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의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이경규(Lee, Kyung Gyu),안세훈(An, Se Hoon) 한국정보법학회 2014 정보법학 Vol.18 No.3

        인류의 역사는 ‘자유 신장을 위한 전쟁’이라 단언해도 좋을 만큼, 자유는 인류에게 중요한 가치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출현으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하였고, 인간의 편의를 위해 발전된 정보통신기술로 인해 장구한 역사 속에서 인류가 피 흘리며 쌓아온 자유가 침해되고 있다. 이미 빅데이터에 대해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이 수신자가 1∼10초내 메시지를 볼 수 있도록 제한한 ‘스냅챗’까지 등장하였다. 2014년 5월 이런 현실을 인식한 ECJ이 판결이 등장하였다. 이미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정책, 각 국의 법에 알게 모르게 ‘잊힐 권리’가 녹아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잊힐 권리’가 논의된 첫 판결이라는 점에서 이번 ECJ 판결의 의의가 크다. 많은 나라가 ‘잊힐 권리’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정보를 어떻게 통제하며, 누가 통제권을 행사할 것인지, 어떻게 행사할 것인지 등의 많은 문제들이 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정보의 Well-dying’이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CJ판결과 우리나라의 관련 현행법을 간략히 살펴본 후, ‘잊힐 권리’와 함께 ‘정보를 어떻게 Well-dying시킬 것인지’를 정보유형별로 나누어 논의하겠다. ‘잊힐 권리’를 포괄적으로 인정하게 되면 인류의 중요 가치인 자유가 과도하게 침해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성격에 따라 ‘잊힐 권리’의 행사가 차별적으로 인정되는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잊힐 권리’ 행사여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정보유형을 나눈 후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정보의 Well-dying’을 위한 입법적⋅ 기술적 해결방안을 논의하겠다. 정보의 Well-dying문제는 누가 정보통제권을 행사할수 있는지,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 인정할 것인지, 현재 기술 및 자치적 규정으로 해결 가능한지 여부 등에 관한 것으로 정보의 Well-dying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잊힐권리’가 실질적으로 행사될 수 있다. 현 ECJ판결도 ‘잊힐 권리’를 전면적으로 인정하지 않은 데에는 현재 구체적 개념, 근거, 내용 및 한계가 불명확한바 현실적으로 도입하기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인식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규제자의 책임성이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견제하기 위하여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상기하며,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의 유형에 따라 삭제권 인정여부를 법제화 한다면 ‘정보의 Well-dying’과 함께 잊힐 권리와 관련된 문제들을 보다 합리적이고 명확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As affirmed in the human history, Freedom is of very much importance; in the ubiquitous era, however, human rights and liberty are paradoxically threatened by the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e convenience of human beings; and for fear of big data abuses, people need a defensive application, such as ‘Snapchat’ where a message recipients are allowed only 1 to 10 seconds to see it. Under this climate, there comes a recent judgement of ECJ, the first case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While many countries recognize the needs for a ‘right to be forgotten’, yet does not acknowledge it explicitly, there are many problems not to be solved, such as how to control the information; who and how to exercise control; in other words, the ‘Well-dying of information’. In this paper, after briefly discussed the current laws and the relevant judgement of ECJ, some legal aspect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will be discussed; dividing the information type and how the information well die.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be recognized as limited and discriminato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rather than comprehensive right; therefore, we discuss the legislative and technological solutions for the’ Well-dying of information’ at each type of information divided by the subjects and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s; that are, who can exercise control over the information, whether to admit the extent of the degree, the current technology and autonomous regulation to resolve the debate about the ‘Well-dying of information’. Recent ECJ ruling also does not accept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 comprehensive right; because the concept, legal basis, scope and limita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not clear and much to be left for future discussion. Therefore,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information controller and regulation thereon; the legislation associated with the ‘Well-dying of information’ and ‘right to be forgotten’ based on the type of specific information will be able to clearly resolve the problems.

      • 구약성경의 웰 다잉(Well Dying)의 원리에 관한 연구

        김남일 ( Nam Il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6 생명과 말씀 Vol.16 No.-

        안락사에 대한 세계 각국의 논쟁을 뜨겁다 못해 경쟁적이기까지 하다. 2014년 벨기에가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들에 대한 안락사를 법으로 허용한 이래 세계 각국들은 안락사에 대한 논쟁에 불을 붙였다. 우리나라도 소극적 안락사를 법적으로 허용하는 나라가 되었는데(2016년 1월 8일) 이는 소극적 안락사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권의 남용이나, 환자 선택권의 오용을 불러올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안락사를 찬성하고 진보적으로 발전시키려고 하는 시대에 영향을 받는 그리스도인들을 향해서 성경적 웰 다잉이 과연 무엇인지, 그 원리는 무엇인지, 그리고 구약성경에서 웰 다잉을 하고 죽은 사람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안락사에 대한 간략한 서술을 한 후 구약성경이 생명과 고통, 죽음에 대해서 어떤 시각으로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많은 고통 가운데서도 고통의 영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평안한 죽음을 맞이했던 네명의 사람을 소개함으로 진정한 웰 다잉이란 고통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나의 생명을 내 마음대로 죽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안에서 고통과 죽음의 의미를 받아들이면서 주어진 삶을 최선을 다해서 살다가 하나님 안에서 죽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An argument on the Well Dying of the whole world are getting hotter and competitive. Since Belgium permitted the law for the well dying for under 18 age, many nations are getting participate to this argument. Korea also one of the permitted the adult well dying(passive) in the world(2016, 1, 8), it means we have a possibility to argue about the proceeding into the positive well dying. For example, mis(wrong)-using of the medical rights, choosing rights of the patients and it will be a cause of more serious ethical arguments. In this tim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biblical conception on the well dying in the Old Testament to all christian those who is getting influencer from the out of biblical sources include a few sample characters in the Bible. In chapter I described on the argument which are happening in the world. And in chapter 2, I introduced briefly about the well dying with a few arguments. In chapter 3, I tried to introduce about the conception of the life, pain and the death according to the OT standpoint. And in chapter 4, I mentioned on the well dying persons Abraham, Isaac, Joseph and king David. Ot is full of well died persons story. And finally in chapter 5, I made a conclusion on this article. This article is not focused on agreement or not to the well dying but focused on the conditions for the well dying based on the OT. Therefore it has a limitation like agreement or disagreement to the well dying. Rather I tried to survey the principals for the well dying according to the OT. True well dying is just not only choose problem but enjoy myself in God.

      • KCI등재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웰 다잉’을 중심으로

        서영준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0

        Dying with dignity is important, and relieving pain is also necessary. But if it is convenience, it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recent years, the health status of people has lived long, but it is a fact that they live long and painful lives. In the end, these long-term disease management and suffering result in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poverty. So ‘well-dying’ that is related to ‘hospi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this and a movement to improve quality of life. However, the studies discuss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seem to be relatively neglec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approach the various problems of hospice and death that are likely to occur in the well-dying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to develop the development methods required to settle the well-dying. For this study, I raise the issue of well-dying in three aspects. First, well-dying’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re the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appropriate? Seco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ell-dying: why is it well-dying, and is its understanding right? Third, the program aspect of well-dying: does the related program help to understand life and death? In the future,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Hospice and well-dying. First, there should be ways to support and participate politically so that active and positive cultural campaigns and promotions can be actively promoted from passive, negative, and idle death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urriculum so that it becomes an essential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rrect theology about the subjects related to well-dying. 품위 있는 죽음도 중요하고 고통을 완화시키는 일도 필요하지만, 단순히 편리성에 의해서 존엄사나 고통경감이라는 이름으로 생명에 접근하는 일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최근 사람들의 건강 관련 현황은 오래 살지만 아프면서 오래 살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이러한 긴 질병 관리와 고통은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빈곤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으로 ‘호스피스’와 관련된 ‘웰 다잉’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응과 관심에 비하여 비판적인 관점에서 논의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듯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와 죽음의 문제―웰 다잉에서 발생할 여지가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올바른 웰 다잉을 정착시키는데 요구되는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3가지 측면에서 웰 다잉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자 한다. 첫째, 웰 다잉의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 측면―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은 적절한가? 둘째, 웰 다잉의 의미 이해 측면―왜 웰 다잉이며, 그 이해는 바른가? 셋째, 웰 다잉의 프로그램 측면―관련 프로그램들은 생과 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게 하는가? 앞으로 호스피스와 웰 다잉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소극적이고 부정적이며 안일한 죽음 문화로부터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문화 캠페인과 홍보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후원하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필수교과목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웰 다잉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올바른 신학 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웰다잉(Well-daying) 인식과 태도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순분 ( Kim Sun-bun ),이재모 ( Lee Jae-mo ) 대한정치학회 2022 大韓政治學會報 Vol.30 No.2

        본 연구는 웰다잉에 대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웰다잉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하위요인별로 분석하여 웰다잉에 대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30부를 실시하였으나 사용하지 못하는 30부를 제외한 20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는 2021년 11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조사자 2~3명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웰다잉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노인들이 웰다잉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웰다잉 인식의 하위변인인 임상 증상, 친밀감, 통제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는 하위변인 죽음 불안, 죽음 수용, 죽음 준비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웰다잉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규명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회 최대의 관심사인 웰다잉에 대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데에 기초자료로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well-dy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by sub-factors in order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for well-dying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for well-dying. To this end, 230 copies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but 200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30 copies that could not b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November with the help of 2-3 investigat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of the survey subjects' well-dying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seems to be high. This can be said that the elderly are actively working to raise awareness of well-dying, and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death,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linical symptoms, intimacy, and sense of control, which are sub-variables of well-dying perception, which are variable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attitude toward dea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ub-variables such as death anxiety, death acceptance, and death readines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for well-dying, the biggest concern in modern society, based on the fact that well-dying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death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웰다잉(well-dying)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죽음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손민서(Min Seo Son),윤지아(Ji Ah Yu)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는 웰다잉(well-dying)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과 타전공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최종 간호대학생 55명, 타전공대학생 52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11일까지로 주 1회 1시간씩 2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는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인 ‘죽음에 대한 불안(F=4.92, p=.029)’, ‘죽음에 대한 부정(F=10.03, p=.002)’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관심도(F=13.91, p<.001)’, ‘죽음에 대한 긍정도(F=29.17, p<.001)’, ‘죽음에 대한 생명존중의지(F=5.80, p=.018)’와 ‘웰다잉에 대한 인식(F=11.11, p=.001)’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그룹 별 차이로 간호대학생은 ‘죽음에 대한 관심도(t=2.92, p=.005)’, ‘죽음에 대한긍정(t=5.06, p<.001)’, ‘생명존중의지(t=2.26, p=.028)’, ‘웰다잉에 대한 인식(t=2.67, p=.010)’ 향상에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타전공대학생은 ‘죽음에 대한 부정(t=-2.91, p=.005)’, ‘죽음에 대한 관심도(t=2.35, p=.023)’, ‘죽음에 대한 긍정(t=2.62, p=.012)’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to confirm the effect of a well-dy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youth. The study design was a two-group pre-post design,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5 nursing students and 52 non-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4 to October 11, 2021, once a week for 1 hour for 2 weeks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of death', and 'Denial of death'. A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beneficial effect significantly improves 'Interest of death', 'Positive of death', ' Will to respect life', and 'Perception of Well-dying' in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by group differences, nursing students had ‘Interest of death’, ‘Positive of death’, and ‘Will to respect life’ and ‘Perception of Well-dy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College students in other majors had ‘Denial of death’, ‘Interest of death’, and ‘Positive of death’ ha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is study,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 can be expanded and applied to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us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 among them positively.

      • KCI등재

        은퇴 노인의 체육활동을 통한 재사회화가 웰니스와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Lee, Seung-Hee)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5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ocialization through sports activities on wellness and well-dying awareness among retired senior citize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72 retired senior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 have a higher level of wellness than women do. Training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physical wellness; competition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intellectual wellness and social wellness; outdoor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wellness. Group with higher fitness level has a higher level of wellness. Second, men have a higher level of well-dying awareness than women do. Competition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well-dying awareness in social dimension; training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well-dying awareness in physical dimension. Group with higher fitness level has a higher level of well-dying awareness. Third, it is found that resocial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ellness. As for the predictive value(R²) of resocialization on wellness, physical wellness is 28%, intellectual wellness 14%, social wellness 24%, spiritual wellness 21% and emotional wellness 18%. Fourth, it is found that resocial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ell-dying awareness. As for the predictive value(R²) of resocialization on well-dying awareness, social dimension is 19%, physical dimension 26%, mental dimension 20%, and spiritual dimension 15%.

      • KCI등재

        한국과 주요국의 웰다잉(Well-dying) 지원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김경아(Kyoungah Kim)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본 연구는 주요국의 웰다잉(Well-dying) 지원정책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도 관련 해외사례 연구를 통해 주요국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필요한 개선방안과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사례 연구 결과, 주요국들은 사회 구성원의 죽음의 질을 개선하고 웰다잉(Well-dying)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지역포괄시스템과 재택 케어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었다. 또한, 웰다잉(Well-dying) 지원 관련 시설 간 연계 및 다각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상호연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이 제시하고 있는 죽음의 범주가 매우 협소하며,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하기보다는 하나의 이벤트로 간주하여 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따라서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과 연관성이 깊은 웰다잉과 좋은 죽음의 준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우리 역시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무엇보다 현재 국내 제도가 관심을 두고 있는 웰다잉 서비스의 영역이 협소하다는 점은 한계점이며, 심리·사회 영역과 관련한 정책적 관심 역시 아직 부족한 상황이므로, 죽음을 회피하기보다는 삶의 한 요소로 편하게 논의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남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강화와 정책적 기반 마련 역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점진적으로 큰 틀에서의 현재의 관심 대상과 영역의 협소함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주요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도록 발전시켜 좀 더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웰다잉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trends in major countries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related to well-dying support policies an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systems in major countries, and draws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 to suggest necessary improvement measur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s a result of overseas case studies, major countries are promoting the provision of services centered on regional comprehensive systems and home care centered on regional base hospit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of members of society and support well-dying. In addition, a system was established to connect facilities related to well-dying support and provide diversified services, as well as provide an interconnection network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scope of death proposed b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is still very narrow, and death is regarded as an event rather than a continuum of life, and the minimum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required for this is established. Therefore, we also need to gradually exp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o that well-dying and preparation for a good death,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progress of aging, can be realized. Above all, it is a limitation that the area of well-dying service that the domestic system is currently interested in is narrow, and policy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reas is still lacking, so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discuss death as an element of life rather than avoiding death.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positive social atmosphere, strengthen services for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prepare a policy foundation.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efforts to gradually overcome the narrowness of current interests and areas in a larger framework.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more diversified and comprehensive well-dying support can be achieved by developing it to suit our situation by referring to the cases of major countries.

      • KCI등재

        그리스도인의 성경적 웰다잉 필요성 연구

        전영재 ( Jeon Yeong Jae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2

        현재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죽음을 잘 준비할 것인가의 문제가 노년의 주요한 과업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는 그리스도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이 웰다잉이라는 동일한 명칭 아래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웰다잉’과 구별되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가진 명칭 ‘성경적 웰다잉’을 제안한다. 웰다잉은 인간의 주체성이 삶을 추동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좋은 죽음이라는 인생의 결과를 위하여 준비하는 것이다. 성경적 웰다잉은 그리스도인이 영생을 바라보며 말씀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의 주권을 나타내며 살아가는 것이다. 성경적 웰다잉 교육은 Jay. E. Adams의 권면적 상담에서 주장한바, 진리의 말씀을 직접적이고 인격적으로 권면하는 방법을 취하여야 한다. 성경적 웰다잉 프로그램의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은 인간의 삶과 죽음, 영생, 천국과 지옥, 죽음에 대한 태도, 성화된 삶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성경적 웰다잉 프로그램 참가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며 영적 싸움에서 최선을 다하는 성화된 삶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는 말씀으로 새로워지고 그리스도를 본받아 행하며, 기뻐하고 감사하며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태도를 의미한다. As the Republic of Korea entered a super-aging society and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the question of how to prepare for death well became one of the main tasks of old age. Currentl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Christians and the general public is similarly conducted under the same name of well-dying. This study proposes the name 'biblical well-dying', which has a Christian identity distinct from 'well-dying'. Well-dying is to prepare for the outcome of life, a good death, in which human subjectivity drives life and protects human dignity. Biblical well-dying is when a Christian looks at eternal life and lives by expressing the sovereignty of Christ only according to the words of the Bible. Biblical well-dying education should take the method of directly exhorting the Word, as Jay. E. Adams insisted in nouthetic confrontation. The content of the biblical well-dying program should include human life and death, eternal life, heaven and hell, attitudes toward death, and sanctified life. Through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biblical well-dying program distinguish God's will and move on to a sanctified life that does their best in spiritual battles. This refers to the attitude of Christians in life that is renewed by words, modeled after Christ, rejoices, appreciates, and wins.

      • KCI등재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중심으로

        김춘남,박수현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ell-dying projects of local communities preparing for an aging society, review the feasibility of linkage with home-based elderly welfare projects and identify methods to do so by focusing on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identify the role of communities in supporting well dying program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ell-dying culture creation, and related policies in one province were analyzed. In addition, written or face-to-face advisory meetings were conducted on 7 occasions with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explore the community’s role in providing well-dying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well-dying projects operated mainly by local governments was confirmed, as well as the services and programs linked to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econ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pert opinion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linking p rojects, prepare a c urriculum that c onsiders t he c haracteristics of t he s ubject, prepare a c lear b asis f or providing well-dying services, take a step-by-step approach, and confirm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ell-dy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t the end of life, it is important to advance and systematize the project so that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access quality well-dying programs through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perating system for well-dying projects and programs so that service users and providers can understand well-dying culture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for each situation. 목적: 본 연구는 에이징 솔로사회를 대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웰다잉 사업을 살펴보고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재가노인복자사업과의 연계가능성을 검토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을 규명하기위해 1개 도의 재가노인복지사업 현황과 웰다잉 문화조성및 관련 정책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웰다잉 지원과 관련된 지역사회역할을 탐색하기 위한 서면자문 또는 대면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웰다잉 사업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재가노인복지사업과 연계가능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사업간 연계를 위한 협력체계구축,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커리큘럼 마련, 웰다잉 서비스제공에 근거와 필요성을 명확한 근거 마련과 단계적 접근, 급속한 고령화 속에 늘어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생애말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매노인을포함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노인이 재가노인복지사업을 통해 양질의 웰다잉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고도화되고 체계화해야 한다. 또한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 및제공자가 각기 상황에서 웰다잉 문화를 이해하고 적절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웰다잉 사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웰다잉 교육에 대한 학습효과 평가

        유복희(Yoo, Bok-Hee),이민아(Lee, Min-Ah) 한국생활과학회 2019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 and post-class learning effects based on the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s well-dying,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its space plann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ducation of future death and the well-dying space. This study used 82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a liberal arts course jointly organized by K University and U University as subjects.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 said course, a group survey was carried out, then classes were held for six weeks on topic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death, slow medicine, intimate environment, well-dying places, well-dying moments, and making well-dying boards. Subsequently, on the seventh week, the opinions were gathered again through the identical survey conducted earli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well-dying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grew more positive, diverse, and specific in the post-class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class survey. 2)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re- and post-clas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space indicated that the planning for the safe space related to the barrier-free facilities and the spac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privacy that respects the patient’s personal life were enhanced with regard to the physical planning elements and the emotional planning elements, respectively. As for the social planning elements, an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space planning that respects the space where the families enjoy together as well as the space for social activities, while the importance as to the space that provides spiritual comfort in respect for human dignity has been strengthened for the spiritual planning elements. 3) Based on the basic premise that the well-dying is about accepting human dignity and preparing for death, and that the well-dying space should be provided with measures and support that fully respec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the patient, the study clearly displayed that changes in the awareness of certain ‘well-dying spaces’ are obtainable throug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