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64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통사 차원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그런데’를 담화 자원에서 분석하여 그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구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그런데’가 문맥 간 ...

      이 논문은 통사 차원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그런데’를 담화 자원에서 분석하여 그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구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그런데’가 문맥 간 의미 관계를 표시하는 차원을 넘어 담화표지로 기능 변화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른바 ‘그러-’류는 주로 문장 사이에서 선행문과 후행문의 의미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나 담화 상에서는 그것뿐만 아니라 화자의 주관적 태도나 반응을 표현하는 담화표지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용언의 활용형이 하나의 단어로 굳어져 어휘화하고 그 어휘가 다시 하나의 표지 기능을 하는 변화를 본고에서는 문법화의 한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영화 대본과 드라마 대본 등에서 ‘그런데’가 사용된 사례를 분석하여, ‘그런데’의 담화표지 기능을 ‘화제 도입’, ‘이의 제기’, ‘부연 요청’, ‘발언 재촉’ 등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담화표지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황 맥락에 따라 다앙한 기능을 나타낸다.
      ‘그러-’류가 담화표지로 문법화하는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그런데’ 이외의 다른 ‘그러-’류 단어들에 대한 논의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그런데’ by analyzing it from a discourse level.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그런데’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ealt by previous researches done from a syntactic level, th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그런데’ by analyzing it from a discourse level.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그런데’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ealt by previous researches done from a syntactic level, this study aims to aid further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br/>
      ?;?;Moreover,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e process where the conjunctive adverb ‘그런데’ came to be used as a discourse maker, as a grammaticalization phenomenon. ‘그런데’ was originally a conjunctive form of a predicate, but later became a word of its own, and then was used as a discourse maker.<br/>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cases of everyday conversation where ‘그런데’ was used, and divided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s into four categories: ‘introducing topics’, ‘objections’, ‘additional explainations’, and ‘encouraging remarks’. Since discourse markers are used in order for a better communication, they show a variety of function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br/>
      ?;?;This study holds its value as a foundational piece for the research of the grammaticalization of ‘그러-’ expressions into discourse markers. It is necessary that from this time forward, to clarify the fact. through further research, that ‘그리고, 그러니까, 그래서’ can become discourse ma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담화표지 ‘그런데’의 문법화 과정
      • 3. ‘그런데’의 담화 기능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담화표지 ‘그런데’의 문법화 과정
      • 3. ‘그런데’의 담화 기능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明姬,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이기갑, "한국어의 담화 표지 ‘이제’" 1 : 261-287, 1995

      4 朴聖賢, "한국어 말차례체계와 화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전영옥,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한국화법학회 4 : 113-145, 2002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고영근, "표준국어 문법론 개정판" 탑출판사 1993

      8 양명희, "텍스트에서의 ‘그러하다’의 쓰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 : 205-235, 1995

      9 유목상, "접속어에 대한 고찰" 한글학회 (146) : 297-309, 1970

      10 김미선, "접속부사의 화용 기능 연구" 한국화법학회 (13) : 97-122, 2008

      1 梁明姬,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이기갑, "한국어의 담화 표지 ‘이제’" 1 : 261-287, 1995

      4 朴聖賢, "한국어 말차례체계와 화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전영옥,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한국화법학회 4 : 113-145, 2002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고영근, "표준국어 문법론 개정판" 탑출판사 1993

      8 양명희, "텍스트에서의 ‘그러하다’의 쓰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 : 205-235, 1995

      9 유목상, "접속어에 대한 고찰" 한글학회 (146) : 297-309, 1970

      10 김미선, "접속부사의 화용 기능 연구" 한국화법학회 (13) : 97-122, 2008

      11 김미선, "접속부사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2 신지연, "접속부사 ‘그러나’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18 : 23-48, 2005

      13 李恩羲, "접속관계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14 차윤정, "이음말의 담화표지 기능" 우리말학회 10 : 105-125, 2000

      15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85

      16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7 허재영, "우리말 문법화 연구의 흐름" 한말연구학회 3 : 1997

      18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1

      19 이성하, "문법화 연구에서의 구어의 의의" 언어과학회 (47) : 209-235, 2008

      20 김미선, "말뭉치 분석을 통한 접속부사의 결속 단위 고찰" 한국어학회 34 : 141-167, 2007

      21 도수희, "대용언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어문연구회 5 : 1967

      22 강소영, "담화표지 ‘그러니까’의 사용에 내재한 화자의 담화전략 연구" 어문연구학회 60 : 27-56, 2009

      23 신현숙, "담화대용표지의 의미 연구" 국어학회 19 : 427-451, 1989

      24 안정아, "담화 표지 '막'의 의미와 기능" 한국어학회 40 : 251-279, 2008

      25 고영근, "단어·문장·텍스트" 한국문화사 1995

      26 윤평현,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 한신문화사 1992

      27 장정줄, "국어의 접속사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83

      28 최재희, "국어의 접속문 구성 연구" 탑출판사 1991

      29 이은경,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0 이정애,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월인 2002

      31 신지연, "국어 지시용언 연구" 태학사 1998

      32 신칠범, "국어 감탄사의 담화표지 기능 연구 : 화자의 담화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33 이은경, "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어미의 기능" 국학학회 34 : 167-198, 1999

      34 전영옥, "구어와 문어의 접속 표현 비교 연구- ‘그런데, -는데’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17) : 169-194, 2005

      35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원 2009

      36 이기갑, "‘그러하-’의 지시와 대용, 그리고 그 역사" 한국언어학회 19 (19): 455-488, 1994

      37 배주채, "‘그러다’류의 활용과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In 南鶴이종철선생회갑기념논총 韓日語學論叢" 국학자료원 1995

      38 안주호, "‘그러-’ 계열 접속사의 형성과정과 문법화" 국어학회 35 : 113-141, 2000

      39 이창덕, "‘-는데’의 기능과 용법"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 : 239-259, 1994

      40 도수희,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 등 어사고" 한국언어문학회 3 : 1965

      41 Beaugrande, R, de,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1981

      42 Brown, G, "Discours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43 Halliday, M. A. K,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