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using Appreciative Inqui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9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적 탐색(AI)을 활용하여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사례 연구로서 경기도에 위치한 평생교육 기관의 드림코치 양성과정에 참여한 창의인성교육 강사 23...

      본 연구는 긍정적 탐색(AI)을 활용하여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사례 연구로서 경기도에 위치한 평생교육 기관의 드림코치 양성과정에 참여한 창의인성교육 강사 23명을 대상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였다.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참여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긍정변화 프로세스로 ‘긍정적인 질문’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 가며, 발견하기, 꿈꾸기, 디자인하기, 다짐하기 등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은 자신과 타인의 인성에 대해 탐색하고, 실천의 가치를 알게 하였고, 21세기형 인성을 개발하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실천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의 지향점을 충족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성인대상 인성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AI)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dul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25 character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ream Coach development course provided by Gyeo...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AI)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dul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25 character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ream Coach development course provided by Gyeonggi-Do Provinci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nd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themselves. The adul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AI was a positive change process based on discourse of the participants, and led change by asking positive questions and using four steps, Discover, Dream, Design, and Determine.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enabled adults to explore character of self and other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practice. In addition, the program had potentials for developing characters for the 21st century, met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by emphasizing practice, and established concrete, found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adult charact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경, "행복한 아이를 위한 부모인성교육매뉴얼" 중앙유아종합지원센터 2014

      2 신재은, "핵심가치 과정개발 보고서" 경기복지재단 2011

      3 김경미,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7, 2013

      4 김소연, "한국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한 채플 활성화 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4) : 181-209, 2012

      5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Ⅲ" 한국청소년개발원 2015

      6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7 박균섭,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한국교육철학회 (35) : 35-69, 2008

      8 정은진, "특성화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탐색(AI)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기대학교 2015

      9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0 박성미,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35-47, 2012

      1 박현경, "행복한 아이를 위한 부모인성교육매뉴얼" 중앙유아종합지원센터 2014

      2 신재은, "핵심가치 과정개발 보고서" 경기복지재단 2011

      3 김경미,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7, 2013

      4 김소연, "한국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한 채플 활성화 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4) : 181-209, 2012

      5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Ⅲ" 한국청소년개발원 2015

      6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7 박균섭,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한국교육철학회 (35) : 35-69, 2008

      8 정은진, "특성화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탐색(AI)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기대학교 2015

      9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0 박성미,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35-47, 2012

      11 장환영, "중소조직의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통한 조직개발 사례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6 (26): 107-127, 2012

      12 조연순,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Ⅱ: 교사와 학부모가 지각하는 인성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교육과학연구소 29 (29): 329-347, 1999

      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14 유병열,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03-322, 2015

      15 김영래,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 가치덕목’과 ‘핵심 역량’의 연구모형에 관한 고찰" 한독교육학회 20 (20): 21-45, 2015

      16 손진희, "인성교육 참여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능력함양교육과 인간관계능력함양교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7 교육과학기술부, "인성교육 실태조사" 교육과학기술부 2012

      18 교육과학기술부, "인성교육 비전수립 및 실천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19 천세영,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천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 유병열, "인성교육 공고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151-182, 2014

      21 엄상현, "인성 덕목을 활용한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부 2014

      22 김희진,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훈련 프로그램"

      23 김경령,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17-139, 2014

      24 장경원,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2판)" 학지사 2014

      25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26 김창희, "사례연구 결과분석을 통한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77-103, 2013

      27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비전 연구Ⅱ :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8 조난심, "도덕교육학신론" 문음사 2003

      29 송명자,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69-291, 2008

      30 박은민,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97-509, 2012

      31 이영애,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9 (9): 95-104, 2006

      32 조극훈, "노숙인 자존감 회복을 위한 성경신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27 : 43-75, 2014

      33 김희정, "긍정적 탐색(AI) 기반 학교 변화를 위한 학교 조직 개발 사례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34 장경원,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활용한 참여형 학부모 교육 사례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55-81, 2014

      35 김지현, "긍정적 탐구 모형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2

      36 윤병오, "긍정심리학의 ‘성격 강점과 덕목’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3) : 155-182, 2011

      37 김정환, "교직 적성ㆍ인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교육부 2012

      38 이백철, "교정교육에 있어서 통합형 및 한국형 인성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10 (10): 65-87, 2015

      39 양정실,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구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0 이명준,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과정평가원 2011

      41 김희정, "강점 탐구 이론 기반 학교 변화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53 (53): 137-165, 2015

      42 이상훈, "간디대안학교 비전수립 워크숍"

      43 Preziosi, R. C., "Using appreciative learning in executive education" 16 (16): 10-16, 2002

      44 Luckcock, T., "The soul of teach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 an appreciative into the enneagram of reflective practice" 15 (15): 127-145, 2007

      45 Whitney, D. D., "The power of appreciative inquiry: A practical guide to positive chang" Berrett-Koehler Publishers 2010

      46 Tan, S., "The World Café in Singapore Creating a Learning Culture Through Dialogue" 41 (41): 83-90, 2005

      47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48 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CASEL), "Safe and sound : An educational leader’s guide to evidence 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programs" CASEL 2003

      49 Brush, T., "Integrating technology in a field-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 : The PT3@ASU Project" 51 (51): 57-72, 2003

      50 Hanson Smart, D., "Incorporating appreciative inquiry methods to evaluate a youth development program" 2003 (2003): 63-74, 2003

      51 한국기업교육학회, "HRD 용어사전" 중앙경제 2010

      52 Guba, E.,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1981

      53 Knox, A. B., "Developing, administering, and evaluating adult education" Jossey-Bass Publishing 1980

      54 Schlossman, S. L., "Before hone-start : notes toward a history of parent education in America 1897-1929" 46 : 89-102, 1976

      55 Moody, R. C., "Appreciative inquiry for leading in complex systems : supporting the transformation of academic nursing culture" 46 (46): 319-324, 2007

      56 Carter, M. T., "Appreciative inquiry and adult transformative learning as an integrated framework to guide life coaching practice" Saybrook University 2009

      57 Cooperrider, D. L., "Appreciative Inquiry: A Positive revolution in change"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005

      58 장경원, "AI(Appreciative Inquiry) 기반 수업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57-186, 2012

      59 장경원, "AI 활용 긍정적인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355-356, 2011

      60 Quesenberry, A., "A framewor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ocused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s" 61 (61): 30-32, 2006

      61 강선보,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0) : 1-3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