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들의 플랫폼 창의 노동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창의 노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안서경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8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많은 청소년들이 쉽게 플랫폼 창의 노동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에도 이들의 활동은 대개 취미나 오락 활동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들의 콘텐츠 생산 활동을 '플랫폼 창의 노동'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출발하며, 이들의 활동을 디지털 창의 노동, 무임⋅자유노동(Free labor), 동기, 자아존중감 등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하여 청소년 플랫폼 콘텐츠 생산자들을 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들의 콘텐츠 생산자들의 노동 환경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생산 동기는 무엇인지, 또 청소년들이 콘텐츠 생산자로서 생산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며, 어떤 태도로 임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플랫폼 창의 노동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창의 노동 경험과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 태도 등을 심도 있게 포착하고자 일대일 심층 인터뷰 방식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생산 활동이 노동으로 정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콘텐츠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게는 일주일이 걸리며, 빈도 또한 주 단위의 규칙적인 생산량을 지키며 직업적 크리에이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본인 채널만의 정체성과 콘셉트를 구현하고 시청자 유입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있었다. 또한 콘텐츠 생산 및 구독자와의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책임감이 발현되고, 자기 스스로 노동의 형태를 만들고 관리하는 자기통제적인 모습과 구독자와의 소통 노동을 하는 창의 노동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해 알아본 바와 같이 청소년 플랫폼 생산자들에게서도 창의 노동의 자율성, 창의성, 유연성과 같은 좋은 특성과 부담감, 불안감과 같은 나쁜 특성이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청소년 콘텐츠 생산자들도 직업적 콘텐츠 생산자들과 비슷한 노동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미디어를 이용, 생산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찾고 연소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가 단서가 되길 바란다. In today's digital media world, many teenag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creative labor market, but their activities are often viewed as hobbies or entertainment. This study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content production activities as "platform creative labor". It aim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youth platform content producers by exploring their activiti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digital creative labor, free labor, motivation, and self-esteem. This study explore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ctual conditions of youth content producers, examines their motivations for production, how they perceive their production activities as content producers, and their attitudes, and analyze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latform creative labor on youth.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one-on-one interviews to capture teens' feelings and attitudes about their creative work experiences and proc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ntent creation activities on media platforms ha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efined as labor. The time spent on content production, which can take up to a week, and the frequency of uploads, a regular weekly output, are comparable to those of professional creators. Creators also use their creativity to create an identity and concept for their channel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attract viewer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work were found to be self-controlle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produce content and keep promises to subscribers, self-directed, with the ability to shape and manage their own work, and communicative work with subscribers. As the research questions suggest, the goo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labor, such as autonomy, creativity, and flexibility, and the bad characteristics, such as pressure and anxiety, are simultaneously manifested in adolescent platform producer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dolescent content producers engage in work processes similar to those of professional content producers. Therefore, this study is likely to provide clues for finding train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properly use and produce media, and for establishing mechanisms to protect young workers.

      • 동시대 국악인의 창의 노동 : 다중직업, 불안정성, 자율성

        김예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4

        본 연구는 동시대 국악인을 창의 노동 관점을 통해 바라보고자 하였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문화 산업이 디지털화되면서 창의 노동은 더 이상 미디어 산업 내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국악인은 전통음악가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대중문화산업과 미디어 환경에서도 새로운 시도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며 자신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창작음악을 생산하는 일뿐만 아니라 방송, 유튜버, 교육자 등 유동적인 노동 형태를 수행하는 다중직업 종사자이다. 다만 이들을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 노동자보다, 전통음악을 계승 및 전승하는 존재로 바라보는 시각 또한 존재한다. 이는 무형문화재로서 보호되는 국악의 장르적 특수성에서 기인한다. 창의 노동 개념을 통해 국악인을 조명하는 것은 전통의 위계가 작동하는 국악계와 새로운 콘텐츠 생산에 기반한 문화산업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국악인의 이중적이고 불안정한 노동 및 창작 환경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인을 다중직업 창의 노동자로 규정하여 국악인들의 다중 노동 형태를 이해하고 이들이 어떻게 문화산업과 전통 국악계 사이에서 자율성을 조율하고 타협하며 불안정한 노동 상황에 대처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세 가지 측면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10명의 국악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다중직업은 어떻게 구성되고 연계되는가?”이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이 다중직업을 가지며 문화 산업 내에서 인식하는 불안정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수용하는가?”이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은 “ 문화 산업 내에서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자율성은 어떻게 타협되는가?”이다. 국악인의 창의 노동 분석 결과는 크게 다중직업, 불안정성, 자율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 국악인의‘전통음악 일’과 ‘창작음악 일’을 구분하여 활동하는 것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인의 불안정성은 ‘경제적 불안정성’,‘커리어 불안정성’,‘정체성 혼란’으로 파악 된다. 문화산업의 불확실한 노동 환경은 안정적인 커리어와 경제적 보상을 받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국악인은 더 많은 다중직업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악인은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었고 이는 다시 정체성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셋째로, 국악인의 자율성은 전통 국악계의 권위보다 자신의 창작에 주안점을 두며 자기 결정권을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원형주의로부터 창작의 자유'와 '상업적 시장의 압박에서의 자유'가 동시에 교차한다는 지점이 여타 창의 노동자의 자율성과 가장 다른 차이점이다. 이러한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타협의 전략은 '국악의 원형주의'와 '상업적 시장의 요구'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었다. ‘전통음악 일과 창작음악 일을 병행’하는 것이 국악의 원형주의에서의 자율성을 유지하는 핵심 방안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적 시장에서 자율성을 타협하는 방안으로는‘자신만의 장르 구축’, ‘자체적 음반 제작과 유통’, ‘해외 시장 진출’과 같은 전략적 방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국악계의 풍토와 창작환경의 변화에 국악인들이 어떻게 적응하고 또한 새로운 시장과 창작물을 개척하는지 보여준다. 이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국악인의 면모라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연구 주제인 창의 노동이 가진 한계와 가능성을 국악인이라는 대상 속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labor. With the digitalization of cultural industries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trend, creative labor is no longer confined solely to the realm of media industries.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moving beyond the image of traditional musicians, engage in diverse activities not only in creating music based on their creativity but also in various fluid forms of labor such as broadcasting, YouTube content creation, and education within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and media environment. However, there exists a perspective that views them not as creative laborers generating new artistic values but as entities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raditional music, stemming from the specific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ing recogniz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s multi-job creative laborers, understand the various forms of their multi-faceted labor, and analyze how they navigate and cope with the dual and unstable labor and creative environments situated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ndustry and the emerging content production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xamines how the multi-job creative lab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s structured and interconnected. The second question investigates how these musicians accommodate the instability of their multi-faceted labor. The third question explores how autonomy as creative laborers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is negotiated.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lab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multiple jobs, instability, and autonomy. Firstly, distinguishing betwee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emerged as a significant fea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s creative laborers. Secondly, the instability experienced by these musicians can be seen as economic instability, career instability, and identity confusion. The uncertain labor environment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made it challenging to achieve stable careers and economic rewards, leading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o undertake multiple jobs, resulting in identity confusion. Thirdly, autonom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volves prioritizing their creative work over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al music industry, enhancing their decision-making power. The intersection of 'freedom from traditional conservatism' and 'freedom from commercial market pressures' stands out as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autonomy of other creative laborers. The strategies to maintain this autonomy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maintaining autonomy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by balancing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compromising autonomy in the commercial market through strategic approaches such as ‘building one's own genre,’ ‘producing and distributing independent albums,’ and ‘expanding into foreign markets.’ This study illustrates how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dapt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music industry and creative environment, exploring new markets and creative work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shedding light o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hat have been overlooked until now. Furthermore, it delves deep into the subject of creative labor, a soci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research topic,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highlighting both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조형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69

        이 연구는 제도권 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받은 무용수의 예술 노동에 대한 탐구이다. 한국에서 무용은 강한 제도권 교육과 재생산 시스템을 갖춘 순수예술의 형태로 예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예술 작업들을 정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문화연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무용 제도권 교육이 형성하고 있는 예술 장을 바탕으로 무용수가 어떻게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용 작업들을 하나의 예술 노동으로서 인식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 과정에서, 젊은 무용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예술계 내부에서의 노동 현실을 드러내고, 그들이 그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협상해 나가는지 고찰하였다. 주로 20대에서 30대에 걸쳐있는 아홉 명의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 인터뷰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먼저 무용수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직업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며, 예술계 내부의 아비투스를 습득하게 된다. 특화된 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무용과라는 제도권 교육을 거치며 무용수는 완벽하게 예술계의 내부인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에서 형성된 도제적 권력관계는 무용수의 예술 노동을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무용수와 안무가의 비예술 노동은 예술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예술가의 예술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비예술 노동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비예술 노동으로 인해 예술 노동이 소진되거나, 훼손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용수들에게 있어 가장 접근성 높은 ‘비예술’ 노동은 레슨이지만, 제도권 교육이라는 문화자본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제도로부터 탈주하기를 원하는 무용수들은 예술과 완벽하게 상관없는 노동을 통해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왜곡된 노동 상황에서 무용수와 안무가는 자기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과 경합하고 ‘창조적 욕망’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간다.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작업을 지속하게 만드는 정동은 비물질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욕망’이다. 여기에서 예술가들의 정동적 노동이 하나의 새로운 ‘노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 노동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예술 노동을 문화연구적으로 접근하면서, 이전까지 노동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예술이 하나의 노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특히 문화산업의 조직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문화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화산업 노동자 연구에서 노동자성에 가려 완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창작에 대한 욕구와 그 정동을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하나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구체화하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스스로에게 가지는 노동자성과 그 왜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논의를 시도했다. 더 나아가 예술가들의 복지와 노동 상황에 대한 인식이 이제 막 시작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는 예술 노동과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cultural study on artistic labor of dancers who have been trained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dance, as a form of fine art, is sustained by standardized institutional systems of education that perpetuate this education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no cultural study on how dancers and choreographers ob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define their artistic work as in terms of a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dancers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cknowledge their dancing as artistic labor in this field of art that is based on such institutionalized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labor climate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rt world to which young dance artists encounter,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conditions. Apply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9 dancers or choreographers who have experience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finding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ancers obtain habitus of the art world to which they belong while they have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rtists based o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rained in art-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ancers have well-developed as insiders of the art world. In apprenticeship of thi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dancer provides grounds to deteriorate value of artistic labor; price for artistic labor. Next, dancers’ and choreographers’ non-artistic labor is an crucial factor that upon occasion determines whether they are able to continue their artistic labor. Many artists engaging in non-artistic labor for their living experience their art labor seems to disbenefit because they are exhausted or depleted in engaging in their non-artistic labor. The most feasible non-artistic labor for dancers is giving lessons. However, dancers who do not have the cultural capital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 or who want to avoid these institutions have to seek labor that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ir art practice in order to earn a living. La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struggle to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regarding disadvantageous labor situation by pursuing their own creative desire. An affect that allows dancers and choreographers to continue their art work is this ‘creative desire', which has art work to be included the boundary of non-material labor. In order to have artists' affective labor be acknowledged as a new form of labor, social agreement concerning artistic labor is necessary. Approach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tistic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how art work has been established as a kind of labor. By performing cultural research on fine art, which is less-industrialized, I aimed to analyze artists’ yearning and affect for creation, which were mostly igno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labor of the cultural industry. We attempted to generate discussions that may change labor situations artists faces in reality, by investigating how artists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n arti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iscussion of artistic labor and its social values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pay attention to artists’ welfare and labor.

      • 대중음악산업 내 기획자의 노동자 정체성 : 창의노동, 관계노동,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이상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031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dentities of workers those who are involved in the cultural industries, especially popular music and concert producer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ir unique status which have not been noticed so far. Until now,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ies called those workers in the cultural industries as creative laborers,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creativity rather than consuming resources, the cultural industries are consistently requesting high-intensifying labor to the laborers which has been highly exploitative.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identity of a labor in the field by clarifying the elements of the labor and the actual labor structure of the laborers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work of laborers is not only involved in creative labor, but also social that includes relationship and emotional labor, through the interviews with 18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for more than 5 years,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labor of the participants,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identity and the process of actual work. The relationship and emotional labor are the composing element of participants which has not been noticed so far. In the meantime, the cultural industries are called as “Industries” and a lot of added value and economic value has been recognized while the reality is that a compensation system is not established since many composing elements of work has not been converted into economically.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he hidden parts of cultural industrie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work of music and event producers, and change industry and academic perception, in turn to urge in making practical movement to build compensation system for the work of music and event producers which has been neglected so far.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본 연구는 문화산업, 특히 대중음악 및 공연 기획자들의 노동자 정체성을 탐구함으로써, 그간 주목 받지 못하던 기획자들의 독특한 지위와 관련한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간 문화산업과 관련한 연구들은 문화산업의 노동자를 창의노동자로 호명해왔으며, 소모되는 자원이 아닌 창의성의 특질로 인해 문화산업의 노동은 지속적으로 강도 높은 노동을 요구하며 고도로 착취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산업 내 기획자들의 노동의 요소와 실질적인 노동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현장에서 진행되는 노동의 정체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중음악 산업에서 5년 이상 일한 18명의 기획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기획자의 노동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으며, 노동자 정체성의 구조와 실질적인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기획자의 노동을 창의노동 뿐 아니라, 관계노동 및 감정노동이 포함된 사회적 노동임을 밝히고자 한다. 관계노동과 감정노동은 그간 주목받지 못한 기획자 노동의 구성 요소들이다. 문화산업이 ‘산업’으로 불리면서 많은 부가가치와 경제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반면, 노동의 많은 구성 요소들이 경제적으로 환산되지 않아 보상체계가 성립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획자의 노동에 대한 개념확장을 통해서 문화산업의 가려진 노동의 많은 부분을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산업과 학계의 인식 변화와 관심 받고 있지 못한 기획자들의 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구축을 위한 실천적 움직임을 촉구함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영화와 국가 사이의 창의 노동 : 영화진흥위원회 직원의 경험과 정체성

        양소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77

        본 연구는 한국 문화예술 공공기관 중 하나인 영화진흥위원회의 역사적, 구조적 변화를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의 경험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중심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 거버넌스 체계와 그 한계를 고찰하며, 한국적 맥락의 창의 노동 관점에서 직원들의 경험 분석을 시도한다. 1973년 설립되어 국가 주도의 영화 정책을 시행해 온 영화진흥공사는 개방화와 신자유주의라는 외부적 환경, 영화산업의 성장과 시민 사회의 요구를 바탕으로 1999년 영화진흥위원회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는 영화 정책 거버넌스 체계의 대대적 변화 중 하나였을 뿐 아니라, 국가 주도의 한국의 문화예술 정책 체계가 위원회, 공공기관의 민간 전문가 중심의 거버넌스 체계로 변화한 사례였다. 이후 영화진흥위원회는 ‘1999년 체제’를 바탕으로 영화산업계와 협력하며 유의미한 정책 성과를 거둔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영화산업 구조는 대기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향력은 약화된다. 또한 2013년 부산으로의 본사 이전, 2016년 블랙리스트 사태는 영화진흥위원회와 영화계의 관계를 악화시키며 영화진흥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역할이 크게 약화된다. 더욱이 2020년 본격화된 코로나19 팬데믹은 극장 산업을 크게 축소 시켰고, 영화진흥위원회는 새로운 정책 방향과 역할을 모색해야 하는 중대한 시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영화진흥위원회가 겪는 거버넌스적 한계가 무엇인지 추적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의 경험에 주목한다.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은 오랜 기간 근속하면서 영화 정책에 참여하고, 고민해 온 주체들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영화진흥위원회의 직원들은 1999년 체제의 성공을 통해 영화계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영화인이자, 지원 기관 행정인으로서의 성취감을 쌓아왔지만, 점차 산업과 분리되고, 국가로 인해 그 독립성이 제한되며 자율성과 전문성의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국가와 영화라는 상이한 세계를 연결하며 역할 갈등을 겪는 모습도 발견되는데 이는 국가 주도의 한국적 창의 산업 환경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창의 노동자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입사 시기와 경험에 따라 직원들의 정체성과 성취감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영화진흥위원회의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적극적으로 고민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각 분야의 공공기관을 통해 실현되는 국내 문화예술 정책은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독립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모한 듯 보이나 여전히 국가의 개입과 요구를 벗어나기 어려운 제도적 한계를 갖는다.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은 영화계에 대한 지원과 국가의 모순적 요구 속에서 역할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속에서 다양한 직업 경험과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Korean Film Council, one of the public institutions for culture and arts policy, through the experience of Korean Film Council(KOFIC) employees.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 policy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and attempt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employee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labor in the Korean context. Established in 1973 and implementing state-led film policies, Korea Motion Picture Promotion Corporation(KMPPC) was newly launched in 1999 as KOFIC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market opening and neo-liberalism, the growth of the film industry and the demands of civil society. This was not only one of the major changes in the film policy governance system, but also an example of a change from a state-led culture and arts policy system in Korea to a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private experts in committees and public institutions. Since then, based on the '1999 system', the KOFIC has cooperated with the film industry and achieved meaningful policy outcomes. However, since the mid-2000s, the structure of the film industry has changed to center on large corporations, and the influence of KOFIC has weakened. In addition, the relocation of the headquarters to Busan in 2013 and the Blacklist incident in 2016 wors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FIC and the film industry, and the role of the KOFIC in governance was greatly reduced. Moreover,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earnest in 2020, greatly reduced the theater industry, and KOFIC has reached a critical time to seek new policy directions and role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KOFIC employees in order to track down the history and governance limitations of KOFIC. Employees of the KOFIC have participated in and agonized over film policy while working for a long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success of the system in 1999, KOFIC employees have been communicating closely with the film industry and build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filmmakers and support institution administrators. But they lose their independence from the state and lose their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t is also found that there is a role conflict connecting the different worlds of the state and the film industr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new creative worker character created in the state-led environment of Korean creative industry. The identity and sense of accomplishment of employees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ime and their own experience. And it can be seen that KOFIC employees are actively contemplating new policy directions in many ways. Korean culture and art policies realized through many public institutions in each fields. It seems to hav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specting independence and autonomy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they still have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escape the intervention and demands of the state. KOFIC employees are experiencing role conflicts in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the state and support for the film industry, and it is found that they compose various job experiences and identities in state-led Korean creative industry environment. Although the identity and sense of accomplishment of employees are changing according to generation and experiences, it can be seen that each employee seeks alternatives and pursues a new policy direction for the KOFIC.

      • 웹툰 산업 속의 '보이지 않는 노동' : 인공지능(AI) 시대 웹툰 보조작가의 노동을 중심으로

        이미몽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76

        이 연구는 웹툰 산업 내에서 보조 인력으로서 일하고 있는 ‘웹툰 보조작가’ 직군에 대한 탐구이다. 웹툰 보조작가는 현재 웹툰 업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학술적 논의는 드물다. 이 연구는 보조작가의 '보이지 않는 노동'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 플랫폼 노동, 문화산업 내의 창의노동으로서 보조작가들이 어떠한 노동 환경에서 어떤 노동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보조작가들의 노동과 웹툰 산업 속의 '보이지 않는' 직군에 대해 조명하고, 웹툰 노동의 현재와 구조적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측면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미시적 관점에서의 생산자 연구로서 웹툰 보조작가 1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웹툰 산업 규모 확장과 생산 구조의 변화에 따라 보조작가들의 노동 조건과 역할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보조작가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이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웹툰 수용 방식의 변화가보조작가들의 노동 조건과 역할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보조작가는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연구 질문은 '웹툰 산업의 AI 기술 활용에 대해 보조작가는 어떻게 인식하는가? AI 기술이 이들의 노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AI로 대체될 위험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보조작가의 '보이지 않는 노동'의 문제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노동 파편화와 노동의 불안정성'이다. 웹툰 제작 공정의 일부로써 분절되고 잘게 쪼개진 노동으로 투입되는 보조작가들은 완성된 작품에서 그들의 노동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노동 강도나 업무량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측정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불안정하고 취약한 노동 환경 속에서 저임금의 노동을 수행하게 된다. 둘째는 '창작 주체성의 상실'이다. 보조작가는 플랫폼의 통제와 간섭 아래에서 자발적으로 웹툰 창작자로서 자기실현을 하고자 하는 자아를 약화시키고, 노동자로서의 자아를 강화시킨다. 이로 인해 자기소외의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는 '크레딧 확보의 어려움'이다. 보조작가는 자신의 이름을 알리고 그들의 노동을 인정받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완성된 작품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지 못 하고, 이로 인해 불연속적인 경력과 고용에 대한 불안을 느낀다. 게다가 크레딧의 부재는 보조작가들 스스로가 자신들이 수행한 노동과 참여한 창작물에 대한 거리감과 괴리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웹툰 보조작가의 노동 경험과 그들이 겪고 있는 노동 문제에 대해 자세히 드러내면서 웹툰 산업의 '보이지 않는 노동'을 구체적으로 조명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 노동, 문화산업 내의 창의노동을 수행하는 직군들에 관한 논의와 담론들까지 확장하고자 한다. 유연하고 독립적이며 자유로운 창의노동자인 것처럼 보이는 직군의 종사자들이 사실상 열악한 환경 속에서 노동 불안정성을 느끼고, 그들의 창작 주체성을 잃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취약성이 인공지능(AI) 기술과 같은 급진적인 기술 발전에 의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연구는 웹툰 보조작가의 노동 경험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알아보고, 객관적인 노동 현실과 작가들의 주관적인 인식과 태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웹툰 보조작가들은 물론, 다양한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보조 생산 인력들의 노동 가치가 재평가 받을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노동’의 현실을 드러내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 연구를 통해 웹툰 보조작가들의 ‘보이지 않는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고 이들이 자신의 크레딧을 확보하여 경력을 쌓아가는데 도움이 되고,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Essays on Labor and Health Economics

        Hyeonbo Sim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68141

        The first chapter is about the effects of a universal childcare subsidy (UCS) on maternal labor supply and fertility in South Korea, which has experienced sharp reductions in fertility rates. Our difference-in-differences and synthetic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es show little evidence that the subsidy increased maternal labor supply and total fertility rates. Additionally, there is no evidence of an effect on parents’ welfare measured by subjective well-being. Compared to studies on government childcare subsi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countries with relatively higher fertility rates—our study sheds new light that government subsidies for childcare may play a limited role in encouraging maternal labor supply or fertility in countries with high childcare costs. The second chapter has a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smartphone ownership and their cognitive and non-cognitive develop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SWB) in South Korea (Korea). Our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pproach shows that children’s smartphone own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ability of “openness” in a creativity category measured for cognitive development. Compared to stereotypes of smartphones on the negative association with children’s creativity, our study sheds new light that some creativity part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martphone ownership, the association with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by being exposed to more existing content. Moreover, the approach verifies that children’s smartphone ownership is posi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ability to “overcome” and “diligence” measured in GRIT for non-cognitive develop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s can also positively benefit children’s non-cognitive development while negatively affecting children's non-cognitive development. Furthermore, we suggest that smartphone ownership can have an opposite association with maternal SWB (negative) and children’s SWB (positive). This sheds new light on the association of new parental input, smartphones, cognitive and non-cognitive development, and SWB. Additionally, by giving evidence that children’s smartphone own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ternal life satisfaction, we raise questions about the supervision costs with mother-biased parenting in Korea and the well-being of the parents who provided the smartphones, whose SWB of one of them was reduced.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VID-19 on Christians’ subjective well-being and risky behavior in South Korea (Korea), which experienced churches shut down in March 2020. Our difference-in-differences (DID) approach shows little evidence that the effect of COVID-19 on expected life satisfaction in 5 years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the DID approach shows that COVID-19 decreases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Christians engage in risky behaviors, such as drinking more alcohol and smoking more cigarettes, as another effect of COVID-19.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short-term negative impact of COVID-19 on SWB for Christians by showing that the COVID-19 shock only affected short-term SWB for Christians,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medium- to long-term SWB terms. By examining how Christians behave in the face of a negative shock to Christianity's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a geographically concentrated country, this study can provide a third-party view of Christians that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COVID-19 shock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