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on Adolescents’ Recovery 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flip learn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curriculum based on flipp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flipped learning on the adolescent’s resilience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75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Benjamin Inseong Gifted and Talented School from March to December 2016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brain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youth,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flipped learning for off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develop a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Second, because the brain education-bas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using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make rational and correct deci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personality education when adolescents choose and decide career and profess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rriculum based on brain education based on long-term and deliberate flipped learning as well as securing free-semester class or classroom hour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flip learn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curriculum based on flipp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fli...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flip learn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curriculum based on flipp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flipped learning on the adolescent’s resilience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75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Benjamin Inseong Gifted and Talented School from March to December 2016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brain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youth,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flipped learning for off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develop a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Second, because the brain education-bas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using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make rational and correct deci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personality education when adolescents choose and decide career and profess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rriculum based on brain education based on long-term and deliberate flipped learning as well as securing free-semester class or classroom hour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과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서로 접목함으로써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재학 중인 고등학생 중에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모두 실시한 2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학교부적응 학생, 문제행동 학생 등을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진로 및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할 경우 진로인성교육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유학기제 수업이나 진로교육 관련 수업시간 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장기적이고 계획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과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서로 접목함으로써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활용...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과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서로 접목함으로써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재학 중인 고등학생 중에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모두 실시한 2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학교부적응 학생, 문제행동 학생 등을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진로 및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할 경우 진로인성교육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유학기제 수업이나 진로교육 관련 수업시간 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장기적이고 계획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설진성, "활동이론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실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53-382, 2013

      4 성보훈, "행복증진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7 : 97-120, 2016

      5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6 서혜숙,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7 신봉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8 이은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한국종교교육학회 38 : 25-53, 2012

      9 최용성, "인성교육에 관한 긍정심리학적 성찰과대안적 인성교육의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95-124, 2016

      10 전희옥,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51-70, 2014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설진성, "활동이론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실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53-382, 2013

      4 성보훈, "행복증진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7 : 97-120, 2016

      5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6 서혜숙,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7 신봉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8 이은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한국종교교육학회 38 : 25-53, 2012

      9 최용성, "인성교육에 관한 긍정심리학적 성찰과대안적 인성교육의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95-124, 2016

      10 전희옥,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51-70, 2014

      11 박형빈,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3) : 141-194, 2013

      12 한일조, "도덕성에 대한 뇌과학적 연구성과와 도덕교육" 한국교육철학회 (36) : 307-338, 2008

      13 손경원,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과 핵심 역량 개발"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105-138, 2015

      14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15 박선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정미라, "뇌기반 교사교육이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81-399, 2015

      17 윤인경, "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강명숙,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2

      19 오흥미,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7

      20 권영주, "뇌교육 기반 인성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55-676, 2016

      21 신재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977-994, 2015

      22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23 신영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 영역 수업의 효과 탐색"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60-71, 2016

      24 정진아,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2015

      25 박태정,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81-97, 2015

      26 Bishop, J. L.,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2013

      27 Davies, R. S.,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61 (61): 563-580, 2013

      28 정 민, "Flipped Classroom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29 Johnson, L., "Effe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n secondary computer applications course: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questions and student achievement" University of Louisville 2012

      30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 Administration & Use Manual" McGraw-Hill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