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 빈혈에서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및 제대 혈관 수혈 후 주산기 예후

        백수진 ( Su Jin Baek ),원혜성 ( Hye Sung Won ),심재윤 ( Jae Yoon Shim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태아 빈혈로 자궁 내 태아 수혈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및 수혈 전후의 혈액학적 상태 예측을 위한 초음파 도플러의 유용성과 주산기 예후를 분석하여 태아 빈혈의 산전 진단 및 치료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 국내 첫 보고이다. 연구 방법: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2000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태아 빈혈로 확진된 16예에서 35회의 자궁 내 제대 혈관 수혈이 이루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첫 번째 수혈 시 평균 임신주수는 26±3.81 (21.3~33.6)주이고 자궁 내 제대 혈관 수혈 전후의 혈색소치 (x)와 초음파 도플러 검사상 태아 중간대뇌동맥의 최고속도 (y)와의 관계를 선형회귀분석 한 결과, y=0.810-0.229x, r2=0.542, CI 0.316-0.141, P<0.001; y=1.374-0.391x, r2=0.499, CI 0.584-0.197, P<0.001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치료 후 빈혈의 중등도에 따른 예후를 분석한 결과 진단 시 중증의 빈혈이 있었던 군이 경증이나 경중증의 빈혈이었던 군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높았으며, 원인이 명확하였던 군이 원인 불명이었던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 (P<0.05, P<0.001) 결론: 태아 빈혈의 진단 및 수혈 후 태아 혈색소 수치 변화의 추적 관찰에 있어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한 중간대뇌동맥 혈류 최고 속도의 측정이 비침습적인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전에 빈혈로 진단 받은 태아에서 혈색소 수치가 낮고 태아 수종이 있더라도 정확한 원인 규명이 중요하며 원인이 밝혀진 태아 빈혈은 자궁 내 태아 수혈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Objective: We undertook this study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neonatal survival in patients with fetal anemia who were treated by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 (IUT). Methods: From July 2000 to March 2009, 16 cases of fetal anemia were diagnosed at Asan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These patients underwent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s and were thus included in our study. Doppler measurement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peak systolic velocity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ordocentesis in all fetuses. Results: The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anemia ranged from 21.3 to 33.6 weeks. There was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pre- and post-procedure fetal hemoglobin (Hb,MoM, (x)) and the MCA-PSV (MoM, (y)), i.e., y=0.810-0.229x, r2=0.542, CI 0.316-0.141, P<0.005; and y=1.374-0.391x, r2=0.499, CI 0.584-0.197, P<0.005. The survival was better in patients with severe anemia than those with mild to moderate anemia (P<0.05), and survival was better in patients with anemia of a known cause than those with anemia of an unknown cause (P<0.001). Conclusion: In fetuses with anemia, the severity of the anemia before IUT and the change of hemoglobin concentration after IUT, can be estimated noninvasively using Doppler ultrasonography, on the basis of an increase in the peak velocity of systolic blood flow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Both severity and etiology were meaningful factors for the survival of neonates with fetal anemia who were treated by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 Although fetuses have severe anemia, they expected improved survival through IUT. These data are valuable information for use when counseling the parents of an affected fetus.

      • KCI등재

        손해보험계약상 태아의 지위와 보호 범위의 확대 방안

        박인호 ( Park Inho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7 상사판례연구 Vol.30 No.2

        종래 태아는 출생 전 단계에 있다는 이유로 민사 영역에서 권리 능력이 원칙상 인정되지 아니하고, 법률에 별도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됨으로써 보호의 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개별 규정에 의해 태아에게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권리능력은 출생을 조건으로 개시된다는 해석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태아는 출생한 이후에야 비로소 권리가 현실화된다는 한계가 있다. 우리 상법은 상해보험계약이나 질병보험계약에 있어서 피보험자의 자격이나 보험금청구권자에 관하여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행의 법 제도 하에서 태아를 피보험자로 한 손해보험계약이 가능한지가 불명하여 현재까지는 피보험자로 한 보험계약이 체결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손해보험의 영역에서 태아가 보호받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우선 책임보험 영역에서 태아가 보험금청구권을 가지는지와 관련하여, 태아가 불법행위로 인하여 침해 및 그로 인해 손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청구권에 있어서 권리능력이 인정되고 손해배상청구권의 주체가 되므로, 그러한 권리에 기하여 가해자의 보험자에 대하여 직접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태아가 손해보험에서 피보험자가 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태아는 생명과 신체에 있어서 출생한 사람과 보호의 필요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고, 질병이나 상해를 보장하는 손해보험영역에 있어서 상해나 질병 등 침해로부터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출생 이전에도 그 침해로 인한 치료가 가능해야 하고 부모의 사망 여부에 무관하게 출생 전 사고로 인한 치료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직접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므로 태아에게 피보험자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 태아가 상해보험의 피보험자로서 권리능력을 가지는지 여부는 생명보험금청구권에서 권리능력을 인정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필요성과 가능성이 인정되며, 특히 피보험자의 지위가 인정되는 점에 기인하여 보험금청구권에 있어서 권리능력이 인정되어야 한다. 다만, 상법의 보험편에 보험금청구권에 있어서 태아가 권리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명시적 규정을 두고, 한편 태아에게 피보험자의 지위를 인정하는 것에 관해서도 명시적 규정을 두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여긴다. Traditionally, a fetus has been denied legal capacity in civil areas due to its pre-birth stage. A fetus`s legal capacity is recognized only in special circumstances under specific laws, and therefore protection for a fetus has been very narrow in scope. Further, even in those rare situations where the legal capacity of a fetus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e legal power is vested only after a live-birth. This has also functioned as an additional limitation. Our commercial laws do not generally provide for the eligibility for beneficiaries or those with power to claim proceeds in health insurance or personal injury insurance. Under such a statutory scheme, it is unclear whether there can be insurance contracts with a fetus as a beneficiary. As a result, there has been no insurance products for the fetus. It follows that the fetus has not been under sufficient protection through non-life insurances. First, with respect to the liability insurance, there is an issue as to whether a fetus can have the right to claim. This author maintains that a fetus be deemed to have such a right to claim against the tortfeasor`s insurer, because its legal power is recognized when it is injured by a tort. As for the issue regarding whether a fetus can be an insured in genral insurance contrac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a fetus and those who are already born in terms of the need to protect their lives and bodies. Further, under general insurance contracts that cover risks against injuries or diseases, there is need to provide care for those unborn babies even before live birth. Also, a fetus should have the power to claim regardless of whether the parents are dead or alive for the injuries the fetus has sustained prior to live-birth. Therefore, the right of fetus to become an insured shall be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the fetus to become an insured is clear just like the same is recognized in life insurance cases. A more fundamental solution would be an amendment to the insurance statutes that expressly recognize such a status and a right.

      • KCI등재

        타인의 불법행위로 태아가 사망한 경우 가해자의 민법상 책임여부

        김현선(Kim, Hyeon-Son)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태아의 생명권을 헌법상 보호하고 있는 현재의 추이에 비추어 보면 태아의 보호는 지극히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형사상 태아의 지위에 관하여 사람과 달리 취급하고 있어 헌법상 태아의 생명권은 빛을 잃고 있다. 즉 타인의 불법행위로 태아가 사망한 경우 생명권을 침해한 가해자는 오히려 면책되고, 태아가 경상을 입어 장애아로 출생하면 가해자는 책임을 면하지 못하는 모순된 입법제도를 취하고 있어 태아의 법적지위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 태아는 살아서 출생할 권리가 있고, 또한 형성 중의 인간으로서 생명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국가는 태아를 위하여 각종 보호조치들을 마련해야 할 의무가 있다. 태아의 생명권보호와 현대의학의 발달 등으로 가해자에게 민법상 물질적·정신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케 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태아의 상속권을 가지는 부모는 정신적 손해배상 뿐만 아니라 물질적 손해배상까지 가해자로부터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태아의 생명권을 헌법상 보호하는 시대에 부응하고, 태아를 사람과 같이 생명권을 인정하면서도 민·형사적 책임에서 사람과 다르게 해석할 명분도 근거도 없다. 또한 사람의 시기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에서 하나의 기준으로 통일하는 것이 일관성 있고, 정의의 관념이나 형평의 원칙에 부합하며, 각 법령해석상 마찰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rights of living fetus to bring prenatal injury claims against their mothers for their physical or mental damage. This topic is uncertain at best and the courts that have wrestled with this issue have failed to create a consistent body of law. However, the question continues to appear and this growing trend of claims against mothers for actions taken while pregnant necessitates a thoughtful discussion of the benefits and consequences of imposing maternal liability. When deciding questions of liability for conduct committed by 3rd party, courts are faced with a choice between fetal and maternal rights. Because the law regarding fetal rights remains underdeveloped in comparison to other legal questions, courts are often faced with little or no guidance when making these decisions. The question of fetal personhood is not limited to criminal, tort or constitutional law alone. Rather, the developing nature of this field of legal theory creates a circumstance in which all fields of law are interwoven. After the wrongful death of a viable fetus was recognized as a cause of action in tort, several jurisdictions made the segue into criminal law by punishing crimes against viable fetuses. Therefore, as decisions may affect all areas of law, it is important that courts carefully consider the impact of their decisions. Fetal rights activists support the recognition of fetal rights as a benefit for society, promoting healthy babies and justice for children born with physical or mental damage due to the tortious acts of another. However, women’s rights activists put forth the argument that deciding questions of conflict between fetal rights and women’s rights is a zero-sum game, claiming that for every additional right held by unborn children, the liberty of the pregnant women who carry them is impeached. A study of the existing law in the area of fetal rights vs. maternal rights suggests that recognition of fetal rights may result in harm to the rights of women to such an extent as to outweigh any benefits from maintaining a cause of action for maternal prenatal torts. For reasons of personal autonomy and public policy, this article takes the position women should not be found liable to their children for prenatal injuries which result in physical or mental damage.

      • KCI등재

        태아의 권리능력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이홍민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35 No.3

        Article 3 of the Civil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becomes the subject of rights and duties while alive, thereby specifying that a natural person has the legal capacity ‘while alive’. With regard to the foregoing, conventional wisdom interprets the period of ‘being alive’ as ‘from birth to death’, while acknowledging that a person has been born when the fetus has been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th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time of birth can be clearly determined. In addition, although a fetus that has not yet been completely separated from its mother cannot have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in terms of protecting the fetus, conventional wisdom views that the fetus can have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only in cases specially acknowledged by the law. However, conventional discussions regarding how the fetus' legal status should be understood in case where the legal capacity of the fetus is acknowledged deny the legal capacity of the fetus in cases where the fetus was born dead already from the time when whether the legal capacity should be acknowledged or not becomes an issue thereby interpreting the special cases identically to other cases. If the conventional argument as such is followed, a conclusion that with regard to illegal harmful acts against a fetus, the perpetrator should compensate for the damage in cases where the fetus was born with the damaged body but is not required to compensate for any damage in cases where the fetus was born dead as its life was violated will be drawn. The conclusion as such cannot be understood at all from a constitutional viewpoint as it means that the freedom of the body is more important than the right to life under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problems as such, parents who lost a fetus due to the mistake of an obstetrician and gynecologist filed a claim for damages against the doctor but lost the case and they filed a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the related regulations,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egulations were constitutional on the grounds that the regulations stipulating that a fetus born dead cannot have a claim for damages cannot be said to be a violation of the state's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However, the conclusion as such has been criticized by constitutional scholars. Even when the Civil Act is reviewed, it can be found that the conventional argument is unjust because unlike foreign legislation cases, there is no condition attached to our Civil Act for cases where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is exceptionally acknowledged to a fetus. That is, in cases where there is a fictitious provision under the law, in order to overturn the effect assumed by the provision, proving the opposite fact is not sufficient and other requirements stipulated by the law, such as the cancellation of the declaration of disappearance, must be satisfied. However, there are no regulations on the requirements for overturning the assumed effect in relation to the provisions that acknowledged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of the fetus under our Civil Ac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ollow the argument thus far, and in cases where the fetus is exceptionally acknowledged as having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even if the fetus is born dead, it should be regarded as having the legal capacity of the fetus until it is born dead. Based on the conclusion as such, this article described the fetus' claim for damages and inheritance ability. 민법 제3조는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고 규정하여, 자연인이 권리능력을 가지는 것은 ‘생존한 동안’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통설은 ‘생존’한다는 것을 ‘출생했을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로 해석하는 한 편, 출생시점을 명확하게 확정지을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태아가 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에 출생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아직 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태아는 권리능력을 가질 수 없지만, 태아를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예외적으로 법에서 특별히 인정한 경우에 한하여 태아도 권리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태아에게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경우에 그 태아의 법적 지위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대한 종래의 논의는 태아가 죽어서 태어난 경우에는 권리능력의 인정 여부가 문제되었을 때부터 이미 그 태아의 권리능력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해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장에 따르면, 태아에 대한 위법한 가해행위에 의하여, 그 태아의 신체가 훼손된 상태로 태아가 출생한 경우에는 그 가해자가 손해배상을 해야 하지만, 그 태아의 생명이 침해되어 죽어서 태어난 경우에는 태아에 대해 손해배상을 할 필요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결론은 헌법상 생명권보다 신체의 자유가 더 중요한 권리라는, 헌법적인 시각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하여 산부인과 의사의 과실에 의하여 태아를 잃게 된 부모가 그 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였다가 패소하면서 관련 규정들에 대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하기도 하였지만 헌법재판소는 태아가 사산된 경우에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위반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합헌 결정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헌법학자들로부터 비판받고 있다. 민법상 살펴보아도, 예외적으로 태아에게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에 외국의 입법례와 달리 우리 민법에는 아무런 조건이 붙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주장은 부당하다. 즉 법률상 의제규정이 있는 경우 그 규정에 의해 의제된 효과를 번복하기 위해서는 반대사실의 증명으로는 부족하고 실종선고의 취소와 같이 법률이 정한 다른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민법상 태아의 권리능력을 인정한 규정들과 관련하여 그 의제된 효과를 번복하기 위한 요건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주장을 따르기는 어렵고, 태아는 예외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태아가 사산되더라도 사산되기 전까지는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태아의 손해배상청구권과 상속능력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

        태아의 보험능력에 대한 고찰

        최병규 한국기업법학회 2018 企業法硏究 Vol.32 No.2

        The issues in insurance law are changing. Nowadays, one of the issues of the insurance law is whether the embryo can be protected as an insured. In Civil law, individual can get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with all exposure from the mother body. But in regard of bequest and claim for damages, the embryo can exercise his own right although he is not born yet. In the decision of Seoul central district court(2015GaDan5371443), the court has decided that the insurer should pay insurance money. The mother made embryo insurance contract with an insurer. The embryo was announced as insured. After the birth, the insured suffered from hypoxia brain damage. But in the standard contract terms of that insurance contract, the embryo can be insured only after birth. And a surgical operation, pregnancy․delivery were regulated as exempted causes in standard contract terms. The district court has decided that exemption clause on the surgical operation and pregnancy․delivery do not apply to this case. And also embryo can be insured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legally. There are some discussions on this problem among the scholars in Korea. Someone does not agree with the possibility of protection of the embryo as an insured. But other scholars agree with the possibility of protection of the embryo as an insured. The latter insist on the possibility of protection of the embryo as an insured with the necessity and the theory of a condition subsequent. The Civil law accepts the theory of condition precedent about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of the individual. The embryo should be protected also in insurance benefit. But by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we should be somewhat careful. The priority of individual agreements can be one logical basis. And the standard contract terms of embryo insuranc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protection of the embryo as an insured. 태아의 보험능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보통은 산모를 피보험자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태아를 피보험자로 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하기도 한다. 그런데 약관에서는 태아는 태어난 때부터 보험보호의 대상이 된다는 취지를 규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태아의 피보험자성에 대하여 약관의 내용과 당사자가 의도한 내용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사람의 권리능력 취득과 관련하여 민법상의 통설은 전부노출설이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태아에게도 유증이나 손해배상청구에서 권리능력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태아의 보험능력에 대하여는 법률에 명문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인보험의 피보험자는 보험의 대상이 되는 자에 불과할 뿐 반드시 권리나 의무의 주체가 되는 자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할 것이므로 태아가 피보험자의 지위를 취득하는 것 가체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고만 해석할 수는 없고, 계약자유의 원칙상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태아를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 대상판결의 입장이다. 약관에서 태아는 출생한 때로부터 피보험자가 된다고 규정을 하고 있더라도 개별약정을 통하여 태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험은 가능하다고 보아야 하기 때문에 대상판결의 이러한 태도는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대상판결인 서울중앙지법판결은 ‘피보험자의 출산’이라는 면책사유의 의미를 피보험자가 ‘출산의 주체’가 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출산의 대상’이 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불리하게 확대해석할 수 없어 이 사건 보통약관 제15조 제7호에서 정한 ‘피보험자의 출산’은 그 문언 그대로 피보험자가 출산의 주체가 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뿐, 피보험자가 출산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확대해석할 수는 없다고 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일반적인 언어사용으로서 출산의 의미에서 멀어지는 해석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태아보험에서 임신과 출산을 면책사유로 한다는 것은 계약의 본질적 내용을 공허하게 하는 면책약관으로서 약관의 불공정성을 가지고 문제를 삼았어야 옳다고 본다. 그리고 외과적 수술이나 임신, 출산을 면책사유로 하는 것과 관련하여 대상판결은 문제의 태아였다가 출생한 윤○○에게 발생한 저산소성 뇌손상이 이 사건 보험계약 보통약관 제15조 제1항 제7호에서 면책사유로 정한 ‘외과적 수술, 그 밖의 의료처치’로 인한 손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하고 있는바, 이러한 판단을 옳다고 본다. 한편 현행 산재보험법은 산재의 수급권자를 근로자 본인으로 한정하고 있기에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태어난 근로자의 자녀들은 산재보험의 요양급여수급권이 없다고 한 것은 타당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태아에게도 권리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산재보험법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태아의 피보험자성과 관련하여, 민법상 권리능력 취득과는 무관하게 태아도 피보험자는 될 수 있다고 본다. 개별적으로 유증이나 손해배상청구 등에서 태아의 권리능력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과 개별합의로써 태아를 피보험자로 지정ㅎ는 것은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현행 태아보험약관에서 태아는 출생함으로써 피보험자가 된다고 규정을 하는 것은 시대에 부합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를 수정하여야 한다. 정책적 개선 제안으로서, 태아보험의 자체 상품을 ...

      • KCI등재

        태아의 생명권에 관한 소고

        김종세(Kim Jong-Se)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40 No.-

        기본권 중에서도 생명권은 사람의 생명을 보장받는 권리이며 모든 기본권의 전제가 되는 시원적 권리로서, 출생 이후의 인간 못지않게 출생 전의 태아에게도 인정되어야 할 기본권이다. 이 점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10조의 규정상 명백하다. 따라서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상 태아에게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결국 태아에게도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하여 생명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하고, 이때 태아의 생명권의 내용은 태아를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는 생명의 실체적 주체로 인정하고 그 생명을 직ㆍ간접적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헌법 제10조 제2문은 국가로 하여금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담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을 위해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여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는 스스로 개인의 생명을 침해할 수 없음은 물론, 사인에 의한 침해로부터 개인의 생명을 보호할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타인의 생명을 침해한 자에 대해 살인죄로 처벌하여 형사적 책임을 지우고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통해 사법상의 책임을 묻도록 함으로써 국가는 개인의 생명보호를 위하여 최소한의 법적, 제도적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하여 태아의 생명을 침해한 자에 대해서도 낙태죄 또는 모자보건법위반죄와 같은 형사적 책임을 지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태아는 손해배상의 청구권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는 민법 제762조를 ‘태아가 살아서 출생한 경우에만 손해배상청구권을 취득하되 다만 그 청구권의 발생 시기만 태아 당시로 소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면, 생명을 침해당한 태아는 이미 살아서 출생할 수 없음이 명백해졌으므로 손해배상청구권을 취득할 수 없게 되고, 태아의 생명을 침해한 자는 태아에 대하여 아무런 사법상 책임을 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태도는 국가가 태아의 생명을 실체적인 가치로 인정하지 않고 허구적이고 조건적인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태아의 생명을 경시하는 것으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여야 할 국가가 그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결과이다. 민법 제762조를 살아서 출생한 태아에 한해서만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함으로써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해태는, 태아가 불법적인 침해행위로 사망한 경우와 단지 상해만을 입어 출생한 경우를 비교해 보면 더욱 명백해 진다. 불법적인 침해행위를 당한 태아가 상해를 입고 출생하면 태아는 가해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권을 취득하지만, 그 불법적인 침해행위로 사망한 경우에는 태아는 아무런 손해배상청구권을 취득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태아의 신체를 훼손한 자는 사법상의 책임을 지지만 태아의 생명을 침해한 자는 아무런 사법상의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것으로서, 이는 헌법이 부여하고 있는 태아에 대한 기본권보호 의무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다. Pope Benedict said embryos should be given the same dignity as a newborn or fully-grown adult After 10 weeks into the pregnancy, the embryo has already taken on the form of a human being. The death of a woman in a traffic accident has developed into a sharp debate over medical ethics as German doctors keep the brain-dead woman's body alive to nurture her 4-month-old fetus to eventual birth. And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orality in the use of tissue from an aborted fetus. Most people think, for example, that abortion is always morally problematic, and must never be undertaken except for good reason, but that it is nevertheless from time to time justified. Some think it justified only to save the life of the mother. Other overlapping but nonidentical groups think it justified in other circumstances as well: to protect the mother from non-life-threatening physical impairment, for example, or in cases of rape and incest, or in cases of serious fatal deformity. They call such general tendency about abortion is well established through the U. S. Supreme Court's three abortion cases including Roe v. Wade case. In general, Roe case is famous for making trimester and viability standard in supreme Court's Case stream. But Many Commentators have wondered that Webster case was widely viewed as in itself altering Roe case, and that Casey decision upheld a comprehensive Pennsylvania regulatory statue assumed that Roe decision would soon be overturned. After all, since the nature of abortion cases would be basically with the conception of God or philosophical argument, it was so puzzled to solve the key of abortion problems through case study.

      • KCI등재

        발표논문 : 태아의 법적 지위에 관한 재고

        권순한 ( Soon Han Kwon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4 연세법학 Vol.24 No.-

        민법은 태아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과 상속 그리고 유증에 관하여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아의 개별적인 권리능력은 모두 태아의 출생을 조건으로 하여 인정된다는 것이 학설이며 판례였다. 그러나 태아의 권리능력을 모두 이렇게 획일적으로 출생을 조건으로 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실정법상 근거가 있는 것 인지 의문이며, 구체적 타당성의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 조문의 취지에 맞게 개별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태아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태아가 살아서 출생할 것을 조건으로 하지 않으며, 태아가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산을 한 경우에도 손해배상청구권이 인정되고 이것이 상속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달리 상속에서는 태아는 상속 순위에 관하여 출생을 의제하고 있을 뿐 상속권 일반에 관하여는 규정하지 않으므로, 태아는 상속인이 될 수 있는 잠재적 지위만 인정받으며, 살아서 출생을 한 때에 그 지위가 현실화되어 구체적인 상속권을 취득하게 되고, 사산하면 잠재적인 지위가 소멸되어 결국 상속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태아에 대한 유증에서도 마찬가지로 태아는 수증자가 될 잠재적 지위를 인정받지만 출생한 때에 비로소 수증자로서의 구체 적 권리를 취득하며, 사산의 경우에는 유증의 효력이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부(父)는 태아를 인지할 수 있으나, 이는 태아의 권리능력과는 별개로 태아가 인지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을 뿐이라 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Civil Act have statutes that acknowledge the legal capacity of the fetus on claims for damage caused by torts, inheritance and testamentary gift. Both the precedent and the theories say individual statutes on legal capacity of the fetus are all recognized on a condition that the fetus being born. However it may be asked whether there is a positive law basis on the uniformed interpretation of the birth condition. Also, this interpretation has problems in terms of propriety and soundness too. So it should be interpreted individually by the intent of each provision. In respect of claims for damage the fetus does not have to be on condition to be born, so the fetus still can claim for damage even though it is stillborn. And also the claims for damage could be inherited.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order of inheritance, the fetus is considered as born and there are no other provisions about the general right to inheritance. So a fetus has only potential status to be an heir, and the status actualizes at birth and then the fetus can acquire a concrete inheritance. But if the unborn child is a stillborn, then the potential status cease to extinct and the unborn child cannot inherit anymore. The same applies to testamentary gift to the fetus. Namely the fetus has a potential status but acquires the specific right as a donee at birth and to a stillborn the testamentary gift is no longer effective. Meanwhile a father may affiliate an unborn child, but this is apart from the legal capacity of the fetus, just that an unborn child may be an object of an affiliation.

      • KCI등재

        태아상해와 상해죄의 성부에 대한 해석론적 고찰

        김종덕(Kim Jong-Deok)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0 No.-

        현행법상 상해죄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므로 사람이 아닌 태아를 대상으로 한 상해행위로 태어난 아이에게서 상해의 결과가 나타난 (이른바 태아성 치사상) 경우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나누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直接 胎兒에 대한 가해행위로 취급하는 방법과 우회적으로 産母에 대한 가해행위로 포착하는 방법이 있는 바, 전자는 태아를 독립적 개체로 파악하는 현행 형법의 입장에 충실하나 태아성 치사상의 경우를 처벌할 수 | 없음으로 인해 형사정책적 결함이 발생한다. 이에 비해 후자는 태아를 모체의 일부로 파악함으로써 현행 형법상의 해석론으로서는 무리이나 胎兒性致死傷을 처벌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생각건대 이상론적으로는 태아도 모체의 일부이며 사람과 태아의 보호가치성은 원칙적으로 동등하다는 시각을 전제로 하되, 다만 태아는 사람이 되기 직전의 미완의 생명체이므로 그 보호정도에 있어서는 사람과 차별화되어야 하며, 그것도 태아의 발육정도(모체 밖 생존가능성)도 고려함이 타당하다. 요컨대 사람과 태아를 명백히 구분하고, 상해죄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현행 형법의 태도를 전제로 한 태아성치사상의 경우의 해석론으로서는 ‘모체’ 또는 ‘태아’ 자체보다는 ‘태어난 사람’에 대한 상해죄나 과실치상죄 등의 성립을 부정하는 소극설은 부당하며 적극설이 더 합리적임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론을 펼치더라도 여전히 다소의 문제점은 나타나고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태아는 모체의 일부이면서도 상당한 독립성이 있는 개체임을 전제로 새로운 유형의 범죄(예컨대 태아지상치사죄, 태아상해치상죄, 태아상해치사죄 등)형태의 입법을 통해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Recently, with progress of med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the problems on life of fetus as a live being or origin of human being that should to be protected by law and establishment of its protection's boundary are rising to the surface of debate as a very important problems newly. New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that fetus has nearly equal protective value by law to person is introduced in this paper. In criminal sanction due to doing harm toward to the Foetus, we should have a viewpoint that foetus is a part of the mother's body and in principle protection's necessity of person and foetus is equal to each other. Because of foetus is unfinished life of just prior to the person. it should be distinguished protection degree of person life from it of foetus.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by the legislation(law-making) about new type's crime ultimately,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etus is a apart of the mother's body and it is an individual object recognized the independence. Though(even if) biologically the foetus is a part of the mother's body, we should be based sight that the foetus is separated from the mother's body as a interpretation theory in legal viewpoint. Because korean criminal law discriminate between person and foetus clearly and persons only have a qualification as the object of charge of inj uring another. In conclusion, if results of injury occur in born child by doing harm toward to the foetus, they should be punished not as a charge of injuring another or accidental infliction of injury against the foetus or the mother's body but as a it against the born child.

      • KCI등재

        임신낭내 무태아와 유태아의 유산아 염색체 분석 : 무태아 임신의 발생은 염색체 이상과 관련 있는가? Do Chromosomal Abnormalities Relate to Anembryonic Pregnancy?

        양광문,안현경,유근재,송인옥,김진영,송지홍,강인수,전종영,궁미경,최범채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임상적으로 인지된 임신의 약 15-20%는 대부분 임신 제1삼분기에 자연유산을 초래한다. 유산의 형태 중 어떤 경우는 초음파에서 임신 낭 속에 태아가 보이지 않고 단지 태반의 일부와 배체 외 물질만을 보인다. 이런 상황을 “무태아임신”이라 명명하고 있으며, 그 빈도가 드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래되는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수태산물의 핵형 분석을 통하여 무태아임신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94년 1월 1일부터 1997년 12월 27일까지 삼성제일병원 습관성 유산 클리닉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계류유산을 진단 받고 소파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무태아임신 28예와 자궁 내에서 확인된 태아임신 115예를 구분하여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환자부부는 모두 정상 핵형을 가지고 있었다. 소파 수술 후 수태산물에서 얻은 융모막 세포는 표준 G-분염법을 사용하였으며 핵형분석을 위해 장기배양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이나 유산빈도, 원인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무태아 임신 유산에서는 염색체검사상 45% (52/115)가 정상 소견을 보였으며 자궁 내에서 태아가 확인되었던 유산에서는 46% (13/28)에서 정상소견을 보였고 비정상 염색체의 빈도에 있어서도 두 군간에 차이점이 없었다 (p>0.05, Chi-square test). 또한 염색체 이상소견 중 이수성 (aneuploidy)과 다배수성 (polyploidy)의 빈도도 비슷하였고 또한 배수성 (euploidy) 자연유산의 빈도에서 성별의 차이점도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무태아 임신과 자궁 내 태아임신의 핵형 이상의 발생빈도에서 차이점이 없으며 임신 낭 내에 존재하는 수태산물의 형태는 염색체 이상유무와 무관하다고 생각된다. 무태아임신의 형성에 관한 새로운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우선 태반과 자궁탈락막사이의 면역학적인 역할을 규명해야 하며 자궁 내 존재하는 태아에 미치는 연관성을 조사해 보는 연구가 흥미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Approximately 15-20% of all clinically recognized pregnancies result in spontaneous abortion between 8 and 12 weeks. In some early abortus only the extra-embryonic components of the conceptus survive, either as fragments of placenta or as empty gestational sac, and these have been termed ‘anembryonic pregnancies'. Despite their common occurrences, the etiology of anembryonic conceptuses i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chromosomal abnormalities relate to a role in anembryonic pregnancy.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that consisted of 143 pregnancies from chromosomally normal couples that aborted in first trimester period between January 1, 1994 and December 27, 1997, had chromosomal analysis performed on the products of conception and had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prior to spontaneous abortion. The tissue was processed and analysed using standard G-banding cytogenetic techniques with long-term cultures. Results : The patient characteristics of the anembryonic pregnanc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mbryonic pregnancy. Among products of conception from embryonic pregnancies, 45% (52/115) had normal chromosomal analyses and 55% (63/115) had abnormal chromosomal analyses. Products of conception from anembryonic pregnancies resulted in 54% (15/28) of abnormal chromosome analyses and normal chromosomal analyses resulted in 46% (13/28) (p>0.05, Chi-square test). The frequency of aneuploidy and polyploidy were not different between products of conception from anembryonic pregnancy and embryonic pregnancy. Also, the gender ratio of euploid spontaneous pregnancy losses showed similar in this study. Conclusion : There are no differences in frequency of abnormal karyotypes in products of conception from anembryonic pregnancies compared with miscarriage after the demonstration of fetal pole. If further studies are need for the evaluation of these etiologies, and then immuno-molecular studies in early placental tissues from anembryonic pregnancy might be helpful.

      • KCI등재

        태아의 초상권 보호 연구

        임대성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9 No.2

        The recent decisions of the High Court in Seoul Korea 2019na2045228 (main court) and 2019na2045235 (counters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decision) are cases of claims for damages due to non-performance of contractual obligations related to fetal ultrasound video supply service. In this decision, the court ruled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ultrasound image of the fetus wa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regnant woman, so that the mother of the fetus has all the right to take and dispose of the photo. In the case of a video of a ‘masturbating fetus,’ which was introduced in a parent counseling program aired on TV and became famous, even if the fetus grew up after birth, it was filmed, posted, and disseminated regardless of the person's will.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should be possible or not. Of course, it is judged that the target decision has specific validity in the relevant cas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types of ultrasound pictures vary from simple 2D black-and-white pictures to stereoscopic 4D pictures, and depending on the week of pregnancy, from small dots to shapes that relate parental features, a detailed review of fetal ultrasound video is not possible. seems necessary Article 3 of the current Civil Act stipulates that everyone is the subject of rights and abilities, and in the case of the fetus, it was an individual protectionism and exceptionally protected position. The Supreme Court precedent took an active stance in protecting the fetus, such as recognizing the eligibility of the insured in the accident insurance contract. Accordingly, there was a need to reexamine whether the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can satisfy both specific validity and legal stability when applied to various problems related to fetal photo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ition to recognize the right to portrait of the fetus, and to discuss that the fetus can be included as a person under Article 3 of the Civil Act for this purpose, and to deal with the need for re-discussion on the rights and abilities of the fetus. In this study, the area discussed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orts and general legal acts (typically contracts), and considering the provision for fetal birth in the claim for damages due to torts under Article 762 of the Civil 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ussion could be applied. In the case of juristic acts, if there are provisions in the civil law that take individual protectionism, they can be protected according to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However, in other areas, a new approach is needed, and methods such as institutionalizing a pre-procedural roadmap such as parental consent instead of maternal consent in the field of photographing fetuses or enacting portrait rights related laws should be introduced. 최근 서울고등법원 2019나2045228(본소), 2019나2045235(반소) 판결(이하 대상 판결)은 태아 초음파 동영상 공급 서비스와 관련된 계약상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사례이다. 본 대상 판결에서 판례는 태아의 초음파 사진의 법적 성질을 임산부의 개인정보로 판단했다. 대상 판결의 소송 당사자에 태아 측은 없었기 때문에 태아의 초상권에 대한 태아의 권리주체성, 초상권 보호성이 인정될 경우 태아인 동안 해당 태아의 초상권에 대한 보호 방안, 태아가 출생한 이후 해당 초상 이미지에 대한 권리 주장 방법 등에 대해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태아의 친부가 해당 영상에 대해 태아의 친모와 함께 관련 권한을 가지는 지도 논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태아의 모친이 해당 사진의 촬영 및 처분의 권한을 가지게 된다. TV에서 방영되는 부모 상담프로그램에서 소개되어 유명세를 치렀던 ‘자위하는 태아’의 동영상 MBC 다큐플렉스, ‘상상도 못 한 태아 초음파 사진의 비밀,’ www.youtube.com/watch?v=lwUDaPgXBLw. 의 경우 해당 태아가 출생 후 성장해서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촬영․게시․유포된 것임에도 어떠한 권리도 주장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인지 의문이다. 대상 판결은 해당 사안에서 기존의 태아의 권리능력 논의에 따를 때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태아 측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정치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즉 초음파 사진의 유형이 단순 2D의 흑백 사진부터 입체 4D까지 다양하며 임신 주차에 따라 작은 점과 같은 모습부터 부모의 이목구비를 연관시키는 모습까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태아초음파 동영상에 관하여 세분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현행 민법 제3조는 모든 사람이 권리능력의 주체임을 밝히고 있고 태아의 경우는 개별적 보호주의를 택하여 예외적으로 보호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명문 규정과 무관하게 태아의 생명권의 주체성이 인정된다고 보았고, 대법원 판례는 상해보험계약에서 태아의 피보험자 적격성을 인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태아의 사진과 관련된 제 문제에 적용할 때도 기존의 이론과 판례가 구체적 타당성과 법적 안정성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지 재검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태아의 초상권을 인정하는 입장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위해 태아를 민법 제3조 상의 사람에 포함될 수 있다는 논의를 전개하여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재논의 필요성을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하는 영역을 불법행위와 일반 법률행위(대표적으로 계약)로 나누어 민법 762조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에서 태아의 출생 간주 조항을 고려할 때 태아의 초음파 사진과 관련된 불법행위의 경우 관련 논의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법률행위의 경우에는 개별적 보호주의를 취한 민법의 규정이 있는 경우 기존의 이론과 판례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태아의 사진을 촬영하는 분야에서 산모 동의 대신 부모의 동의와 같은 사전적․절차적 로드맵을 제도화하거나, 초상권 관련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방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