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 토론 수업의 평가 방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bate theme in the speak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evaluation methods for the debate. The debate is the educational speaking activity to interact the stud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bate theme in the speak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evaluation methods for the debate.
      The debate is the educational speaking activity to interact the students each other that criticizes, accepts, and interacts on the othersʹopinions. This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mutual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class can affect the capability to acquire the language significantly. Most of the communication in the class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cturers and the students, therefore,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prioritize the debate clas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The language learning in Structuralism or Cognition has been proposed to start from the learning the external forms of language data or teachersʹ initiations. However, the negotiation of the meaning has been emphasized by mutual interaction in the language learning in the interaction theory. Speaking and listening have been proposed not by general methods that the students simply acquire the language but by social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debate based on this interaction theory has been established from the defining the debate themes upon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level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get more information than the lecturerʹs feedback, moreover, improve the learning attitude in terms of definition area. In addition, responding to the peerʹs speech, they could acquire the important technique of speaking and listening to find and amend their errors at the same time. In case of feedback only from the lecturer, it may generate the problem to receive the feedback without any criticism, however, the interaction with peers has the benefit to receive the feedback selectively in view of the same position. Despite the positive aspect of the debate clas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it requires the acceptances and applications of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hence, they should be reviewed focusing on the debate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토론모형
      • 3. 연구방법
      • 4. 평가 결과 분석
      • 5. 결론
      • 1. 서론
      • 2. 토론모형
      • 3. 연구방법
      • 4. 평가 결과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현, "한국의 토론 문화와 토론 교육" 국어교육학회 (19) : 289-318, 2004

      2 이민형, "토론의 인용 전략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 강태완,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 한상철, "토론: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토론 분석과 응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여미란, "토론 평가형식의 문제점 분석과 새로운 평가형식: 1:1 토론형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87-115, 2012

      6 이선영, "토론 평가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 국어교육학회 (44) : 453-481, 2012

      7 임칠성, "토론 수업설계 모형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391-432, 2004

      8 최복자, "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석진, "토론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학습 전략 : 교수 효과와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황혜영, "칼 포퍼형 토론을 응용한 토론 발언의 분석과 이해-<사형제 폐지> 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4 (4): 123-156, 2011

      1 박재현, "한국의 토론 문화와 토론 교육" 국어교육학회 (19) : 289-318, 2004

      2 이민형, "토론의 인용 전략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 강태완,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 한상철, "토론: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토론 분석과 응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여미란, "토론 평가형식의 문제점 분석과 새로운 평가형식: 1:1 토론형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87-115, 2012

      6 이선영, "토론 평가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 국어교육학회 (44) : 453-481, 2012

      7 임칠성, "토론 수업설계 모형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391-432, 2004

      8 최복자, "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석진, "토론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학습 전략 : 교수 효과와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황혜영, "칼 포퍼형 토론을 응용한 토론 발언의 분석과 이해-<사형제 폐지> 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4 (4): 123-156, 2011

      11 권순희,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말하기·듣기 교육 방안: 적극적 초등학생과 소극적 초등학생의 토론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4) : 35-90, 2007

      12 이지용,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어문학회 50 : 91-120, 2012

      13 유동엽, "반대신문형 논쟁의 상호작용 관습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4) : 25-54, 2004

      14 김채봉,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평가 방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227-276, 2003

      15 김평원, "말하기 평가의 분석 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6 민병곤, "말하기 듣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25) : 5-38, 2006

      17 유해준, "동료평가를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평가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46) : 127-14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양교육연구소 ->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 Da Vinci Mira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