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沈翼雲 散文에서의 奇 = Novelty of Sim Ik-Un's pr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0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세기 奇의 함의와 실제를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써 그 대상을 심익운의 산문에 주목하여 기술하였다. 심익운의 생애는 타의에 의한 좌절과 고립으로 인해 자신의 처한 주변상황이...

      본고는 18세기 奇의 함의와 실제를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써 그 대상을 심익운의 산문에 주목하여 기술하였다. 심익운의 생애는 타의에 의한 좌절과 고립으로 인해 자신의 처한 주변상황이나 자신과 관계된 외부세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그의 문학에 고스란히 반영되었으며, 자신만의 글쓰기로 삶의 이치를 녹여내어 재창조하였다. 따라서 체식에서 구속되기보다는 변주ㆍ일탈적 양상을 보이고, 일상적인 일화나 비근한 소재들을 立論하며, 우언 등의 익히 전해들은 이야기들을 자신의 비판적 시각으로 재창작하고 있다. 특히 전술된 우언을 敍事의 의도적인 재구성과 변용을 통해서 자신의 논지를 객관화하고 있다. 또한 漢字가 가진 함의와 특징을 통한 文氣의 변화와, 그 속에서의 자기정서를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심익운 글쓰기의 주된 방식은 독자적 변주와 현실에 맞는 실제적 창작이 병존하고 있다. 이는 당대 문인들과는 또 다른 양상이며 奇의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Sim Ik-un's prose as a part of work which reveals implication and meaning of 'Novelty' in the 18th century. During his whole life, he responded sensitively to his surroundings and external world that is related to him due to his ...

      This paper focuses on Sim Ik-un's prose as a part of work which reveals implication and meaning of 'Novelty' in the 18th century. During his whole life, he responded sensitively to his surroundings and external world that is related to him due to his frustration and isolation against his own will. This was reflected in his works and he developed his own writing style which reflected his understanding of human life. Accordingly, he used ordinary subjects and reproduced well-known stories like allegoric tales through his critical review. He objectified his views through an intentional recomposition and a transformation of his description,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allegoric tales. Most of his descriptions in his formal writings are very concise by using words and phrases efficiently. And he also expressed his emotions directly in the change of vigor through the implication and peculiarity of Chinese characters.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his main way of writing is realistic and practical rather than creative. This is different from what other writers had done with their writings at the time and it shows a diversity of 'Novel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沈翼雲의 奇에 대한 인식
      • Ⅲ. 沈翼雲散文에서 奇의 구현양상
      • Ⅳ. 나가며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沈翼雲의 奇에 대한 인식
      • Ⅲ. 沈翼雲散文에서 奇의 구현양상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 "李奎象 批評樣相에서의 奇論" 민족문화연구원 (61) : 315-341, 2013

      2 김우정, "沈翼雲의 「說文」과 산문세계"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291-322, 2010

      3 심경호, "한문산문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4 김철범,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전개" 보고사 2012

      5 김영, "한국한문학의 현재적 의미" 한울 2008

      6 정우봉, "한국한문학과 미학" 태학사 2003

      7 양현승, "한국 ‘說’ 문학에 끼친 柳宗元의 영향 연구"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4 : 2005

      8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소나무 1994

      9 송혁기,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월인 2006

      10 안병학, "조선유학의 개념들" 2002

      1 김경, "李奎象 批評樣相에서의 奇論" 민족문화연구원 (61) : 315-341, 2013

      2 김우정, "沈翼雲의 「說文」과 산문세계"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291-322, 2010

      3 심경호, "한문산문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4 김철범,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전개" 보고사 2012

      5 김영, "한국한문학의 현재적 의미" 한울 2008

      6 정우봉, "한국한문학과 미학" 태학사 2003

      7 양현승, "한국 ‘說’ 문학에 끼친 柳宗元의 영향 연구"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4 : 2005

      8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소나무 1994

      9 송혁기,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월인 2006

      10 안병학, "조선유학의 개념들" 2002

      11 윤재민, "조선시대 삶과 생각"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0

      12 이은영, "제문, 양식적 슬픔의 미학" 태학사 2004

      13 서정화, "이규보 산문 연구" 고려대 2008

      14 윤호진, "역주 예개" 소명 2010

      15 박경현, "심익운의 詩文學 연구" 이화여대 2012

      16 이동환, "실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지식산업사 2006

      17 이대규, "수사학 독서와 작문의 이론" 신구문화사 2003

      18 신해진,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 애제문" 보고사 2012

      19 이영호, "관습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2 (2): 191-226, 2006

      20 안대회, "고전산문산책" 휴머니스트 2008

      21 成大中, "靑城雜記"

      22 兪漢雋, "著菴集" 여강출판사 1987

      23 沈翼雲, "百一集"

      24 沈翼雲, "百一年集"

      25 "江天閣銷夏錄"

      26 兪晩柱, "欽英"

      27 趙龜命, "東谿集" 민족문화추진회

      28 김경, "朝鮮後期 散文에서의 奇 - 李用休 散文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58) : 307-336, 2013

      29 劉 勰, "文心雕龍" 里仁書局 1984

      30 馮永敏, "散文鑑賞藝術探美" 文史哲出版社 1999

      31 尹光心, "幷世集"

      32 成復旺, "中國美學範疇辭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5

      33 李奎像, "一夢先生文集" 경인문화사 1993

      34 정시열, "‘奇’字 評語 作品에 대한 一考" 한국고전연구학회 (13) : 249-278, 2006

      35 鄭雨峰, "19세기 詩論 硏究" 고려대 1992

      36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의 구도와 전개" 고려대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