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근거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권리상황, 즉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 환경을 확인하고 특히 아동․청소년 기관간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46002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5-269(2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근거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권리상황, 즉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 환경을 확인하고 특히 아동․청소년 기관간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근거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권리상황, 즉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 환경을 확인하고 특히 아동․청소년 기관간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47개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기관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실태를 조사하였고 그 중 몇몇 기관은 직접 방문하여 운영시간, 기관의 접근성 등 아동․청소년의 권리 측면에서 상담 환경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의 상담운영시간이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며, 기관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담 시작전에 아동의 참여의사를 존중하는 것과 더불어 상담내용에 대한 비밀보장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관의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서, 타기관과의 연계가 도움이 되고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네트워크 활동으로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반면에 업무과중으로 인해 시간이 부족하고 기관간 이해관계 때문에 의견조정이 어려워 네트워크 활동이 방해 를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청소년의 권리를 보장하기에는 현재의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환경이나 네트워크 수준이 미흡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right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is to examine a children and adolescents counseling and protective environments, and particularly to understand the network connecting childre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right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is to examine a children and adolescents counseling and protective environments, and particularly to understand the network connecting childre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e could see the slight differences in session hours between each agency, and overall low accessibilities. And they appeared to do well in terms of respecting the subjects’ participation intentions before the session, and protecting the confidentiality of the records. Finally, regarding network activity of agency, there was a response that working together with other agencies is quite helpful and significant. They said that they could provide quality service to their clients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because of the network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response which stated that network activities were disturbed due to the difficulty in reaching a consensus between each agency, because their interests were varying from one an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urrent children and adolescents counseling, protective environments, and the level of network status are not very well established to ensure the rights of the young.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2008
2 한국아동단체협의외, "한국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연구" 2005
3 안동현, "학령기아동·청소년의 발달특성과 권리. 아동·청소년민간단체 실무자를 위한 아동․청소년 권리교육" 한국아동단체협의회 2009
4 강정미,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 의식 연구" 경남대학교 2005
5 보건복지가족부,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09
6 보건복지부,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4
7 신지현,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4
8 황옥경, "유럽국가들의 아동권리 모니터링 현황" 27-41, 2002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2008
2 한국아동단체협의외, "한국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연구" 2005
3 안동현, "학령기아동·청소년의 발달특성과 권리. 아동·청소년민간단체 실무자를 위한 아동․청소년 권리교육" 한국아동단체협의회 2009
4 강정미,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 의식 연구" 경남대학교 2005
5 보건복지가족부,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09
6 보건복지부,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4
7 신지현,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4
8 황옥경, "유럽국가들의 아동권리 모니터링 현황" 27-41, 2002
9 송유경, "아동의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아동의 권리주체성과 참여권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9
10 안문기, "아동의 권리보호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동국대학교 2005
11 전경하, "아동의 권리 측면에서 본 아동학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아동학대 관련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06
12 김순화, "아동권리에 대한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 인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7
13 장희수, "아동권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 세종대학교 2009
14 안동현, "아동권리 모니터링의 이해" 한국아동 단체협의회 2009
15 한국아동단체협의회, "아동권리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2004
16 김형욱, "아동·청소년 상담 및 보호체계 모니터링의 실제" 한국아동단체협의회 2009
17 김자옥,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들간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0
18 김지영, "노인복지 관련기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4
19 "http://stat.mw.go.kr"
20 김승권, "UN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사업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아동권리모니터링센터 2007
21 Verhellen, E., "Ombudswork for Children:A Way of improving the position of Children in Society" Children's Rights Centre 1989
22 Save the Children, "Child Rights Programming" Save the Children 2002
23 Himes, J., "Background Note:Global Monitoring of Child Rights, Indicators for Global Monitoring Child Rights" 1998
24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09년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2010
현재 자녀수를 결정하는 변인분석:자녀양육 관련 변인, 자녀가치 관련 속담, 가족정책 표어를 중심으로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탄력성의 매개
유아의 낮은 자기역량지각과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UN 아동권리협약의 국내법적 및 실천적 수용성: 아동복지법과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1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8-0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1.02 | 1.02 | 1.24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3 | 1.26 | 1.5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