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양준석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2 생사학연구 Vol.3 No.-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수준에서 출발했던 생사학은 현재 학문 영역에서 검토되고 발전하기 위한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초고속으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자살문제와 대형사고로 사회적 트라우마(trauma)에시달리는 우리 사회환경에서 생사학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이에 융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논의된 죽음학, 생사학에 관련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생사학 학문적 가능성과 연구영역에 대한 정리를 하고자 한다. 과거 죽음에 대한 연구는 철학과 종교의 영역을 중심으로 영혼이나 불멸, 내세라는 관점에서 죽음을 설명하고 이해해왔다. 하지만 근대로 넘어오면서 죽음을 과학적 영역에서 보다 적극적인 분석대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실제 1960년대부터 죽음학은 기존의 철학과 종교적 연구 형태를 인정하면서도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연구하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방법론을 도입하면서 과학으로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죽음에 대한 연구가 아직도 초창기인 한국에서는 죽음학, 사생학, 생사학, 임종학 등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으며 학제적 용어로 thanatology, death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death education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생사학은 죽음학을 기초로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학문이라 정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생명과 죽음에 관련된 연구 및 지침으로 정의할 수 있고, 넓은 의미로는 삶과 죽음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연과학 등의 성취에 기초를 두고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문화 예술을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학제 간 연구라 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생사학은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한 생사관 연구와 실천적 융합학문으로서연구 대상이나 방법론을 탐구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적 탐구를기반으로 학제적이며 실천적인 융합연구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사학이 학문적 성격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한 이유는첫째, 생사학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수준이 초보적 수준이며 여전히 연구자내에서도 외국의 “Thanatology”나 “사생학”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연구나 관련 연구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이를 담아내고 풀어내기 위한 공동의 연구나 각 학문간의 교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에 구축된 학문적 영역의 경계가 너무 높고 생사학의 학문적 영역에 대한 접근으로 학과 과목개설이나 표준화된 영역을 구축하는데 많은 장애가 있기때문이다. 넷째, 생사학 연구활동을 통해 축적된 연구 결과물들을 공유하고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결국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명확한 성격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사학이 학문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의 구성요건들, 즉 연구대상, 연구범위, 연구방법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그 나름의 고유한 개념적 체계와 방법론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사학이 연구범위, 연구방법 및 학문의 규범성, 경험성, 처방성을 갖춘 학문으로서 학문의기본요건에 문제가...

      • KCI등재

        생사학 연구동향과 학문성 모색

        양준석(Yang, Jun-Seok),이지원(Lee, Ji-Won),김재경(Kim, Jae-Gyeong),이정은(Lee, Jung-Eun),이나영(Lee, Na-Young),김아리(Kim, Ah-ri),박훈(Park, 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생사학의 연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영역으로서 ‘생사학(生死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이 죽음학의 출발점이며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자는 것이 죽음학의 목표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존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적 삶을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현재와 미래, 유와 무, 형이상과 형이하를 관통하는 생사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불안을 부단히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죽음은 삶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의 극복은 일상적 삶의 과제이기에 죽음문제는 삶의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죽음학은 동양에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생사학으로 재정의 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생사학이 융합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사학의 개념, 이론, 연구영역, 학문적 성격을 정리해야 한다.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 출발한 생사학은 인문학적 접근만 있어서도 안 되고 과학적 접근만으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의학과 종교,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융합학문이기 때문이다. 이에 융합학문으로서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하고 향후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념과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국내 생사학 관련 논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발전 가능성과 탐구영역 개발, 확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적 생사학’의 학문성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possibiliti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Life and Death Studies. Every living organism dies and death is part and simultaneously point toward which converge all previous phas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ath and dying are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anatology and overcoming fear and pain when making preparations for our own death, which are the aim of the study. Death anxie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ife to human existence and to prepare for our own inevitable death, in the process it can help many of us have view of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the future, existence and non-existence, metaphysics and physical science. Death is a part of life and overcoming death anxiety is the agenda of daily life, therefore, the question of death is very relevant to that of life. Life and Death Studies explores how the question affect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cultures. In this respect Life and Death Studies has to redefine and expand its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based on Oriental though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udy, Thanatology which focuses on dying and death. Life and Death Studies relies on collaboration with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Because death is such a broad and complex subject, it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is primarily an interdisciplinary study, frequently undertaken by professional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medical science, religion and mythology. To develop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must be an accurate definition, theories, critical research area and academic features as convergence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as convergence studies, especially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ort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and to establish concepts and theories to consolidate its area as academic disciplines. On this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heses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by discussing developmental potential and critical research area a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 KCI등재

        다석 유영모의 “생사학 담론” 가능성을 위한 시론

        양준석(Jun Seok, Yang)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다석 유영모(1890~1891)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석의 사상에서 ‘생사학 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생사학(生死學)은 삶 [生]과 죽음 [死]에 관해 연구하는 통합적 학문으로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며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을 목표와 과제로 제시한다. 특히 죽음에 무딘 현대시대에 생사학(生死學)적 관점은 우리 사회의 죽음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죽음 문화의 원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존엄한 삶과 죽음을 이루어갈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생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이나 철학만 알아서도 안 되고 종교에 무지해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어느 한쪽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과학과 종교, 철학과 심리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바라보며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융합학문으로서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우리 문화 속에서 사유하고 죽음문제를 치열하게 직시하며 삶을 살았던 전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석 유영모는 19세기 말에 태어나 20세기를 거치면서 과학과 철학, 종교를 두루 꿰뚫은 사상가였으며 우리말로 철학을 했으며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삶의 모습으로 그대로 투영하여 살았다. 그야말로 생사학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생사학과 한국에서의 생사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영모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 결과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통해 ‘한국의 생사학적 담론’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about Daseok Yu Youngmo’s(1890~1981) thoughts, about seeking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on thanatology’. Thanatology is the integrative science of ‘life’ and ‘death’. It is a reflection of life through death, considering a person’s sacred life and death as an aim and a task. The thanatological view, especially when a person is insensible to ‘being dead’, is likely to shed light on the ongoing situation in the death culture. This view focuses on ways to lead a sacred life and death, and it analyzes perceived wrongdoing.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course on thanatology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anatology,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not only science and philosophy but also faith. Thanatlogy does not see themes of life and death as separate. This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death in a wide variety of fields, ranging from science and religion to philosophy and psychology. Moreover, research is needed on the way that thanalogical thoughts was conceived in Korean cultu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adopt the thought of Daseok Yu Youngmo, a native philosopher, who reconstituted a new prospect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worldviews. Yu was bor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n the 20th century, he became a thinker who was knowledgeable about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He studied philosophy in his native language. Indeed, he was a model who lived his life as he thought death would be. In this essay, the theme of mortality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particular aim of broadening the scope of Korean thanatology. What thanatology and that in Korea is like in the way above is first studied and looked into Yu’s thoughts through which it would hav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enlarge ‘a discourse on Korean thanatology’.

      • KCI등재

        다석 유영모의 “생사학 담론” 가능성을 위한 시론

        양준석(Jun Seok, Ya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다석 유영모(1890~1891)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석의 사상에서 ‘생사학 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생사학(生死學)은 삶 [生]과 죽음 [死]에 관해 연구하는 통합적 학문으로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며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을 목표와 과제로 제시한다. 특히 죽음에 무딘 현대시대에 생사학(生死學)적 관점은 우리 사회의 죽음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죽음 문화의 원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존엄한 삶과 죽음을 이루어갈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생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이나 철학만 알아서도 안 되고 종교에 무지해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어느 한쪽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과학과 종교, 철학과 심리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바라보며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융합학문으로서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우리 문화 속에서 사유하고 죽음문제를 치열하게 직시하며 삶을 살았던 전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석 유영모는 19세기 말에 태어나 20세기를 거치면서 과학과 철학, 종교를 두루 꿰뚫은 사상가였으며 우리말로 철학을 했으며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삶의 모습으로 그대로 투영하여 살았다. 그야말로 생사학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생사학과 한국에서의 생사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영모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 결과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통해 ‘한국의 생사학적 담론’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about Daseok Yu Youngmo’s(1890~1981) thoughts, about seeking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on thanatology’. Thanatology is the integrative science of ‘life’ and ‘death’. It is a reflection of life through death, considering a person’s sacred life and death as an aim and a task. The thanatological view, especially when a person is insensible to ‘being dead’, is likely to shed light on the ongoing situation in the death culture. This view focuses on ways to lead a sacred life and death, and it analyzes perceived wrongdoing.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course on thanatology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anatology,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not only science and philosophy but also faith. Thanatlogy does not see themes of life and death as separate. This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death in a wide variety of fields, ranging from science and religion to philosophy and psychology. Moreover, research is needed on the way that thanalogical thoughts was conceived in Korean cultu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adopt the thought of Daseok Yu Youngmo, a native philosopher, who reconstituted a new prospect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worldviews. Yu was bor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n the 20th century, he became a thinker who was knowledgeable about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He studied philosophy in his native language. Indeed, he was a model who lived his life as he thought death would be. In this essay, the theme of mortality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particular aim of broadening the scope of Korean thanatology. What thanatology and that in Korea is like in the way above is first studied and looked into Yu’s thoughts through which it would hav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enlarge ‘a discourse on Korean thanatology’.

      • KCI등재

        대학생 대상의 인문학 기반 생사학 강의를 위한 하나의 고찰

        방미경(Bang Mi Ky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생사학이 태동한 서구의 여러 나라들에서는 일찍이 학문적 연구와 실천적 분야가 활성화되고 계속 확장되어 왔으며 가까운 일본과 대만에서도 생사학은 꾸준히 발전하여 서구 국가들 못지않은 단계별, 연령별 죽음 교육의 제도와 체계적 커리큘럼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 분야에서 생사학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청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시점이나, 죽음 교육의 효과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교육 내용에 대한 논의나 프로그램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는 청소년기의 유예된 문제들과 청년기에 맞닥뜨린 문제들을 이중으로 떠안고 있는 대학생들의 현 상황에 주목하였다. 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에 접근하는 여러 길 가운데 우리는 죽음에 대한 이해라는 길을 통해 그 문제에 다가가 보고자 시도했다. 죽음에 대해 묻고 답을 구하는 과정이 바로 청년기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자기만의 고유한 가치관을 정립해 나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생사학의 발전 과정을 돌아보고, 그 다음, 죽음 교육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 수 있는지, 왜 필요한 것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대상의 생사학 강좌에 포함되어야 할 만한 세 가지 주요 주제를 고찰해 보았다. 첫째,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둘째, 삶의 의미와 가치, 셋째, 생명의 존엄성과 존엄한 죽음이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주요 주제들을 인문학을 기반으로한 죽음 교육의 주제로 설정하고, 각 주제에 대해 논의되어야 할 내용들을 고찰해 보았다. United States and some european countries have early paid attention to the death studies and the death education. In Asia, especially Japan and Taiwan have developed constantly the life and death studies and the death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lso, we are witnessing the increasing concern to that academic field and to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articularly aimed at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However th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focused mostly on effects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ntended for them, not on the contents of programs. For the beginning of the study, I tried to surve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death studies in the world. And then I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death educat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s. I proceeded to think about three major themes of the life and death studies as a liberal arts course: ‘good death’ in its relation with the good life, meaning of life, and the sanctity of life and the death with dignity. For young adult, asking about death and going on answering questions could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think seriously about their life and to establish their view of values. This paper is a trial to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intended for university students.

      • 최근 한국 생사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인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

        정효운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2 생사학연구 Vol.3 No.-

        This study attemp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reans’ attitudes toward death and to interpret integrated. From January 11 to 24, 2022,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site, 21 qualitative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Each qualitative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by applying Noblit & Hare (1988)’s 7 steps of qualitative meta-analysis. As a result, Koreans perceive death uncertainly, and feel psychologically painful due to the uncertain cognitive state. As they feel death as painful, they take action to die comfortable or to have an intention to act.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Korean are pursuing a ‘comfortable death’ by interpreting Koreans’ attitudes on death integrated way in terms of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Additionally, basic data were provided for establishing polices related to the Koreans’ comfortable death and seeking intervention for death preparation.

      • KCI우수등재

        죽음, 어떻게 정의(定義)할 것인가 : 생사학과 불교의 관점을 중심으로

        오진탁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4 No.-

        우리 사회에서 사람들이 왜 그토록 죽음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것 인지, 불행하게 죽어 가는 사람이 왜 그렇게 많은 것인지, 자살사망 률이 최근 들어 왜 급증하는 것인지 문제를 추적해 보니까, 그 근원 에는 죽음에 대한 오해, 육체 중심의 인간이해와 죽음정의가 오해의 근원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죽음정의는 쉽게 결론 내릴 수는 없지 만, 실용적 차원에서 죽음판정의 육체적 기준 제시라는 의학적 문제 로 축소되었다. 인간의 죽음은 단지 뇌사, 심폐사같은 의학적 죽음 판정의 육체적 기준의 문제로 축소되니까, 사람들의 죽음 이해 역시 육체 중심으로 한정되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달라이 라마는 죽음이란 아무것도 없는 종말이라기보다, 낡아서 헤어졌을 때 갈아입는 옷과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정의하 느냐에 따라 죽음을 부정하거나 터부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뇌사 혹은 심폐사같은 죽음판정의 육체적 기준에 따라 죽음을 정의하고 있지만, 육체의 소멸에 입각해 죽음을 정의해서는 안된다. 생사학의 창시자 퀴블러로스는, 인간에게는 영혼이 있으므로, 육체적 물질적 영역을 넘어 있는 것을 고려해 죽음을 정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When the reasons are traced back as to why there is so much resentment towards death, why so many people die miserably, why there is a drastic increase in the suicide rate, there resides a misunderstanding of death, a tendency toward body-centered culture and incorrect approaches in defining death. Defining death may not be an easy job. However, it has been reduced to a medical matter in terms of interpreting death based on the body’s medical conditions. Men’s deaths have been defined in such terms as brain-death, heart-death and the whole culture of reducing death to a medical condition causes people’s understanding of death as “the body” business. Dalai Lama says that death is something like changing clothes when they are old and wornout, rather than as some final end. Therefore understanding death in the right way is critical. Depending on how well one understands death and in what way one defines death, the discussion on death can lead to denying it or tabooing the issue altogether. Nowadays, the definition of death relies on clinical determination of men’s medical condition in such terms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Death should not be defined entirely in terms of the collapse of the body. The founder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Kübler-Ross, states that the human has a soul and that defining death means going beyond the realm of the physical and the material to the realm of the soul, the mind, and life itself.

      • KCI등재

        람림(Lam rim)에서의 죽음 억념과 수행 - 생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양정연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생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람림(Lam rim, 道次第)에 나타난 죽음관과 수행 내용을 고찰 하였다. 생사학에서는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보고 죽음 교육을 통하여 존엄한 죽음을 맞을 수 있다 고 말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 죽어 가는 환자를 돌보는 방식, 나아가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와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죽음을 육체적 관점만이 아닌 정신적, 영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생사학의 태도를 보여준다. 람림의 수행체계는 인간 존재의 가치를 절실하게 일깨워 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쫑카빠는 인간의 삶의 방식을 하사, 중사, 상사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배워야 할 가르침과 의요, 실천의 내용을 체계 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욕망 충족의 삶을 궁극적인 진리의 완성으로 점차 전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 조한다. 삼사도는 단계에 따른 가르침의 내용이지만, 하사도와 중사도는 상사가 공통으로 수행해야 하 는 단계로서 보리심을 내기 위해 먼저 요구된다. 상사가 자신의 적정을 구하지 않고 중생을 제도하고 자 기꺼이 윤회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체득을 미리 했기 때문이다. 람림에서는 죽음에 대한 억념을 통하여 “우리는 죽는다”는 사실과 “죽음이 예고없이 우리에게 온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한다. 죽은 뒤에 다시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윤회 세계에서 너무나도 희귀한 일 이며 인간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로 지금 수행해야 한다고 말 한다. 람림의 가르침은 범부의 삶을 어떻게 궁극적인 진리의 길, 완성의 길로 이끄는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가르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spective on death and Buddhist practices in Lam rim, the stages on the path to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Thanatology.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and death education allows us to die with dignity from the viewpoint of Thanatology. The notion that we should discuss and reflect on how to die, how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s, and how to live is connected with the basic attitude to Thanatology which understands death not only from the physical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spiritual point of view. Lam rim makes us realize human values from the first stage. Tsong-kha-pa classified people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ir aspirations and way of lives. He stressed that our lives should be converted from satisfying our desires to accomplishing the truth. Three levels which are the lower scope, the middle and the higher, show the teachings gradually and the lower and middle scopes are required for the higher to generate Bodhicitta. The higher would not attain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s of Samsara only for himself. He would gladly go into Samsara to save all living things because he went through the two lower practices. The meditation on death reminds us that we die and death comes to all of us without notice. It is extremely rare to be born as a human in Samsara and only human has ideal condition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so Lam rim encourages us to practise right now. Lam rim offers theory and practices about how to get people to seek the truth and completion and we can use them for death education.

      • KCI등재

        사별가족상담을 위한 불교적 방안 연구

        이남경 ( Nam Gyeong Lee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7

        불교적 사별가족상담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양에서 시작되어 전개되고 있는 생사학의 현황을 살펴 볼 필요가 있었다. 그러기 위해 먼저 동서양의 철학과 종교에서 삶과 죽음에 관한 관점을 비교하였다. 고대로부터 시작된 일원론과 이원론, 영혼불멸설과 불교적 생사관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60년대부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서양의 죽음교육과 비탄상담(사별가족상담)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실에 수용가능한지 그 타당성을 보았다. 제4장에서는 불교명상을 적용한 사별가족상담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서양의 죽음교육과 비탄상담은 훌륭하게 체계를 잡고 발전하여 있다. 그 프로그램들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불교명상과 상담의 과정을 넣는다면 불교적 사별가족상담의 프로그램이 가능하다고 본다. This dissertation was planed to create a model of the Buddhist Grief-Counselling for the Bereaved[佛敎的 死別家族相談]. With the purpose of the aim, basically I`ve need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tudy of Death[生死學] from the other countries and Korea. First of all, I`ve studied the various viewpoints of life and death from their philosophy or religions in the west and the east, from the ancient times up to now. In the 2nd chapter, I`ve reviewed the theories about spiritual viewpoint from Platonism, Judaism, Christianism,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to modern philosophy. I`ve considered of the thoughts on the monism with the dualism about the human beings in comparison. I`ve got the conclusion, which both of the two thoughts are not enough to care for the bereaved families. The theories are very contradictory. So many scholars have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being or dying, death, and after death by the ways of these or those theories; the monism with bodily, the monism with spiritual, the dualism with body and spirit. Otherwise, as you know, the historical Buddha explained the big question of the human being as the dharma of Cause and Effect and the theory of Karma. On his teaching, there are not existed an immortal soul for the sentient-beings, because we are here led by our own the previous karma, and also will go to die with the karma you`ve made for this life. As a result, I guess, lots of scholars, philosophers and religious practitioners arrived one of the conclusion unanimously, that the best way to solve the big question is to try to be your best during the present life, now and here. In the 3rd chapter, I`ve considered of the current situations on the Education of Death and the Education of Grief from the other countries since the 1960. In the 4th chapter, I`ve suggested an idea of the Buddhist Grief-Counselling for the Bereaved by using the ways of buddhist meditation and the teachings.

      • 유교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

        장승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0 생사학연구 Vol.1 No.-

        Confucianism greatly influenced the Korean’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This paper aims to contempl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life and death of Confucianism.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Confucianism is placing great importance on the home (family) as a source of life and meaning. It also emphasizes learning through the course of life and values morality to live a life as a decent human. Life of Confucianism places meaning in becoming a man of virtue or a saint with a truly humane character who overcomes pain and suffering and practice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in society. Confucianism shows secularistic characteristics that emphasize the present life rather than the afterlife or heaven in understanding death. It considers a man’s life and death ultimately depend on Heaven’s will, but sometimes upholding moral obligations is more important than living. In such cases, one should attain benevolence and practice righteousness even at the expense of own life. Confucianism also developed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to overcome death. In short, the Confuci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can be said to have secularistic ritual-centered, communitarian, and moral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fuci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human beings must constantly nurture themselves as morally mature beings, and it is important to embody their moral mission by practicing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 others and society transcending life and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