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 평가로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의 차이 = 중국인 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68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ome language and literacy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84 children from the age range of between 2 to 7 years partici...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ome language and literacy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84 children from the age range of between 2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others were Chinese and fathers were native Koreans. All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born and raised in Korea. The Chinese mothers gave responses for the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survey. A series of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family characteristics, as well as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authors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the language abilities for Korean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hildren with high Korean language abilities mostly spoke in Korean to their mothers, had more books at home, visited libraries often and involved themselves in writing activities often at home. However,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irrelevant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riting environ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tain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re related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more carefully with th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훼린,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371-385, 2014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김영란, "취학전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73-88, 2011

      4 김화수,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09-226, 2010

      5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6 이소연, "초등학교 1,2학년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한국독서학회 (23) : 257-286, 2010

      7 배소영,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146-156, 2010

      8 황혜신,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21 (21): 69-79, 2000

      9 박낭자, "유아의 구어발달에 관한 연구-표현언어와 문장이해력, 어휘력을 중심으로" 27 : 189-207, 2001

      10 김숙이,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2

      1 김훼린,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371-385, 2014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김영란, "취학전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73-88, 2011

      4 김화수,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09-226, 2010

      5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6 이소연, "초등학교 1,2학년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한국독서학회 (23) : 257-286, 2010

      7 배소영,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146-156, 2010

      8 황혜신,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21 (21): 69-79, 2000

      9 박낭자, "유아의 구어발달에 관한 연구-표현언어와 문장이해력, 어휘력을 중심으로" 27 : 189-207, 2001

      10 김숙이,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2

      11 김선정,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발화 특성 - 평균발화길이와 어휘 다양도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17, 2012

      12 정지연, "아동의 가정 문해 환경과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오소정,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137-161, 2009

      14 "다문화가족 지원법, 법률 제15204호 (2017. 12. 12. 개정)"

      15 정민자, "다문화가정의 모의 특성과 가정환경변인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4) : 259-282, 2014

      16 성미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33-47, 2010

      17 이현주,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삶과 자녀교육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09-236, 2014

      18 양민화, "다문화가정 언어․문해환경 설문지"

      19 우현경,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한국아동학회 30 (30): 23-36, 2009

      20 이수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 K-BNT-C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95-115, 2008

      21 윤희원,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4) : 5-25, 2009

      22 정정희,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 23-44, 2010

      23 박석준, "다문화 가정 구성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 -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인터뷰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71) : 215-243, 2009

      24 오성배,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 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학연구소 (12) : 33-56, 2007

      25 정윤정,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26 김수진, "가정환경변인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0 (30): 87-102, 2009

      27 황현이, "가정의 소득 수준과 아동의 언어능력 및 가정문해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8 김명숙,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4 : 149-168, 2003

      29 Quiroz, B. G., "Vocabulary skills of Spanish-English bilinguals : Impact of mother-child language interactions and home language and literacy support" 14 (14): 379-399, 2010

      30 Vygotsky, L.,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1986

      31 Duursma, E., "The role of home literacy and language environment on bilinguals’ English and Spanish vocabulary development" 28 (28): 171-190, 2007

      32 Storch, S. A., "The role of family and home in the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low‐income backgrounds" 2001 (2001): 53-72, 2001

      33 Sénéchal, M., "Testing the home literacy model : Parent involvement in kindergarten is differentially related to grade 4 reading comprehension, fluency, spelling, and reading for pleasure" 10 (10): 59-87, 2006

      34 Pallant, J., "SPSS survival manual: A step by step guide to data analysis using SPSS" Open University Press 2010

      35 Snow, C. E.,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National Academies Press 1998

      36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s of young American children" P. H. Brookes 1995

      37 McGee, L., "Literacy’s beginnings" Allyn and Bacon 1996

      38 Niklas, F., "Home-based literacy activities and children’s cognitive outcomes : A comparison between Australia and Germany" 71 : 75-85, 2015

      39 Leseman, P. P., "Home literacy : Opportunity, instruction, cooperation and social emotional quality predicting early reading achievement" 33 (33): 294-318, 1998

      40 Sulzby, 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the English language ar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0-313, 2003

      41 Baker, C. E., "Family and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school readiness among African American boys in kindergarten" 23 (23): 833-854, 2012

      42 Mclane, J. B., "Early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3 Landry, S. H., "Does early responsive parenting have a special importance for children’s development or is consistency across early childhood necessary?" 37 (37): 387-403, 2001

      44 Barnes, S., "Characteristics of adult speech which predic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10 (10): 65-84, 1983

      45 Britto, P. R., "Beyond shared book reading : Dimensions of home literacy and low‐income African American preschoolers’ skills" 2001 (2001): 73-90, 2001

      46 Dickinson, D. K.,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Young children learning at home and school" Paul H Brookes 2001

      47 Beals, D. E.,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Paul H. Brookes 75-92, 2005

      48 통계청, "2016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49 행정안전부, "2015년도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