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장하는 남성 이미지의 사회적 형성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장려상 수상논문 - 남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화장하는 남성 이미지의 사회적 형성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장려상 수상논문

        박승민(Park Seung-Mi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4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 관계에서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70년-2006년까지의 남성화장품 광고를 경험적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1970년-2006년까지 꾸준히 등장한 전형적 남성상은 강한 근육질 남성, 야성적 남성의 도전과 정복, 공적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남성의 지배권력을 상징·행사·유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화장이 갖는 여성적인 코드를 희석시켜 남성을 설득하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었다.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는 탈전형적 남성상이 출현함으로써 1990년대 후반-2006년에는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공존하게 된다. 탈전형적 남성상은 여성성이 가미된 얼굴과 적당한 근육질 남성, 부드러운 남성, 공·사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가 소비사회로 전환되면서 X세대가 갖는 개방화된 이성관계, 유연한 성 구분 태도, 전형적 남성상에 대한 대안 모델 설정이 필요했던 상황을 남성 화장품산업이 상업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에 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남성화장품 광고에서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동시에 등장하는 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간의 경합 관계가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탈전형적 남성상이 등장하는 광고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여전히 지배이데올로기로 군림하고 있다. 이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완전한 전복을 예방하기 위해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ual dominating strategies of hegemonic masculinity when it is competing with non-hegemonic masculinity. I collected Korean advertisements for men"s cosmetics from 1970 to 2006. From 1970 to 2006, typical men"s images-strong muscle men, the challenge and conquest of w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sphere-have proven an effective means of persuading men to use cosmetics by symbolically affirming and maintaining their dominance. In the late 1990s, an atypical string of ads emerged, also featuring three images: faces with feminine features and not-strong muscle men, m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Using these three images, the men"s cosmetic industry has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ing social conditions the Korean society entered into consumer society. The new men"s cosmetic industry is based on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X: ope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flexible attitudes in classifying sexuality, and a social need to establish an alternative image for men. Both typical and atypical imagery appeared simultaneously in Korean ads for men"s cosmetics from the late 1990s to 2006, the period that competition between hegemonic and non-hegemonic masculinity began. At this time, however, hegemonic masculinity remains the dominant ideology in atypical men"s ads. This is s dual dominating strategy of hegemonic masculinity to prevent its" complete collapse.

      • KCI등재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

        신종섭 ( Shin Jong-seob ),권경상 ( Kwon Kyung-sang ),권구명 ( Kwon Goo-myeung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을 분석하여,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를 어떻게 동의시키고, 재생산시키는지 심층적으로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동의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재생산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태권도 도장의 관장과 사범 각각 4명씩 총 8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은 같은 태권도 도장에 함께 일하고 있는 지도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관련 자료 수집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Gramsci의 헤게모니이론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동의과정은 관장이 교육, 지식인, 언어, 상식의 개념을 통하여 사범에게 관장의 교육적 헤게모니를 동의시키었고,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재생산과정은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과 지도자 간 구별짓기, 서로에 대한 능력인정으로 재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와 같이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은 현재의 태권도 지도자들과 태권도의 현실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해 주며, 앞으로 태권도 지도자를 꿈꾸는 예비 태권도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educational hegemony competition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and to deeply investigate how to approve and reproduce educational hegemony among leader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educational hegemony consent process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Second, what is the process of educational hegemony reproduction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each consisting of four instructors and a director of the taekwondo gym. Also, this study selected leaders working at the same Taekwondo gym as research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ference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amsci's hegemonic theor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hegemony consent process among the leaders of the Taekwondo gym. the director made the instructors agree on the director’s educational hegemony through the concepts of education, intellectuals, language, and common sense. It is shown that the competition of educational hegemony, the distinguishment between leaders and the ability recognition for each other are re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hegemony reproduction between the leaders of the Taekwondo gym. As shown above, the competition of educational hegemony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gives us an objective view of the current reality between Taekwondo leaders and Taekwondo,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research that is helpful for the preliminary Taekwondo leaders dreaming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화장하는 남성 이미지의 사회적 형성 : 남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박승민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ual dominating strategies of hegemonic masculinity when it is competing with non-hegemonic masculinity. I collected Korean advertisements for men's cosmetics from 1970 to 2006. From 1970 to 2006, typical men's images--strong muscle men, the challenge and conquest of w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sphere--have proven an effective means of persuading men to use cosmetics by symbolically affirming and maintaining their dominance. In the late 1990s, an atypical string of ads emerged, also featuring three images: faces with feminine features and not-strong muscle men, m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Using these three images, the men's cosmetic industry has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ing social conditions the Korean society entered into consumer society. The new men's cosmetic industry is based on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X: ope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flexible attitudes in classifying sexuality, and a social need to establish an alternative image for men. Both typical and atypical imagery appeared simultaneously in Korean ads for men's cosmetics from the late 1990s to 2006, the period that competition between hegemonic and non-hegemonic masculinity began. At this time, however, hegemonic masculinity remains the dominant ideology in atypical men's ads. This is s dual dominating strategy of hegemonic masculinity to prevent its’ complete collapse.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 관계에서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70년-2006년까지의 남성화장품 광고를 경험적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1970년-2006년까지 꾸준히 등장한 전형적 남성상은 강한 근육질 남성, 야성적 남성의 도전과 정복, 공적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남성의 지배권력을 상징․행사․유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화장이 갖는 여성적인 코드를 희석시켜 남성을 설득하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었다.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는 탈전형적 남성상이 출현함으로써 1990년대 후반-2006년에는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공존하게 된다. 탈전형적 남성상은 여성성이 가미된 얼굴과 적당한 근육질 남성, 부드러운 남성, 공․사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가 소비사회로 전환되면서 X세대가 갖는 개방화된 이성관계, 유연한 성 구분 태도, 전형적 남성상에 대한 대안 모델 설정이 필요했던 상황을 남성 화장품산업이 상업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에 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남성화장품 광고에서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동시에 등장하는 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간의 경합 관계가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탈전형적 남성상이 등장하는 광고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여전히 지배이데올로기로 군림하고 있다. 이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완전한 전복을 예방하기 위해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이다.

      • KCI등재

        특집 : 박근혜 정부의 정책과 한국사회의 전망; "수동혁명적 민주화 체제"로서의 87년 체제, 복합적 모순, 균열, 전환에 대하여 87년 체제, 97년 체제, 포스트민주화체제

        조희연 ( Hee Yeon Cho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4 No.-

        이 글은 87년 체제를 ‘수동혁명적 민주화체제’로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모순적복합성’, 내적 균열, 그것의 위기와 전환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민주화’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민주주의적 원리(담론, 정신)’가 ‘대중적-국민적(popular-national)’ 원리가 되어, 구 독재세력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사회적 행위자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규정력과 일관된 관계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원리의 헤게모니적 지위, 이를 배경으로 하는 ‘민주주의 헤게모니 블록’의 출현, 이 내부에서의 반독재 자유주의세력(liberal)의 이니시어티브 등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수동혁명적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아래로부터의 능동혁명적 도전에 의해 독재체제의 대중적 기반이 붕괴하고 민주주의체로의 전환이 필연화되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급진적으로 전개되지 않고 구 지배블록의 이니시어티브가 관철되는 타협적 경로로 전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필자는 수동혁명 내에‘능동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수동혁명은 그것이 능동혁명의 ‘위협’에의해 강제되었고 또한 복합적 모순을 내장하고 있는 만큼, 그것이 전개됨에 따라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균열선을 보이며 역동적인 ‘구성적 각축’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런 프레임하에서, 1987년 이후 변동과정을 몇 개의 사건들을 계기로 경합국면으로 나누었다. 즉 1987년 이후의 제1경합국면으로서 1987년 6월 민주항쟁·6·29선언으로부터 1990년 3당합당까지의 시기, 제2경합국면은 3당합당 이후 1997년 대선까지의 시기, 제3경합국면은 1997년 대선 이후 2007년 대선까지 민주정부 10년, 제4경합국면은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신보수정부)의 출현 이후 박근혜 정부의 성립까지의 시기이다. 제1경합국면에서 제3경합국면은 87년 체제, 즉 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제4경합국면은 포스트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87년 이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글은 ‘87년이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고자 했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omplex contradiction, internal cleavages, its crisis and transformation, defining the so-called ``1987 regime`` as the democratization regime of the passive revolution type. Here, the ``democratization regime`` means that the democracy principle, discourse or spirit became a national-popular one, and, as its result, wield a coherent inter-relational influence on all political and social actors as formally irresistible. This results in emergence of ``democratic hegemonic bloc`` and strong initiative of the political liberals with anti-dictatorship background with the bloc, etc. What I want to imply with the ``passive revolution`` character is that, although the popular base of dictatorship broke down by the help of bottom-up active revolutionary struggle, the democratization proceeded with the compromise character and in the top-down way, in which the former initiative of the old dictatorial ruling bloc has been kept in the whole process. However, I argued that there is activeness within the passive revolution, which means that the passive revolution goes through a dynamic constructivist competition among diverse political and social actors along unexpected cleavage lines, because it has been possible by the ``threat`` of bottom-up struggle, aimed at active revolution, and has had diverse complex contradictions in it. Under this kind of theoretical frame, I divided four competition phase by some important conjunctural political events. The first phase is from the Great Democratic Struggle in June 1987 and June 29th Declaration to the ``Three Parties-Merger`` in 1990. Thereafter, the second covers the period to the year 1997, when the financial crisis broke out and the Korean government rushed to the IMF bailout, on the one hand, and the first opposition party government emerg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1997. The third one continues for 10 years of so-called ``democratic government`` from 1998 to 2007. Thereafter, the fourth one covers the period after emergence of neo-conservative government headed by Lee Myung-bak. I defined the former three phases as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regime``, while the fourth phase as ``post-democratization`` regime. Here, I tried to analyze the ``1987`` change not from ``pre-1987`` dynamics, but from ``after-1987`` one.

      • KCI등재

        ‘수동혁명적 민주화 체제’로서의 87년 체제, 복합적 모순, 균열, 전환에 대하여 : 87년 체제, 97년 체제, 포스트민주화체제

        조희연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24

        이 글은 87년 체제를 ‘수동혁명적 민주화체제’로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모순적복합성’, 내적 균열, 그것의 위기와 전환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민주화’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민주주의적 원리(담론, 정신)’가 ‘대중적-국민적(popular-national)’ 원리가 되어, 구 독재세력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사회적 행위자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규정력과 일관된 관계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원리의 헤게모니적 지위,이를 배경으로 하는 ‘민주주의 헤게모니 블록’의 출현, 이 내부에서의 반독재 자유주의세력(liberal)의 이니시어티브 등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수동혁명적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아래로부터의 능동혁명적 도전에 의해 독재체제의 대중적 기반이 붕괴하고 민주주의체로의 전환이 필연화되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급진적으로 전개되지 않고 구 지배블록의 이니시어티브가 관철되는 타협적 경로로 전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필자는 수동혁명 내에 ‘능동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수동혁명은 그것이 능동혁명의 ‘위협’에의해 강제되었고 또한 복합적 모순을 내장하고 있는 만큼, 그것이 전개됨에 따라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균열선을 보이며 역동적인 ‘구성적 각축’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런 프레임하에서, 1987년 이후 변동과정을 몇 개의 사건들을 계기로 경합국면으로 나누었다. 즉 1987년 이후의 제1경합국면으로서 1987년 6월 민주항쟁·6·29선언으로부터 1990년 3당합당까지의 시기, 제2경합국면은 3당합당 이후 1997년 대선까지의 시기, 제3경합국면은 1997년 대선 이후 2007년 대선까지 민주정부 10년, 제4경합국면은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신보수정부)의 출현 이후 박근혜 정부의 성립까지의 시기이다. 제1경합국면에서 제3경합국면은 87년 체제, 즉 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제4경합국면은 포스트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87년 이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글은 ‘87년이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고자 했다.

      • KCI등재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무페의 비판

        이진현 대한철학회 2023 哲學硏究 Vol.167 No.-

        This paper deals with Mouffe’s Critiques of Rawls’ Political Liberalism. Rawls established a political philosophy by arguing for the ‘priority of right over good’, ‘reasonable pluralism’, ‘well ordered-society’, ‘individualism’, ‘public reason’, and ‘overlapping consensus’. This paper will review these contents. Mouffe posits that Rawls’ Theory of Justice is in fact a mere extension of moral philosophy. Rawls does not make a distinction between moral discourse and political discourse, so his theory of justice is moral reasoning applied emphasizing the normativity treatment of the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Mouffe criticizes Rawls’s liberalism as characterized through a rationalist and individualist approach as it can be harmful in the destruction of community values and of public life, thus concerning herself with ‘political antagonism’, ‘hegemony’s society’, and ‘agonistic pluralism’. In the sphere of political discourse, she distinguishes between ‘the political’ and ‘politics’. The political refers to this dimension of antagonism, and politics is affected by the domain of the political. Mouffe’s agonistic pluralism energizes political philosophy and leads to a new interpret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seeking an agonistic model of equal participation that can respect various identities of citizens and groups. This paper criticizes Rawls's political liberalism from Mouffe's radical and competitive point of view in a reality where political dynamism and active debate have disappeared as our political reality prioritizes political stability through law and law enforcement. The review is expected to give implications for looking at our political reality. Through their debat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new dynamic and competitive politics through a competitive and pluralistic political philosophy while discussing political philosophy within the symbolic framework of liberal democracy. 이 논문은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무페의 비판을 다룬다. 이를 위해서 좋음에 대한 옳음의 우선성, 근대성 비판, 질서정연한 사회, 정치 없는 정치철학이라는 내용으로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를 검토할 것이다.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무페의 비판을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겠다.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는 정치적 정의관의 규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도덕적 언어와 정치적 언어를 구분하지 않고 도덕적 언어로 제시되었다. 둘째, 합당한 다원주의에서 강조하는 합당함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정치 이념을 존중하는 것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다원주의를 반영하지 못한다. 셋째, 인격체로서 시민을 제시하지만 정치체제와 연결된 시민 개념이 없다. 넷째, 질서정연한 사회라는 개념은 근본적 불확실성에 있는 현대 사회를 반영하지 못한다. 다섯째, 정치와 구별되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논의가 없다. 이러한 비판을 통해 무페는 적대와 헤게모니 개념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합당한 다원주의가 아닌 경합적 다원주의, 적대를 정치적-윤리적 이념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경합적 관계로의 전환, 질서정연한 사회가 아닌 헤게모니 구성체, 제도적 질서로서의 정치가 아닌 인간 공존을 위한 실천과 관계하는 정치적인 것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우리의 정치 현실이 법과 법의 집행을 통한 정치적 안정성에 우선순위를 두면서 정치의 역동성과 활발한 쟁론이 사라진 현실에서,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무페의 급진적이고 경합적인 관점에서 비판하는 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우리의 정치 현실을 바라보는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필자는 이들의 논쟁을 통해 자유민주주의 상징적 틀 내에서 정치철학을 논하면서도 경합적이고 다원주의적인 정치철학을 통해, 역동적이고 새로운 경쟁적 해석이 가능한 정치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이현정 ( Hyeon Jung Lee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2 No.2

        2003년 사스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들어 중국 사회의 건강, 질병, 의료의 문제는 의학적 차원을 넘어 개혁정부의 정치행정과 안보문제, 나아가 경제활동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1999년 세계보건기구의 발표 이후, 중국의 자살문제를 둘러싸고 두 사회 집단-NGO 농가녀문화발전중심과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이 중국 내 자살문제의 진단과 예방에 관한 헤게모니를 둘러싸고 경합해 온 지점과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농가녀문화발전중심은 전국부련의 여성주의적 관점 및 대중 활동의 전통 속에서 농촌 여성의 자살 및 이들의 성차별 적 상황에 초점을 두고 마을 공동체에 기반한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반면,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은 서구의 생의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자살자 개인의 정신병리학적 원인에 주목해왔으며 약물치료와 상담치료를 포함한 정신의학적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흥미로운 점은 2000년대 초반까지 자살문제의 공론화 및 예방프로그램 마련에 있어 상호 공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던 두 집단이 2003년 중반 중국 정부가 정신의학적 관점을 축으로 하는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분열을 겪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정부의 선택은 국제적 압력 및 근대화의 요구, 그리고 정치적 위험 모면이라는 다면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정부, NGO 및 의료전문가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중국 사회 내 자살에 대한 헤게모니적 이해방식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으로부터 점차 개인적이고 의학적인 내용으로 변화해왔다고 할 수 있다. As seen in the case of SARS in 2003, the issue of health, disease, or medicine in Chinese society has recently been an important subject to address the changing character of political administration,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activity in China. Focusing on the recent epidemic of suicide in rural China, this ethnographic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by which two influential social groups-NGO Cultural Development for Rural Women, and Beijing Suicide Research and Prevention Center-have competed for social hegemony in suicide diagnosis and prevention. Based each on socialist feminism and biomedical psychiatry, these two groups have operated, respectively, community-based prevention programs and psychiatric interventions during the 2000s. Despite ideological and practical differences, they were originally cooperative, sharing the same goals. However, the friendly relationship had to cease when diverse interventions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oups increased and the Chinese government eventually decided to adopt the psychiatric perspective as its official position. From the government`s perspective, the psychiatric approach appeared to be the best solution since, emphasizing individual pathology as the cause of suicide, psychiatry would save the government from the possible political risk. The government`s decision has also gained widespread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attracted the huge investment of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ocess of hegemonic competition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suicide in China reveals the complex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cs in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ultimately seeks the modern state in the global era.

      • KCI등재

        중국의 패권화(Hegemony)담론 -지정학(Geo-Politics)과 지경학(Geo-Economy)의 변증적 이해-

        이상만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4

        本論文的目的是在接受作爲世界體制倫中心的地經學模式,在理解中華帝國的覇權幷全球覇權的權力移動發展動向時,可以通過全球化與帝國主義相 互作用來把中國帝國的解體和再建,膨脹和施惠,幷覇權化抑制要因展望和理 解。全球經濟關系的地緣經濟變化可能地緣政治的政治關系的變化, 而且 地緣經濟幷地緣政治這兩個畢竟是帶來地緣文化的變化。如地緣經濟規律 的觀點上來論證中國自共産革命以後現在爲止中國社會主義的體制變動和 中國的掘起主導著全球秩序的變革,是否能구進化爲全球覇權國家。雖然對 於激烈變化中的中國體制變動的正確的展望幷不容易,以對於中國直面現實 以及體制轉換的激烈性的認識爲基礎,21世紀新的中國帝國的誕生的可能性 和進化的可能性。地緣經濟上中國社會主義場經濟機制的發展道路出現 壹個明確的階段性過程;‘淸朝末中國中心的中華帝國秩序的解體’→‘經過共 産革命向資本主義的世界體制撤回後社會主義課題的實現’→‘建設新中國期 間社會主義課題失敗後資本主義世界體制的再融入’→‘實踐改革放政策以 來全球及亞洲地區範圍上覇權競爭參與’的辯證觀點上進行展望。這種傾向 作爲亞洲時代的地政學與地經學的主要指標。中國大陸與臺灣,香港與澳 門連接成壹個大集團,同時正在構築不亞於與歐洲和美洲自由貿易區的華僑 圈聯合體。亞洲內來看,對於中華覇權全球性層面的覇權競爭國是美國,地 區層面的覇權對抗是日本。對於我們來說有흔大的啓示。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