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의 표준화 연구 =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a Life Competency Scale for Adolesc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3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독립된 생활인으로서 필수적으로 갖추어나가야 할 일상생활 속에서의 역량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표준화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독립된 생활인으로서 필수적으로 갖추어나가야 할 일상생활 속에서의 역량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표준화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개발된 228개의 문항에서 내용적ㆍ통계적으로 양호한 114개의 문항을 추출하였고, 1,908명의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개별 문항 및 검사도구의 양호도,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구조의 적합도 등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고 규준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표준화 검사는 자기조절역량, 자기개발역량, 학습역량, 대인관계역량, 민주시민역량, 문제상황대처역량의 6개 하위 생활역량과 이를 실제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19개의 생활기술, 각 생활기술별 6개 문항, 총 1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준집단의 생활역량은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기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활기술 및 하위 생활역량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일부 하위 생활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뿐 전반적인 생활역량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life competency test for adolescences. For this, 114 items were selected from 228 items previously developed by Yun and Seo's study through the indexes of item goodness and statistical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life competency test for adolescences. For this, 114 items were selected from 228 items previously developed by Yun and Seo's study through the indexes of item goodness and statistical criteria. 1,9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nationwidely. The coefficients of Cronbach α and construct validity were high, and suitability indexes of item factor structure were high. The concurrent validity with youth activity competency scale was verified.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process, the Life Competency Scale with 6 life competencies, 19 life skills and 114 items was developed. The norm table was made in terms of total group, gender, and school level. The norm groups marked the highest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among competencies and life skills. The scores of girls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most life competencies and life skills except in emotional regulation skil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chool level over life competency and life skill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can get informations about their life competencies easily through this standardized test, furthermore, teachers or parents can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tudent 's deficient competencies or life skills. Also,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tandardized Life Competency Scale' tes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youths to develop programs and to make policy in schools or fields of you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양육시설 중학생의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기술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장근영, "한국청소년의 핵심역량지표개발과 국제비교: PISA, ICCS 조사결과의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77-90, 2010

      3 김성아, "폭력성 온라인게임 이용과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권일남,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활동역량진단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8 (8): 45-61, 2010

      5 공기택, "청소년의 창의성을 키우는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2 (2): 61-71, 2012

      6 조선영,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7 권일남,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영역구성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67-89, 2009

      8 최이숙,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김현주, "청소년기 교우연결망 변화에 관한 연구: 생활역량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7 (7): 87-109, 2010

      10 이명희,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9

      1 박정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양육시설 중학생의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기술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장근영, "한국청소년의 핵심역량지표개발과 국제비교: PISA, ICCS 조사결과의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77-90, 2010

      3 김성아, "폭력성 온라인게임 이용과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권일남,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활동역량진단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8 (8): 45-61, 2010

      5 공기택, "청소년의 창의성을 키우는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2 (2): 61-71, 2012

      6 조선영,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7 권일남,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영역구성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67-89, 2009

      8 최이숙,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김현주, "청소년기 교우연결망 변화에 관한 연구: 생활역량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7 (7): 87-109, 2010

      10 이명희,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9

      11 윤명희, "청소년 생활역량" 집문당 2013

      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Ⅰ: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13 엄완용,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명지대학교 2007

      14 정철영,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5 최창욱, "중등학생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청소년활동 경험과의 관계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71-194, 2012

      16 심은경, "일반청소년과 청소년운영위원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동의대학교 2011

      17 윤명희, "일반청소년과 위기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49-66, 2008

      18 박주리,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2000

      19 이유진, "음악 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사회생활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00

      20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21 신주희, "심신허약노인의 신체기능 및 생활능력향상을 위한 선무 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2001

      22 이옥경, "생애발달 Ⅱ" 시그마프레스 2009

      23 강병은, "또래아동과의 협동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활 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1999

      24 유현숙,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04

      25 SPSS Korea 데이터솔루션, "구조방정식모형과 AMOS, SPSS Road Show 2011 자료집" 2011

      26 Himsl, R., "Train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ion. Saskatoon, Saskatchwan" 4-H Department 1973

      27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28 Ford, M. E.,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19 : 323-340, 1982

      29 WHO, "Partners in life skills education: Conclusions from a united nations inter-agency Meeting" 1999

      30 Miller, R. A., "Leader/agents guide: Leadership and life skills" Oklahoma State University 1976

      31 OECD, "DeSeCo Country Contribution Process(CCP)" OECD 2001

      32 Spencer, L.,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Inc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