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청소년기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종단적 인과관계: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of about 1,6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longitudin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evel of smartphone add...

      This study examin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of about 1,6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longitudin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t the previous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t the next time. Depression at the previous tim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t the next time.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smartphone addiction of the previous ti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next time. A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influence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prepared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for reducing depression in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a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identified in the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t was reported that the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enders should be made differentl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education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se smart phones should be provid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간의 종단적 영향력 관계 검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에 참여한 중․고등학생 약 1,600여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간의 종단적 영향력 관계 검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에 참여한 중․고등학생 약 1,600여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이전 시점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수준은 다음 시점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시점의 우울은 다음 시점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스마트폰 중독은 다음 시점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영향력의 정도는 남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우울 경감을 위한 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 관계에 대한 성별 차이의 경우 횡단적 연구에서 보고된 것과 달리 종단적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며, 오히려 남학생에서 영향력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우울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학교 안팎을 통해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경,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33-157, 2008

      2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3 이종원,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강인성,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고충숙,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7-36, 2012

      6 양심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 43 (43): 1-16, 2005

      7 박지영,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151-169, 2012

      8 김현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0-352, 2015

      9 정명진,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10 고기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31-156, 2013

      1 이해경,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33-157, 2008

      2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3 이종원,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강인성,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고충숙,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7-36, 2012

      6 양심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 43 (43): 1-16, 2005

      7 박지영,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151-169, 2012

      8 김현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0-352, 2015

      9 정명진,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10 고기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31-156, 2013

      11 김정민, "청소년의 우울과 휴대전화 의존, 학업적응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08, 2015

      12 김혜원,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대한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중재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29 (29): 127-142, 2011

      13 이순희,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의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41-264, 2015

      14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08-217, 2013

      15 신성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345-362, 2013

      16 정은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19-146, 2017

      17 신은수,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중독 : 정신과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김소영,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우울,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315-336, 2016

      19 조수경, "청소년의 등교일․비등교일 수면시간 차이, 휴대전화 의존, 우울증상의 종단적 상호교류 관계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20 강민정,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147-158, 2014

      21 한선희,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39-157, 2010

      22 이해정,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인구사회적?심리적 변인들의 판별예측력"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57-965, 2007

      23 조일주,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185-204, 2009

      24 윤영숙,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 인천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관내 학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25 차은진,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소 44 : 79-108, 2015

      26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7 오순옥,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애착외상, 스마트폰 중독 그리고 우울간의 종단적 관계검증"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3 (13): 33-50, 2018

      28 백승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67-188, 2014

      29 전상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 및 중독적 사용과 우울의 종단적 관계 검증: 성별 간 다집단 분석" 대한가정학회 52 (52): 301-312, 2014

      30 박성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우울의 관계"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5) : 53-75, 2018

      31 임정은, "일부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건강행동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2 유지애, "우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41-273, 2018

      33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67-100, 2010

      34 김옥희, "애착외상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의 관계: 부적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95-114, 2017

      35 진미령,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1 (1): 31-53, 2016

      36 전요섭, "아버지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57-275, 2008

      37 김재엽, "아동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과 성별 간 다집단 분석 -"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105-133, 2016

      38 전호선,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03-129, 2014

      39 이영준, "스마트폰의 기능적 특성이 스마트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139-160, 2012

      40 박민수, "스마트폰 중독과 학업스트레스가 고등학생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41 이상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 (20): 47-67, 2018

      42 신선임,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부모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차이"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67-277, 2017

      43 한국인터넷진흥원, "스마트폰 이용자의 성별․연령별 이용현황에 대한 연구" 35-51, 2013

      44 이영숙,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과 스마트폰 중독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213-227, 2015

      45 김동일,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3 (13): 629-644, 2012

      46 배성만, "성별에 따른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5-405, 2015

      47 구현영,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의 영향요인" 15 (15): 60-70, 2012

      48 윤미선,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9, 2017

      49 박정주,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소득별 다집단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9-168, 2011

      50 고은영, "불안과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19-429, 2017

      51 김호정, "부모의 알코올 중독 유무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자존감, 우울, 분리개별화의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52 김병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67-98, 2013

      53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54 오광수,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22 : 45-65, 2017

      55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6 서애정, "고등학교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사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57 양혜경,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8 Lewinsohn, P. M., "Major depression in community adolescents : Age at onset, episode duration, and time to recurrence" 33 (33): 809-818, 1994

      59 Bian1, M.,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33 (33): 61-79, 2015

      60 Koivusilta L., "Intensity of mobile phone use and health compromising behaviours-how 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nected to health-related lifestyle in adolescence?" 28 : 35-47, 2005

      61 Cochran, S. V., "Gender-sensitive recommendations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men" 34 (34): 132-, 2003

      62 Nolen-Hoeksema, S,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10 (10): 173-176, 2001

      63 Rodgers, S., "Gender and E-Commerce : An Exploratory Study" 43 (43): 322-329, 2003

      64 Sanchez-Martinez, M., "Factors associated with cellphone use in adolescents in the community of Madrid" 12 : 131-137, 2009

      65 Strauss, C. C., "Association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adolescents" 16 : 57-68, 1988

      66 Tomas, E. G., "Addiction, adolescence, and the integration of control and motivation" 1 : 364-376, 2011

      67 배병령,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2007

      68 유명옥,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09-418, 2014

      6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70 미래창조과학부, "2014년 인터넷중독실태조사" NIA 2014

      7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