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0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요한 방법으로 부상하였고, 바람직한 학교문화를 조성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가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요한 방법으로 부상하였고, 바람직한 학교문화를 조성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가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극적인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2017년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학습공동체는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비전공유와 협력학습’, ‘시간확보와 재정지원’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특히 중요한 요인은 비전공유와 협력학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장 교사, 교장, 교감, 그리고 초등학교, 공립학교,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원이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를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very important methods for school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Focu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ow to create the desirable school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very important methods for school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Focu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ow to create the desirable school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erefo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2017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belong t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which the policy has been actively promoted. The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oth the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pply of time and finan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Especially,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Head teacher s, principals, vice-principals, elementary schools, public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had an high influence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ased on these finding,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일환,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에 관한 연구 - 특성과 요인 분석 -"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301-320, 2003

      2 한희정, "혁신학교효과" 맘에드림 2015

      3 박세진, "혁신학교가 중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4 박수정,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01-230, 2018

      5 홍창남, "학교조직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25-554, 2012

      6 박삼철, "학교조직 변화과정 모델 탐색 : 학교조직문화와 기술구조적 접근의 수용적 통합"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0, 2005

      7 박수정,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2-462, 2013

      8 김민조,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87-113, 2016

      9 박영숙, "학교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0 이승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85-113, 2016

      1 정일환,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에 관한 연구 - 특성과 요인 분석 -"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301-320, 2003

      2 한희정, "혁신학교효과" 맘에드림 2015

      3 박세진, "혁신학교가 중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4 박수정,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01-230, 2018

      5 홍창남, "학교조직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25-554, 2012

      6 박삼철, "학교조직 변화과정 모델 탐색 : 학교조직문화와 기술구조적 접근의 수용적 통합"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0, 2005

      7 박수정,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2-462, 2013

      8 김민조,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87-113, 2016

      9 박영숙, "학교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0 이승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85-113, 2016

      11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12 이현명, "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 혁신학교 수업혁신 컨설팅을 위한 문화진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69-494, 2013

      13 임영애,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헌신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4 오지연,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교육연구원 32 (32): 213-242, 2016

      15 김예진,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6 송경오,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79-201, 2010

      17 위은주, "중학교 협력적 조직문화의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18 원효헌, "중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246-259, 2013

      19 정바울,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27-151, 2016

      20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가 학교혁신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 미국의 성공적 학교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19 (19): 133-153, 2012

      21 최진영, "서울형혁신학교의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22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형혁신학교 운영 기본계획"

      23 서울특별시교육청, "배움과 성장의 교원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계획"

      24 엄준용, "민주적 학교문화 요인과 학교효과성 요인 간 구조분석" 교육문제연구소 29 (29): 139-162, 2016

      25 맹재숙, "교육청 지원 학습공동체 참여 교사의 인식 분석: 자유기술응답의 키워드 동시출현빈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67-189, 2018

      26 박수정,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문화 형성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17

      27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28 이석열, "교사의 전문학습공동체 진단 척도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01-228, 2018

      29 김지현, "교사의 자발적 참여 동기와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청 지원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53-975, 2018

      30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31 이동배, "교사 공동체가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389-410, 2012

      32 김경현, "고등학교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초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학습공동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497-520, 2016

      33 DuFour, R., "What is a"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61 (61): 6-11, 2004

      34 Sergiovanni, T. J., "Supervision: A redefinition" McGraw-Hill 2007

      35 Hord, S. M.,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36 DuFour, 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ASCD 1998

      37 Stoll, 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7 (7): 221-258, 2006

      38 McLaughlin, M. W.,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learn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9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2012

      40 정바울,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재조명: 학교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67-188, 2011

      41 Bolam, R., "Creating and sustaining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5

      42 Harris, A., "Building leadership capacity for school improvement" Open University Press 2003

      43 서울특별시교육청, "2017년 상반기 학교현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