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외 및 국내대학의 지식재산학부 교육 커리큘럼의 비교

        김영재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급변하는 지식재산 산업을 대비하기 위해 선진국의 교육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에 맞는 교과 과정을 제안하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다. 각 국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대학원 과정의 연구는 1년 교육과정에 국한 되어 있어 체계 있는 분석과 연구가 힘든바, 학부 과정이 있는 선진국의 커리큘럼의 분석과 비교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조사를 실시하면서 한국에 있는 지식재산학부에 대한 분석도 병행을 하게 되었다. 먼저 지식 재산학부 과정이 있는 한국 대학을 찾아 커리큘럼을 조사 및 분석 하였으며, 그 후 특허 3극이라고 불리어지는 나라인 일본과 유럽의 대학중 지식재산학부가 존재하는 학교의 학부 커리큘럼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교과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직접 만든 7개 기준 교과목으로 분류를 하였고, 이를 통해 각 대학의 학부 과정의 특징들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선진국과 한국과의 교육 커리큘럼의 차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식 재산 선진국인 일본의 오사카 공업대학과 유럽나라 중 독일의 암베르그-바이덴 대학교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필수 과목 및 선택 필수 과목의 분포도를 7개 기준 교과목 각 부문으로 나누고 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기준 교과목 중 가장 비중이 큰 교과목을 살펴보니, 선진국의 커리큘럼들은 필수 및 선택 필수 과목 중 적게는 42.85%에서 많게는 65%까지를 공학 계열의 교과목으로 구성하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 어학 및 인문 부문의 교육을 통해 global 전문가 육성에 힘쓰고 있다는 것도 큰 차이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또는 실무 부문, 또한 교육과정 중 큰 portion 으로 배정해 놓았다는 것도 한국과는 많은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실무 경험을 통한 체험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은 학생들로 하여금 전문성의 배양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 항암치료특성별 통원 암환자의 지식정도 및 교육요구

        전미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통원 암환자의 특성 및 치료과정에 따른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를 확인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도구는 문헌고찰과 전문가의 타당도와 사전조사를 거쳐 질병 및 일반적인 치료 영역 7문항, 항암화학요법 영역 9문항, 일상생활 관리 영역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 1.2.~ 2008.5.28일 까지 경기도 소재의 암 전문병원에서 항암 화학요법을 받을 예정이거나 받고 있는 242명의 통원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지식정도 평균은 2.56±0.46 이며 전체 교육요구도 평균은 3.44±0.45으로 교육요구는 높고 지식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고 질병 및 일반적인 치료, 항암화학요법, 일상생활 관리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항으로는 ‘재발 시 나타나는 증상’과 ‘예후’ 등 자신의 질병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는 본 연구에서 교육수준과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음에 따라 지식정도가 높았으며 교육요구도는 여성 암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일반적인 특성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암 종, 재발이나 전이 유무에 따른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진단 후 기간에 따른 지식정도의 차이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항암화학요법 영역에서 진단 후 기간이 길수록 높은 지식정도를 나타내었고, 진단 후 기간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전 치료 방법과 항암화학요법 횟수에 따른 전체적인 지식정도는 항암화학요법의 경험에 따라 지식정도가 높아졌으며 전체적인 교육요구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환자는 항암화학요법 영역에서,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있는 환자는 질병 및 일반적인 치료 영역에서 높은 교육요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환자들은 ‘재발’이나 ‘예후’ 등 예측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질병과정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나타내었고 높은 교육요구에 비해 낮은 지식정도를 나타내어 이를 위한 간호사의 질병과정에 대한 상담과 지식제공이 요구되었다. 또한 치료 특성에 관계없이 교육에 대한 요구는 계속 높았지만 항암화학요법 경험에 따라 집단 간 지식정도의 차이와 영역별, 문항별 교육요구도 순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질병치료 과정 단계마다 개개인의 지식정도와 교육요구에 대한 재사정을 통한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맞춤 교육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in order to develop a preliminary educational program for cancer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knowledge degree, and educational needs. method: The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designed after other related studies were reviewed and validity was tested by specialists, which consists of seven general questions about their cancer and its treatment, nine questions about cancer chemotherapy, and ten questions about their self-care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 to May 28, 2000 from 242 outpatients who at a cancer center in Gyeonggi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which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2.0. result: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verall mean of knowledge degree is 2.56 ±0.46 and the one of educational needs is 3.44 ± 0.45. The relations among the section of disease and its general treatment, knowledge degree, and education needs were the highest and those in the section of cancer chemotherapy were the second highe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formation needs about stage of cancer such as symptoms and prognosis of cancer recurrence were the highest. 2. Knowledge degre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reased with both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whereas educational needs were significantly high only among female cancer patients.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degree and educational needs both in correlation with cancer type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either of recurrence or of metastasis. Although the difference in knowledge degree of period after diagnosis was negligible overall, the knowledge degree and period after diagnosis in questions about chemotherapy was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needs and period after diagnosis. The overall knowledge degree in previous treatments and frequency of chemotherapy was high. Although the overall educational needs in the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cancer chemotherapy showed high educational needs in cancer chemotherapy section. In contrast, patients who received cancer chemotherapy showed high educational needs in disease and general treatment sectio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educational needs were always high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and that experience of cancer chemotherapy made difference in knowledge degree between groups and in educational needs of each section and question. In conclusion, it may be useful to provide systematic,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s to patients by reassessing their personal knowledge degree and educational needs in each stage of disease treatment.

      •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 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임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 직무특성, 문제해결력의 수준은 어떠한지, 지식창출활동과 직무특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지식창출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근로자 전체이며,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공하는 기업 공시 사이트인 코참비즈를 활용하여 1000대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목표 모집단으로 삼았다. 또한 조사대상의 접근 한계로 인해 비확률표집방법 가운데 유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코참비즈에 공시되어 있는 1000대 기업에 포함되는 38개의 대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 3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설문지가 사용되었고, 설문지에는 지식창출활동, 직무특성, 문제해결력 측정도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기존의 측정도구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지식창출활동 척도는 공동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를 포함한 4가지 영역, 총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80∼.89이었다. 직무특성 척도는 기술의 다양성, 과업 중요성, 과업 정체성, 과업 자율성, 피드백을 포함한 5가지 영역, 총 14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적일치도 계수는 .75∼.84이었다. 문제해결력 척도는 문제해결자신감, 문제수용력, 개인 통제력을 포함한 3가지 영역, 총 18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61∼.74이었다. 모든 측정도구는 총 2회에 걸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4월 1일부터 4월 17일까지 우편조사, 이메일, 웹 서베이, 직접 방문 등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38개의 대기업을 대상으로 총 300부가 배포되었으며 이 가운데 280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95.4%). 이 가운데 불성실 응답, 미응답 자료를 제외하여 총 267부(유효자료율 93.3%)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Windows SPSS 15.0이 사용되었으며,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방법과 지식창출 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지식창출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또한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0.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중 지식의공동화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지식의 내재화 수준이 낮았기 때문에 내재화의 단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조직 차원에서 학습 문화를 조성해 주고 액션러닝과 같은 학습 설계를 마련해 주는 것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직무특성은 지식창출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식창출활동의 과정별 직무특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지식의 공동화에 대한 설명량은 22.5%였으며 기술의 다양성과 과업 자율성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식의 외재화에 대한 직무특성의 설명량은 34.9%였으며, 기술의 다양성, 과업 자율성, 피드백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의 결합화에 대한 직무특성의 설명량은 29.9%였으며, 기술의 다양성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식의 내재화에 대한 직무특성의 설명량은 32.9%였으며, 기술의 다양성, 과업 중요성, 피드백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과 직무특성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문제해결력은 직무특성 변인 가운데 기술의 다양성 및 피드백과 지식창출활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내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 차원의 학습 환경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내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새롭게 창출된 지식이 실제 업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학습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직무특성과 지식창출활동간의 관계에 있어 문제해결력 외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의 투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직무에 대한 개인의 책임감, 직무만족과 같은 변인을 고려하여 이 면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근로자의 직급이나 직무와 같은 특징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차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마케팅, 연구 개발과 같이 서로 다른 직무분야에 따른 차별적 연구를 수행하여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과 관련된 좀 더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식창출활동이 실제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지식창출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선행변수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지식창출활동이 조직적 차원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활동을 촉진시키는 전략으로서 직무에 대한 탐색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 소재부품기업의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선배 안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소재부품산업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소재부품은 완제품 수요에서 유 발되며 완제품의 가격, 성능 및 품질을 결정한다. 둘째, 소재부품은 완제품 수요와 다르게 특허나 표준 등을 통하여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산업화 과정에서 산업의 연관구조를 임계수준 이상으로 구축하지 못 할 경우에는 소재부품산업으로 진입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특성은 경쟁환경 요인의 제품차별화, 진입장벽, 시장규모와 관련이 있다. 최근의 연구는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지식자원비용이 지식자원의 증가로 연결되어 기업성과를 달성하는 데 최종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소재부품산업의 특성과 경쟁환경의 관련성으로 볼 때 소재부품기업의 지식자원비용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 라 기업성과를 향상하는데 중요한 비용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지식자원비 용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로 혼재한다. 또한, 회계분야에서 소재부품 기업에 관한 연구와 경쟁환경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 락에서 소재부품기업이 속한 산업의 경쟁환경에 따라 판매관리비로 인식 된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지식 자원개발활동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학문적 이해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Karuna(2007)가 제안한 경쟁환경 요인에 따라 소재부 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따라서 2004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거 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 비로 인식된 교육훈련비가 진입장벽이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과 시장규모 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환경과 관계없이 총자산이익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자기자본이 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출성장률에 미치 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다. 즉, 교육훈련비가 매출 성장에는 도움 이 되지 않으나 수익성 개선과 기업가치를 향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연구개발비가 경쟁환경에 관 계없이 기업가치와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제품차별화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 시장규모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에서 총자산이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자기자본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경쟁환경과 관계없이 회 귀계수가 정(+)의 값을 갖지만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 구개발비가 기업가치와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익 창출에는 일부 유의성이 없는 기업도 있으나 모두 정(+)의 계수 값을 나타내므로 이익 창 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광고선전비가 경쟁환경에 관 계없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시장규모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총자산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차별화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진입장벽이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시장규모가 작은 산업에 속한 기업에서 자기자본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매출성장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광고선전비는 단기적으로 이익을 악화시키나 Tobin`s Q와 매출 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자자들이 소 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광고선전비가 미래 기업성과를 향상할 것이라고 긍정적인 판단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 식된 교육훈련비가 매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하고, 판매관리비로 인 식된 광고선전비가 단기적으로 이익을 악화시키나 소재부품기업이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장기적으로 기업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훈 련, 연구개발, 기업 이미지, 제품에 대한 광고선전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회계분야에서 산업수준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기업의 특정 비용과 기업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경우에 비용특성과 경쟁환경의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지식자원개발활동과 관련한 정책수립, 경영계획, 투자분석, 신용평가에 참 고할 수 있는 회계정보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parts industry, First, the material parts is caused by the demand for finished products and determine the price, performance and quality of finished products. Second, material parts can establish high barriers to entry through patents and standards, unlike demand for finished products. In addition,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if the linkage structure of the industry can not be constructed above the critical level, a large expenses is required to enter the material parts industry.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product differentiation of competitive environment factors, entry barrier, market size. Recent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which is recognized as the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s(hereafter SG&A expenses), is linked to the increase of knowledge resources and is likely to contribute to achieving firm performance finally. In particular, given the relev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parts industry and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for material parts companies has a large impact on the industry as a whole, but also important in improving firm performance. However,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knowledge resource expenses are mixed with research that knowledge resource expenses has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research on material parts companies in the field of accounting and research on competitive environment are lacking. In this context, we analyze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which is recognized as SG&A expenses, I think that academic understanding and empirical research that can refer to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knowledge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knowledge resource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on firm performance according to competitive environment factors proposed by Karuna(2007).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04 to 2014 as an ex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except for companies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low entry barrier and those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large market size. Also, Regardless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turn on equity(ROE) excluding the companies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high entry barrier. The effect on sales growth rate(GRW)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do not contribute to sales growth but contribute to improving profitability and enterprise value. Second,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regardless of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in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firms with high entry barrier, and companies with high market size. Regardless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regression coefficients have positive(+) values, but not significant, on the return on equity(ROE). In other words,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contributes to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and some companies have little significance in profit generation, but all of them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profit generation with a positive coefficient. Third, advertising expenses(AD)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regardless of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except for companies with big market. In the case of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companies with low entry barrier, and companies with small market size, has been shown that the advertising expens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 on equity(ROE), the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the companies belonging to the industry with low entry barrier, and the companies with the small market size bu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growth rate(GRW). Although advertising expenses in the short term, deteriorating profits,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dvertis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the material parts companies are positive for improving the future firm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on sales growth rate(GRW) are mixed. In addition, advertis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are worsening profits in the short term. However, in order to improve long-term firm performance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material parts companies,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irm image, and product promotion are required. Second,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at the industrial level in the field of accounting.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specific expenses and firm performance suggests that expense characteristics and competitive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ccounting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in policy formulation, management plan, investment analysis, and credit evaluation related to knowledge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of users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derived.

      •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이 중국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걸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경제의 글로벌화로 인해 혁신은 기업 발전의 주요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업의 혁신 수준은 결국 지식 근로자 간의 경쟁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업이 혁신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재 유치, 인재 관리, 인재 육성 등의 3가지 요소가 상호 연관된 관계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식 근로자의 특성이 조직 혁신의 핵심 역량으로 부상함에 따라, 이는 조직 리더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의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지식 근로자의 혁신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조직문화와 지식 근로자의 혁신적인 행동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우수한 조직문화는 지식인 개개인의 아이디어 발전, 가치 재인식, 학습, 지식수준 향상, 그리고 도전 정신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또 다시 조직문화는 근로자들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지식근로자들이 자기관리에 대한 욕구를 존중받으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환경에서 혁신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이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어떠한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한 논문은 아직 부족하다. 특히,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지식 근로자들이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자율성을 느끼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에서 공정한 대우를 경험함으로써 지식 근로자들의 신뢰와 혁신적인 행동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문화,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은 어떠한가? 둘째,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 혁신행동과 관계가 어떠한가? 셋째,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 혁신행동에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지식 근로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여섯째, 지식 근로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山东)에서 10개 정도 지역시의 하이테크 기업에 근무한 지식 근로자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예비조사에서 159부, 본 조사에서 56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토대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변수 간의 경로와 인과관계의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첫째, 조직문화의 각 하위요인은 동일한 변수에 있는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의 각 하위요인은 동일한 변수에 있는 조직문화,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각 하위요인은 동일한 변수에 있는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인은 동일한 변수에 있는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행동의 각 하위요인은 동일한 변수에 있는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설검증에서는, 첫째, 조직문화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그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조직문화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그들의 혁신행동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조직문화는 조직공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그들의 조직공정성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그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그들의 혁신행동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공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그들의 조직공정성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일곱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그들의 심리적 혁신행동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덟째,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근로자의 조직공정성이 높을수록 그들의 혁신행동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에서는 첫째, 조직문화와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 간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Bootstrap 결과는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에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총효과 0.739(p=0.001)는 신뢰구간 하한 0.592, 상한 0.817로 0을 포함하지 않아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43.0%(0.318/0.739=0.430)는 매개변수인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에 의한 효과로 검증되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총효과 0.372(P<0.001)는 신뢰구간 하한 0.227, 상한 0.468으로 0을 포함하지 않아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의 간접효과 0.196(P<0.01)는 신뢰구간 하한 0.086, 상한 0.289로 0을 포함하지 않아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47.3%(0.176/0.372= 0.473)는 매개변수인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에 의한 효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국 하이테크 기업의 지식 근로자의 혁신 행동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정부는 하이테크 기업이 과학연구 인력을 주체로 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인재 영입 및 육성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하이테크 기업과 정부는 기업이 혁신 및 관련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련 정책 및 규정을 도입하고 개선하며, 지식 근로자 정보 피드백 추구를 위한 플랫폼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실천적 제언으로 첫째, 지식 근로자의 업무 가치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강화하여 지식 근로자의 혁신의식과 혁신행동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관리자는 지식 근로자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충분히 이해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을 토대로 개인 및 조직 혁신에서 지식 근로자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업무 및 혁신 활동에 공정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셋째, 리더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토대로 지식 근로자와의 소통을 통해 임파워먼트를 부여하고 지식 근로자의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조직공정성의 관점에서 기업 문화를 강화하고 공정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선진화된 조직문화를 구축은 기업 경영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 파워"이며, 공정하고 공평한 조직문화 분위기는 근로자들의 조직적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직문화를 강화하여 공정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본 연구는 하이테크 지식 근로자의 혁신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한 것에 있다. 향후 혁신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하이테크 기업의 자식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의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향후 지식 근로자에 관한 문제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지역의 몇 가지 도시의 지식 근로자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을 확대하고 다양한 지역의 지식 근로자를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임파워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혁신행동을 종속변수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향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한 대면조사나 인터뷰를 통한 대면조사를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Innovation is recognized as a major driver of corporate development due to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level of corporate innovation is eventually developing into competition among knowledge employee. In order for a company to achieve innovative growth, it was recognized that three factors were related to each other: attracting talent, managing talent, and fostering talent. As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mployee emerge as a key competency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interest of researchers as well as organizational leader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Research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s are closely related. Excellent organizational culture promotes the development of ideas, re-awareness of values, learning, improving knowledge levels, and challenging spirit of individual intellectuals, and as a result, organizational culture is affecting workers' innovative behavior. Empowering leadership can help knowledge employee perform innovative activities in a relatively free environment, respected for their desire for self-management. However, how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ing leadership affect the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 There is still a lack of papers that study what mediating effects are. In particular, psychological empowerment motivates knowledge workers to feel responsibility and autonomy for their work and to present innovative ideas. Organizational justice can positively affect the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 by experiencing fair trea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mpower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major variables that affect knowledge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m to derive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knowledge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 Second, how do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ing leadership of knowledge employee relate to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how do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ing leadership of knowledge employee affect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urth, how does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f knowledge employee affect innovative behavior? Fif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employee? Six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employee'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surveyed knowledge employee who worked at high-tech companies in about 10 local cities in Shandong, China, and used them for the study based on valid questionnaires of 159 copies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565 copies in the main survey. The data analysis used the SPSS 26.0 and AMOS 25.0 progra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ath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first, each sub-factor of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sub-factors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same variable. Second, each sub-factor of empowering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sub-factors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same variable. Third, each sub-facto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justice, and sub-factors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same variable. Fourth, each sub-factor of organizational justi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ub-factors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same variable. Fifth, each sub-factor of innovativ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same variable. In the hypothesis test,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innovative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justice,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organizational justice. Fourth, empower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Fifth,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innovative behavior. Sixth, empower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justice,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organizational justice. Seventh,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innovative behavior. Eighth, organizational fair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verify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justice of knowledge employee, the higher their innovative behavior. Finally,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first, the Bootstrap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knowledge employee showed that the total effect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did not include 0. As a result, 43.0% (0.318/0.739=0.430)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innovative behavior was verified a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which are parameters. Second, the total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as 0.372 (P<0.001), which did not include 0 at the lower limit of the confidence interval and the upper limit of 0.468.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cause it did not include 0 at the lower limit of 0.086 and the upper limit of 0.289. As a result, 47.3% (0.176/0.372=0.473) of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was verified a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which are paramet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innovative behavior of knowledge workers of Chinese high-tech companies.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ustomized talent recruitment and fostering plan to respond to the situation in which high-tech companies are led by scientific research personnel. Second, high-tech companies and governments should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companies to innovate and carry out related activiti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and improve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and provide platforms and opportunities for pursuing knowledge employee information feedback. As a practical suggestion, first,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to foster knowledge employee' innovative consciousness and innovative behavior by strengthening awareness and education of knowledge employee' work values. Second, manag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knowledge employee, actively encourage the role of knowledge employee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ased on empowering leadership, and create a fair atmosphere for work and innovation activities. Third, leaders should provide empowerm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knowledge employee based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upport them to derive results through knowledge employee' empowerment.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justice, corporate culture should be strengthened and a fair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Building an advanc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soft power" to effectively improve corporate management efficiency, and a fair and equitable organizational culture atmosphere can effectively improve workers'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create a fair atmosphere. As a result of this study's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is study verifies the hypothesi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using the innovative behavior of high-tech knowledge employee as dependent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various variables that may affect innovative behavior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knowledge employee of high-tech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ing leadership and provide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knowledge employee. Third, this study only surveyed knowledge employee in several c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gion and analyze knowledge employee in various regions to conduct research. Fourth,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he hypothesis u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ing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novativ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parameter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study in consideration of various influencing variables. Fifth,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due to the COVID-19 inciden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 parallel with face-to-face surveys through questionnaires or interviews.

      • 신규인력의 조기육성을 위한 지식경영 전략 연구

        김경태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는 흔히 지식경영의 시대라고 한다. 지식이 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각되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우수한 신규인력을 채용하여 기업이 원하는 수준의 역량을 조기에 습득하고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기업 운영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우수 신규인력의 조기육성을 위한 지식경영의 환경요인은 무엇이고 타 직장의 근무경력이 있는 집단(신규-II)과 없는 집단(신규-I)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국내 대표적인 종합부품 제조업체인 A기업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지식경영 환경요인을 구성하는 독립변수와 업무역량, 업무숙련기간, 업무성과로 구성된 종속변수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신규-I과 신규-II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두 가지 신규인력 집단을 동일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육성할 경우 비효율과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기업은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신규인력을 모두 동일한 기준과 절차로 육성하기 보다는 타 직장 근무경험 유무에 따라 신입과 경력이라는 집단 간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차별화된 육성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nowledge is considered the sole source of business competitivity in the 21st century.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is ever increasing and corporations try to recruit high quality manpower and train them to reach the desired competency level in the earliest possible time. This paper intends to discover the key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at affect the nurturing of newly employed manpower. It also tries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that lead to higher performance between newly employed workers with and without prior work experiences. An empirical case study has been made using survey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189 new employees and 96 managers of "S" corporation. The survey has been administered and limited to employees who work in R&D division only in order to maintain homogeneity of the manpower. T-test, mutl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have been appli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of the survey data.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poration is required to deploy different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to nurture new employees with and without prior work experiences up to the desired competency level.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regard to both environmental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formance outcomes (dependent variables). Different sets of priority issues i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es.

      • 지식 축적 및 공유 활동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연구 : 공공 조직의 KMS를 중심으로

        전우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식 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조직 및 그 구성원이 보유한 지식은 해당 조직의 생존과 번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사회 각 부문의 조직은 보유한 지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식 경영(Knowledge Management)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도구로써 지식관리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을 구축 및 운용하고 있다. 공공 조직은 민간에 비해 보직 순환 주기가 짧아 보유 지식의 손실 우려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지식 활동의 네 가지 프로세스 중 축적과 공유 활동이 시스템 내에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문헌에서 도출된 여러 요인들이 이와 같은 지식의 축적과 공유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들이 실제적인 조직성과로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KMS를 운용하고 있는 공공 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 결과 지식의 축적활동이 공유활동에 비해 조직 성과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지식의 축적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평가 및 보상체계의 개선, CEO 차원의 지원 확대 노력이 우선 요구되었다. 또한 공유활동도 조직성과에 일정 부분 이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된 바, 이를 장려하기 위한 조직 문화의 개방성 확대 노력 역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조직원들의 적극적인 KMS 활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실제 업무와의 관련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지식재산기업의 특성정보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 성별을 중심으로

        김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술의 발전속도는 매우 가파르고 경쟁의 강도는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시장경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지식재산의 획득과 활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무한경쟁의 시대적인 흐름에서 생존을 유지하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신기술로 무장한 중소기업이 늘어나면서 정부와 정책기관들의 관심과 지원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기업의 실패는 기업가와 더불어 우리사회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하는 막대한 사회적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업의 실패를 줄이고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재산기업의 생존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생존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 기업은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받은 지식재산기업으로 연구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10년으로 설정하였고, 표본기업은 2012년 1월 이후 기업을 설립하여 2021년 12월 말까지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받은 지식재산기업 4,951개 중 정상기업 4,283개, 부실기업 668개를 선정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표본기업의 기업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남성기업과 여성기업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지식재산기업의 자료는 기업가 특성, 기업 기본특성, 기업 자원특성으로 세분하여 각각의 생존현황과 생존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생존분석을 위한 도구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업의 생존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생존분석 방법론인 카플란마이어 분석법으로 기업의 생존율과 평균생존기간에 대한 생존현황을 검정하였고,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기업의 생존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지식재산기업에 대한 생존현황 검정결과를 기반으로 생존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기업가 성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기업의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 7개 변수가 기업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상세내용은 기업가 특성에서 동업계 종사경험과 개인신용등급, 기업 기본특성에서 종업원 수와 기업신용등급, 기업 자원특성에서 재무제표보유, 지식재산권보유, 연구전담조직보유가 유의미한 변수에 해당된다. 둘째, 여성기업의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 4개 변수가 기업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상세내용은 기업가 특성에서 동업계 종사경험과 개인신용등급, 기업 자원특성에서 여신거래실적과 연구전담조직보유가 유의미한 변수에 해당된다. 지식재산과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지식재산의 창출, 이전, 활용, 경영, 전략, 보호, 기술사업화 등과 같은 지식재산의 여러 활동들과 기업의 역량, 자금조달, 재무·비재무적 경영성과 등의 직·간접적 관계를 규명하였고, 또한 지식재산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지속성장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식재산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남성기업과 여성기업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독립변수의 생존율과 평균생존기간에 대한 생존현황을 분석하여 기업가 성별에 따라 생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 기업, 정부와 지원기관 각각에 지식재산기업의 생존율 향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하면서 수집한 지식재산기업의 실제자료를 기반으로 10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기업생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재산기업의 생존분석 결과에 대하여 시사하는 점을 참고하고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차별화된 주제를 선정하여 후속연구를 수행한다면 더욱 진전된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global market economy environment where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very steep and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s getting fiercer,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acquiring and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for survival and growth. 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med with new technologi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survive and continue to grow in this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the interest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policy organizations are gradually expanding. Since the failures of companies incur enormous social costs that our society as well as entrepreneurs must bear, more attention and effort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failures of these companies and improve their survival rat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survival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corporate survival. The research target company is an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that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 support from a credit guarantee institution, and the research period was set at 10 year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As sample companies, 4,283 normal companies and 668 insolvent companies were selected from among 4,951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established after January 2012 and supported by credit guarantee institutions for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 until the end of December 2021, and a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entrepreneurs in the sample companies, they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companies. Data on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were subdivided into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corporate basic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the survival status and determinants of survival were analyzed.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s a tool for survival analysis. The survival status of the company's survival rate and average survival period were tested by the Kaplan Meier method, which is a survival analysis methodology mainly used for company survival analysis.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surviva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ival status test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cusing on the entrepreneur's gender.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rvival of male companies, 7 variabl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urvival of companies. For detailed information,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personal credit rating in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corporate credit rating in Business Basic Characteristics, and possession of financial statements, posses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holding of a dedicated research organization in Corporate Resource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rvival of women-owned enterprises, four variabl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corporate survival. For details,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personal credit ra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loan transaction performance and the possession of a research organiza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resource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mo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various activities of intellectual property such as creation, transfer, utilization, management, strategy, protec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s well as corporate capabilities, financ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t proposes a plan for sustainable growth of companies that utilize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this study selected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s a research subject, divided them into male and female companies, and analyzed the survival rat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urvival status for average survival period, confirm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depending on the entrepreneur's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urvival determinants, entrepreneurs, companies, the government, and support organizations each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set a 10-year research period based on the actual data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collected while supporting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s by credit guarantee institutions and performed an analysis of corporate surviva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progress will be made if follow-up research is conducted by selecting new and fresh ideas and differentiated topics by referring to the implications of the survival analysis results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nd supplementing the insufficient parts.

      • 지식채널 ⓔ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윤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영상매체로써 지식채널ⓔ에 관한 문헌연구와 고찰을 통하여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서울시 영등포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정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활용한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방법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였다. 정량적 검사결과는 I-STATistic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 처리하였으며 아동들에 대한 관찰, 면담을 통해 정성적 분석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찾고, 환경관련 70편의 지식채널ⓔ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환경관련 단원에 투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지식채널 영상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경친화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총 18차시의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하였다. 둘째,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교과서를 활용한 전통적 환경수업에 비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와 지식채널ⓔ를 통한 환경 학습욕구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환경관심도와 학습욕구 모두에서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수업 후의 긍정적 응답률이 높아졌다. 이를 통해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수업이 환경학습에 대한 관심과 학습욕구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식채널ⓔ를 활용한 환경교육은 초등학교 학교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 함양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환경교육 현장에서 지식채널ⓔ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초등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지식채널ⓔ, 환경친화적 태도, 초등학생, 환경교육프로그램 * 본 논문은 2013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The po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EBS ‘Knowledge Channelⓔ’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For this research, instructional programs for the environment employed with the brief EBS record materials were produced as the visual media by looking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aking it into deep consider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newly-created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class, and proved how they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Two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consisting of fif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a subject for this study. They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ho had been identified as the same through inspection tools to measure a degree of pro-environmental attitudes before the experiment proceeded. Afterwards the former was educated with EBS ‘Knowledge Channelⓔ’ by their teachers and the later abided by the traditional manner which takes advantage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gular curriculum that is led by instructors. The result of quantitative inspections were analyzed through I-STATistics Program. Meanwhile,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employ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equivalent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First,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discovered from text and guidebooks reedited in 2007 for the fif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ost effective visual study images were classified among 70 videos, entitled 'Knowledge Channelⓔ' on the environment so as to place them on the environment-related chapters. Based on these materials, total 18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s were produced for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ir pro-environment attitudes. Secon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former that was affected by EBS ‘Knowledge Channelⓔ’ during environmental class, was more acquainted with the environment than the other group who was taught with existing methods such as reading materials and the course mainly led by teachers. Third, the EBS video clips were able to draw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issu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willingness to learn, increasing the positive response rates to find out changes of their desires for being familiar with environmental topic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reliminary and post-investigations. Therefore, it attests that EBS ‘Knowledge Channelⓔ’ is appropriate enough to raise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 study and make them eager to acquire the knowled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Last but not least, the application of EBS ‘Knowledge Channelⓔ’ to the students as a training manual for the environment resulted in the fact that the subordinate scope of eco-friendly attitudes including oral delivery, activities, and sentim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organically, and the effects that one area conveyed to the others were relatively satisfactory. Through this study, it is unveiled that EBS ‘Knowledge Channelⓔ’ i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instruc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BS program makes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students in assimilating the environmental contet. All things considered, a broad variety of alternatives to extensively using this educational resource at school are needed to be sought and discovered. By so doing, an opportunity to deliver a constructive impact on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them would have to be imparted to primary school children. Key words : EBS Knowledge Channelⓔ, Pro-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 mental Education Progr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