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및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배려행동 간의 관계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resilience with young children's car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4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resilience as influential variables towards young children’s caring behavior an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children aged betwee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resilience as influential variables towards young children’s caring behavior an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children aged between 4 and 5 who attended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in P city, as well as their mothers. For data analysis,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frequency, co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using AMOS 21.0 program to find out casual relationship of three factors.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Mother's sense of commun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s caring behavior, and mother's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s caring behavior.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s caring behavior by a way of mediating mother's resil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lso,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ways of mediating effect by gende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validating complete structure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배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어머니 공동체의식과 어머니 회복탄력성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5세 유아 223명과 그...

      본 연구는 유아 배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어머니 공동체의식과 어머니 회복탄력성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5세 유아 22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배려행동, 어머니 공동체의식,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공동체의식은 유아의 배려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어머니 회복탄력성은 유아의 배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 공동체의식은 어머니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 배려행동에 간접효과를 미치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어머니 공동체의식, 회복탄력성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경로가 남녀 유아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집단 간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나 완전구조동일성이 성립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2 최성애, "회복탄력성" 해냄출판사 2014

      3 장영애,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19-629, 2009

      4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5-232, 2009

      5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0 (10): 2479-2493, 2009

      6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63-298, 2014

      7 조규판, "청소년용 배려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85-204, 2013

      8 이춘희,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1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2 최성애, "회복탄력성" 해냄출판사 2014

      3 장영애,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19-629, 2009

      4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5-232, 2009

      5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0 (10): 2479-2493, 2009

      6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63-298, 2014

      7 조규판, "청소년용 배려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85-204, 2013

      8 이춘희,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11 Reivich, K., "절대회복력" 물푸레 2012

      12 홍은숙, "장애아 부모 탄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29-50, 2017

      13 정미라,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8) : 1-25, 2013

      14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15 이선남, "유아의 초기 발달수준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81-396, 2015

      16 조맹숙,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43-459, 2011

      17 김현신, "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과 부모의 공동체의식과의 관계 연구" 25 (25): 1-12, 2000

      18 민혜영,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과 개인 내적변인들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9 한명숙, "유아의 배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 가족건강성, 모자상호작용, 가정환경자극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0 김순희, "유아의 배려행동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자녀 또래관계 관리전략 간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139-155, 2015

      21 임지영, "유아발달" 공동체 2015

      22 이금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탄력성 (유아·가족·지역사회)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81-196, 2011

      23 김정림, "유아 배려행동 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4 박찬옥, "유아 배려 검사도구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49-67, 2015

      25 고정리, "유아 공동체의식,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97-125, 2014

      26 심숙영,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파란마음 2013

      27 김민정,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5-28, 2010

      28 심수영,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애학회 4 (4): 61-74, 2014

      29 박영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동기에 관한 연구" 2 (2): 67-88, 2005

      30 이경희,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7 (17): 125-152, 2012

      31 박성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7) : 1-21, 2009

      32 윤성윤, "어린이집 교사들이 인식하는 만 5세 유아들의 행동특성과 배려교육에서의 어려움 탐색" 8 (8): 37-56, 2012

      33 나은숙,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유아 인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15-131, 2015

      34 이현옥, "성격특성과 부부관계 및 자녀와의 관계가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61-188, 2016

      35 김현정, "성격유형 검사와 5요인 성격검사와의 관계" 14 : 23-37, 2006

      36 우수경,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7 (7): 99-119, 2003

      37 김여름, "부모의 성격특성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8 고정리, "부모의 공동체의식이 유아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5-302, 2014

      39 백승희, "부모의 공동체 의식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2 (2): 5-29, 2005

      40 양옥승,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47-262, 2004

      41 김수동,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81-104, 2014

      42 김수동, "배려의 교육적 개념 - Noddings 도덕교육론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철학회 (22) : 25-42, 2002

      43 고미숙, "배려윤리와 배려교육" 안암교육학회 10 (10): 37-62, 2004

      44 Noddings, N., "배려교육론" 다른 우리 2002

      45 이연수,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35-160, 2011

      46 이수연, "배려 윤리의 도덕교육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7 이지현, "만 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8 고은정,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시흥3동 담장허물기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7 (7): 77-86, 2006

      49 신영선,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 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50 성희자,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49-170, 2006

      51 조성민, "나딩스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적 의의와 한계" 17 : 1-26, 2012

      52 이경환, "근린의 보행 환경이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203-210, 2009

      53 박찬옥,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21-244, 2012

      54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55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0. 0" 집현재 2013

      56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57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58 채홍길,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 119 (119): 70-74, 1997

      59 이라영,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60 황혜원, "가족탄력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이 저소득층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일반가정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8 (18): 81-103, 2013

      61 McCrae, R. R.,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52 : 81-90, 1989

      62 Fisher, B., "Toward a feminist theory of caring" 12 : 123-157, 1981

      63 Nasar, J. L.,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61 (61): 178-184, 1995

      64 Damon, W., "The moral child" Free Press 1988

      65 Karney, B. R.,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118 : 3-34, 1995

      66 Luthar S. S., "The construct of resilience :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71 (71): 543-562, 2000

      67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68 Mayeroff, "On caring" Harper&Row 1971

      69 문정애, "Noddings의 배려윤리와 그 교육적 의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70 허영주, "Noddings와 Foucault 이론의 비교 분석을 통한자기배려 교육의 방향 정립"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349-375, 2013

      71 Noddings, N., "Moral educ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42 (42): 390-396, 2010

      72 Aron, A., "Love as the expansion of self: Understanding attraction and satisfaction" Hemisphere 1986

      73 Bates, J. E.,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53-177, 2007

      74 Salovey, P.,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ic Books 3-31, 1997

      75 Tarlow, B., "Caring: A negotiated process that varies. Care giving: Reading in knowledge" 3 : 789-801, 1996

      76 Joseph, S., "Assessment of caring and its effects in young people: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aring activities checklist (MACA-YC148)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s outcomes of caring questionnaire(PANOC-YC20) for young cares" 35 (35): 510-520, 2009

      77 배병렬, "AMOS 17. 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09

      78 Parker, R., "A new look at the personal social services" Policy Studies Institute 17-, 1971

      7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80 한국교육개발원,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