리 입문』, 황종찬, (좋은 글, , 1996

      11. 『도시개발풍수론』, 김상휘,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 2006

      12. 『조용헌의 명문가』, 조용헌,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주), , 2009

      13. 『종교문화의 이해』, 차용준, 전주대학교출판부, 3권, 5권 (전주대학교 출판부, , 2002

      14. 『풍수지리와 건축』, 박시익, 경향신문사, (경향신문사, , 1997

      15. 『한국의 고택기행』, 이진영, 이가서, (서울: 이가서, , 2013

      16. 『한국의 목조건축』, 주남철,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5

      17. 『한국의 풍수지리』, 최창조, (서울: 민음사, , 1990

      18. 동양사상과 한국사상, 尹絲淳, 을유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 1984

      19. 한국풍수의 원리, 유종근, (서울: 동학사, , 1997

      20. 『양택십서(陽宅十書)』, 沃連珠, (대만: 정해출판사 중화민국 72년),

      21. 『엘리아데,신화,종교』, 안진태, (고려대학교 출판부, , 2009

      22.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박시익, 일빛, (서울: 도서출판 일빛, , 1999

      23.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안유경, (서울: 새문사, , 2016

      24. 『우리 민속신앙 이야기』, 이희근, 여명미디어, (서울: 삼성당, , 2002

      25. 『최창조의 새로운 풍수』, 최창조, (서울: 민음사, , 2000

      26. 『우리 옛 시가속의 풍수사상, 서성렬, 국학자료원, (서울: 도서출판 새미, , 2006

      27. 『중국고전의 풍수지리사상』, 김혜정, 한국학술정보,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 2008

      28.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임석재, 북하우스, (서울: ㈜북하우스, , 2005

      29. 『한국의 전통마을을 찾아서』, 한필원, (서울: (주)휴머니스트출판그룹, , 2012

      30. 「한국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윤사순, 『한국사상』 (우석출판사, , 2004

      31.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손영식, 울산대학교 출판부, (울산대학교 출판부, , 2005

      32. 「한국의 전통상장례 문화연구」, 전원해, 서경대학교 대학원, (서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17

      33. 고소설의 원시종교사상 연구, 박용식,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 1986

      34.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최창조, (파주: 서해문집, , 1993

      35. 고농서국역총서4 『증보산림경제』, 유중림, (농촌진흥청, , 2003

      36. 『여주 김영구 가옥 기록화 보고서』, 여주시, (경기도 여주시, , 2016

      37. 「조선전기 한양 천도(遷都)와 풍수설」, 이욱, 종교문화비평 10집 (한국 종교문화연구소, , 2006

      38. 『경기도 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안성시, 이천시, (경기도 안성시, , 2009

      39. 「전원해의 풍수와 명당(24)-강원 오죽헌」, 전원해, (농민신문, , 2015

      40. 「불교사찰에 적용된 비보풍수 사례연구」, 조성제, 이진삼,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제39집 (한국사상사학회, , 2011

      41. 「양택이론에 따른 주택계획에 관한 연구」, 정용호, 대한건축학회,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88

      42. 「충청북도 보은군 지역의 풍수지리 고찰」, 예경희, 『청주대학술논집』 제6집 (청주대학교, , 2005

      43. 「한옥마을의 배치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엽, (청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15

      44. 「국가가 견제한 양반들의 화려한 주거문화」, 이재희, 『조선양반의 일생』 (파주: 글항아리, , 2011

      45. 『삼국유사를 통해 본 불교와 민간신앙 습합』, 장정태, 문학광장, (서울: 문학광장, , 2013

      46. 「전원해의 풍수와 명당(22)-강원 강릉 선교장」, 전원해, (농민신문, , 2015

      47. 풍수지리사상과 건축문화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장기웅, 경산대학교 대학원, (경상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01

      48. 「삼국유사 설화에 나타는 점복의 서사적 기능」, 이규훈, 한국어문교육 18 집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 2008

      49. 「사상으로서의 신흥종교 계보-계룡산을 중심한 교파」, 이강오, 『한국사상』 (우석출판사, , 2004

      50. 「한국전통건축 요소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구축에 관한 연구」, 이연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17

      51. 「용인지역의 풍수지리논적 입지연구 -처인구 8개 행정구역을 중심 으로-」, 전원해,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52. 「智異山 華嚴寺 伽藍의 造營思想에 관한 硏究 -華嚴思想과 諸思 想 中心으로-」, 이동영,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53. 「전통가옥의 공간구성과 풍수지리적 해석에 관한 연구-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황선옥, (경기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54. 「조선시대 주거문화의 풍수지리적 특성 연구 -사대부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이상인,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8

      55. 「영남학파 서원의 풍수입지에 관한 연구 -퇴계와 남면의 풍수적 사 유를 중심으로-」, 반오석,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11

      56. 「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사상적 원리에 관한 연구 -충남 아산시 외암 리 마을을 대상으로-」, 송복섭,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1997

      57. 「전통 가상학(家相學)의 현대 주거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환경 심리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김민정,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03

      58. 「조선전기 한양도성 내 민가에 관한 연구 –서울 청진12∼16지구 건물지와 家舍令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박장호,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