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풍속화에 드러난 국궁의 교육철학적 특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6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후기 풍속화에서 드러나는 국궁의 정체성 탐구를 통해, 전통문화유산으로서 국궁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내재한 교육철학적 특질을 탐구하고자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후기 풍속화에서 드러나는 국궁의 정체성 탐구를 통해, 전통문화유산으로서 국궁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내재한 교육철학적 특질을 탐구하고자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후기 풍속화의 이해를 통해 본 국궁의 교육철학적 특질은 인재등용과 신분상승의 도구였다. 습사는 원사전쟁무기로서의 효용성이 상존했던 시대상을 대별했기에 조선선비와 양반사대부들의 일상생활로서, 국방의 의무에 대처하기 위한 유비무환적인 필수덕목이었다. 정량궁 쏘기는 무과시취의 통과의례로서 신분상승을 위한 교육수단이었다. 또한 국궁은 경제의 발달에 편승한 신흥자본가들과 중인신분한량들의 유희적이며 일상적인 생활문화였다. 둘째, 예를 중시한 국궁의 유가적 규범과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유유자적하고자 했던 조선후기의 사회·문화적인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현재까지도 금기시 하고 있는 좌궁이 우궁에 비해 자주 묘사된 것은 조선시대가 유가적 전통사회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사실이다. 또한 사정조직은 계모임 형태의 조직체 즉, 사포계와 사계좌목을 구성하여 조선사회의 지도층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고, 비정비팔은 우리 활 사법의 근간으로서, ``멀리 쏘기``를 위한 기본자세였으며, 정량궁 쏘기는 무과시취의 필수과목이었고, 사법형태는 용약전진하며 발시 하는 특징이 있다. 각궁제조에 수우각을 사용한 것에서 당시 국제간 교역 또한 활발했었음이 유추된다. 습사는 유희적 속성과 전통문화적인 가치관 형성의 양면성을 함께 공유하였고, 대사례는 국가의식행사의 필수적인 요소였다. 셋째, 조선 후기 사회문화적 특성을 내포한 국궁의 교육철학적 가치는 유가적 행동지침인 정정당당함을 사풍의 주요 골격으로 삼는 활쏘기를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을 배양하고, 올바른 행동을 통해 예의를 바르게 함은 물론 주종의 질서와 규칙의 존중, 약속의 실행 등과 같은 도덕성을 함양하며, 관용과 자제력을 길러 사회적 지도층으로서의 적응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교육도구적요소를 함유하였던 것으로 드러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figur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traits within the scope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ow, gukgung, a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sset, by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bow found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te...

      The study aims to figur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traits within the scope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ow, gukgung, a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sset, by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bow found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and has gene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bow was a means of selecting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and ascending soci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ansty, and as Seupsa was used as a weapon during a war, it was necessary for classical scholars and aristocrats to master it in their daily life with an aim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for national defense. Shooting Jeongryanggung was an educational means of ascending social status as a rite of passage in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Korean bow was a playful daily life culture for newly emerging capitalists and profligates from a lower class who jumped on the bandwagon of development of commercial economy. Second, it well demonstrates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en people were not bound by Confucian norm and formality of Korean bow that valued decorum desiring to live free from worldly car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Juagung (left-handed shooting), a taboo even today, was described more frequently than Woogung (right-handed shooting) is noteworthy given that the Joseon Dynasty was a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A mutual-aid society was organized acting as the leadership clas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apogye (Scholar Fraternity) and Sagyejuamok, and Bijeongbipal was the fundamentals of Korean bow and a basic posture for the long shooting. Shooting Jeongryanggung w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state examination. The fact that buffalo horns were used in manufacturing Korean horn bows shows that international trade was facilitated at that time. Seupsa contains playful attributes and traditional value system at the same time, and Daesarye was an essential factor in the national ceremony. Third, th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value of Korean bow found i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s educational factors where a spirit of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was enhanced through archery that valued fairness, the Confucian code of conduct, decorum was improved through appropriate behavior, morality was further developed through respect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master and servant a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promises and adaptability that social leaders need to have was booste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olerance and the power of self-contr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 옥광, "한국전통 활쏘기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소고" 한국체육학회 47 (47): 1-14, 2008

      4 이혜숙, "중국 남종화가 18세기 조선화단에 미친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5 김영희, "조선후기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준법연구"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6

      6 남지은, "조선후기 화단에 관한 연구; 강희언과 강세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7 장현경,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연구;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풍속화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8 유미정,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리얼리즘과 실학사상의 상관성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1999

      9 정선경, "조선후기 신윤복의 풍속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0 최석규, "조선후기 국궁의 변천과 사회문화적 기능" 한국체육교육학회 14 (14): 29-44, 2009

      11 안상식, "인천 남수정 인터뷰"

      12 "육군박물관도록.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3 김나연, "신윤복의 풍속화 연구-혜원전신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4 김미우, "단원의 인물 표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3

      15 박정국, "단원 김홍도의 현실인식에 대한 고찰" 홍익대학교대학원 2007

      16 양정은,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2001

      17 홍용선,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 6 : 203-234, 1978

      18 박현애, "김홍도 풍속화의 해학적 미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19 최석규, "국궁의 변천과 사회·문화적 기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20 최석규, "개화기 국궁의 사회·문화적 기능" 20 : 177-185, 2008

      21 이순미, "澹拙 姜熙彦의 繪畵硏究" (12) : 141-168, 1998

      22 "朝鮮의 弓術"

      23 이현주, "朝鮮後期 在地畵員 小考 - 18세기 東萊 在地畵員 卞璞의 官需繪畵 연구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4 (14): 165-211, 2008

      24 김준혁, "朝鮮 正祖代 壯勇營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5 박경자, "惠園風俗畵에서 본 朝鮮後期의 一船服飾" 14 : 49-71, 1981

      26 이상철, "Daum카페 ‘활배웁니다’기고문을 발췌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