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G러닝(온라인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의 학습효과 분석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Academic effectiveness of G-learning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32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G-learning program (game based 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7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G-learning program (game based 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7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students took regular mathematics classes with traditional teaching system, while experimental group took the class mixed present system with G-learning program. Written tests for academic achievement were enforced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to evaluate the effect of G-learning progra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red sample T-test. Findings through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articipation in G-learning program improve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of mathematic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G-learn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t-paper test. Seco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G-learn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students in present teaching system. Third,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improvements. Girls in G learning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boys in the same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어기준,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유형과 제반 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2 이해경, "청소년들의 음란물, 음란채팅, 폭력게임 중독 경험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청소년학회 9 (9): 91-114, 2002

      3 이소영,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이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0 (20): 67-80, 2001

      4 위정현,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초등학교 정치수업 수행 및 효과" 한국게임학회 9 (9): 83-93, 2009

      5 위정현,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전략경영 교육의 효과 분석 -경영의사결정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전략경영학회 12 (12): 135-149, 2009

      6 위정현,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 경제 학습 효과 분석" 5 (5): 13-22, 2005

      7 오나라, "온라인 게임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토착 문화심리학적 연구 :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효능감 및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6

      8 양철진, "온라인 게임에 나타난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385-408, 2006

      9 위정현, "온라인 게임 교육과 손잡다" 한경사 2008

      10 김태연,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서울대학교 2008

      1 어기준,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유형과 제반 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2 이해경, "청소년들의 음란물, 음란채팅, 폭력게임 중독 경험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청소년학회 9 (9): 91-114, 2002

      3 이소영,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이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0 (20): 67-80, 2001

      4 위정현,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초등학교 정치수업 수행 및 효과" 한국게임학회 9 (9): 83-93, 2009

      5 위정현,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전략경영 교육의 효과 분석 -경영의사결정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전략경영학회 12 (12): 135-149, 2009

      6 위정현,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 경제 학습 효과 분석" 5 (5): 13-22, 2005

      7 오나라, "온라인 게임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토착 문화심리학적 연구 :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효능감 및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6

      8 양철진, "온라인 게임에 나타난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385-408, 2006

      9 위정현, "온라인 게임 교육과 손잡다" 한경사 2008

      10 김태연,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서울대학교 2008

      11 김응태, "수학교육학개론(제3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2 한국게임산업개발원 산업정책팀,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9

      13 Schatz, A. J., "Sweeping sickness: Tryin to win internet games is a full-time job" 228 (228): A1-, 1996

      14 Rebello, K., "She's smart, she's successful, she's outta there" 3501 : 40-, 1996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16 Lo, S., "Physic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anxiety among online game players" 8 (8): 15-20, 2005

      17 Colwell, J.,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91 (91): 295-313, 2000

      18 위정현, "MMORPG를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교수학습의 효과" 현대영어교육학회 10 (10): 194-216, 2009

      19 Wi, Jong H., "Innovation and Strategy of Online Games" Imperial College Press 2009

      20 Eng, P. M., "I can't wait to go online and blow something up(cover story)" 3507 : 70-7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