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심리적 소진 연구 국내 연구동향: 2013년∼2020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Research Trends in Korea: Focusing on 2013-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61편과 학위논문 102편을 대상으로 출판년도, 연...

      본 연구는 국내에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61편과 학위논문 102편을 대상으로 출판년도, 연구대상, 표본의 크기, 인구학적 변인, 사용된 척도, 연구방법, 변인설정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판년도별로는 2016년이 27편(학위논문 20편, 학술지 논문 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별로는 초등교사가 78%로 가장 많았다. 표본크기별로는 여자(72.1%)가 남자(27.9%)보다 많았고,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 중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사용된 척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의 MBI를 번안한 척도가 90%로 가장 많았다. 심리적 소진의 변인설정은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다른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본 경우가 대부분(88%)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conducted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from 2013 to 2020. The main results of analyses of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 demographic variables, measurement tools,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conducted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from 2013 to 2020. The main results of analyses of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 demographic variables, measurement tools, research methodology, and variable settings in 61 journal articles and 102 thesis/dissertations on the KCI listing and candidate sites were as follows: For publishing year, 2016 was the most publications, 27 (20 thesis/dissertations and 7 journal articles); regarding research subj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udied the most, found in 78% of the publications; for demographic variables, women (72.1%) outnumbered men (27.9%); regressio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ly used data analysis method among the quantitative studies, and 90% of the measures used were based on the MBI of Maslach and Jackson (1981); in most cases (88%), psychological burnout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o examine the effect of other variables on psychological burnout. Finally, we discussed the findings and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송,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MBI-ES) 타당화" 교육연구원 36 (36): 271-292, 2020

      2 김선동,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96 : 134-174, 1999

      3 송미경, "한국 초등학교 교사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6 (16): 195-214, 2015

      4 이윤주, "학부모와의 휴대전화 의사소통으로 인한 초등교사 스트레스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5-50, 2017

      5 강진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송은미, "초등학교 교과 전담교사 경험에 대한 성찰" 19 (19): 105-126, 2012

      7 김보람,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99-208, 2012

      8 추정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경험정도에 관한 상관관계연구" 6 (6): 33-53, 1985

      9 이정희, "초등 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40대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17-544, 2017

      10 이해경, "집단미술치료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1 정송,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MBI-ES) 타당화" 교육연구원 36 (36): 271-292, 2020

      2 김선동,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96 : 134-174, 1999

      3 송미경, "한국 초등학교 교사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6 (16): 195-214, 2015

      4 이윤주, "학부모와의 휴대전화 의사소통으로 인한 초등교사 스트레스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5-50, 2017

      5 강진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송은미, "초등학교 교과 전담교사 경험에 대한 성찰" 19 (19): 105-126, 2012

      7 김보람,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99-208, 2012

      8 추정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경험정도에 관한 상관관계연구" 6 (6): 33-53, 1985

      9 이정희, "초등 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40대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17-544, 2017

      10 이해경, "집단미술치료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11 유영애, "중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한 연구: 저널테라피 중심 문학치료프로그램의 적용" 경북대학교 2020

      12 김완호, "중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완벽주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 : 교육경력의 조절 효과" 아주대학교 2020

      13 김태균, "중등교사의 마음챙김 훈련 효과성 검증과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18

      14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직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1-17, 2003

      15 박경애,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 자아존중감 및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261-279, 2008

      16 김정미, "여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77-199, 2009

      17 손원숙, "심리검사 번안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2 (22): 57-80, 2003

      18 김사다, "세종특별자치시 전학 초등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481-493, 2017

      19 유정아, "상담자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111-120, 2003

      20 김경성, "다층자료분석에 관한 연구(분석방법의 고찰)" 4 (4): 5-21, 1991

      2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020" 다원기획 2020

      22 조현주, "교사의 정서지능과 자기 효능감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51-270, 2007

      23 김영희, "교사의 정서적 개인차와 탈진 경험" 한국상담학회 6 (6): 587-600, 2005

      24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97-220, 2014

      25 한광현, "교사의 자원과 대처전략 그리고 소진의 관계" 한국경영교육학회 (49) : 327-349, 2008

      26 이영만,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125-152, 2013

      27 정연홍, "교사의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6

      28 배현민, "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 연구동향: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7 (27): 117-139, 2020

      29 성진숙, "교사 소진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27-50, 2018

      30 정연홍,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치유를 위한 예방 및 개입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789-808, 2015

      31 최선옥, "교권침해 실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학부모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4 (14): 165-190, 2018

      32 김병섭, "공무원의 심리적 탈진과 직무몰입도" 26 : 281-309, 1994

      33 픽은희, "간호원의 소진(燒盡:Burnout) 경험정도와 업무만족도간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34 黃啓鎭, "學校의 官僚化 程度와 敎師의 氣盡感"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35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2): 99-113, 1981

      36 Iancu, A. 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teacher burnout : A meta-analysis" 30 : 373-396, 2018

      37 Stamm, B. H., "The concise proQOL manual"

      38 Seidman, S. A., "The Teacher Burnout Scale" 11 (11): 26-33, 1987

      39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30 (30): 159-165, 1974

      40 김유선, "MBI-GS 타당도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3

      41 Barber, M., "How the world's best-performing school systems come out on top" McKinsey & Company 2007

      42 AhyoungKim, "Effects of Defferent Types of Practice in Cross-Cultural Test Adaptation of Affective Measures" 한국심리학회 22 (22): 89-113, 2003

      43 Schwab, R. L., "Educator burnout : Sources and consquences" 10 (10): 14-30, 1986

      44 Farber, A., "Crisis in Education : Stress and burnout in the American teacher" Jossey-Bass 1991

      45 Garcia-Carmona, M., "Burnout syndrome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2 : 189-208, 2019

      46 Edmonson, L., "Burnout among special educators: A Meta-Analysis" 2000

      47 Pines, A. M.,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The Free Press 1981

      48 Jones, W., "A measure of staff burnout among health professionals"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2005-10-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xtitute of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6 1.48 1.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