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력적 지식창출 도구로서 지식 시각화 방안 연구

        정태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evolution of network technology allow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 collaborate online free from geographic constraints. Such changes promote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and demand development of tools such as knowledge management platforms.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is created by communication initiated by sharing with other people within the context of a group, as well as through internal visualization (each person’s individual knowledge).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develops by following a progressively spiraling cycle, which builds toward more effective and complete ideas. This Collaborative Knowledge is a result of collaboration with other people, and the process consistently develops by interaction with context and communication. So, this study regarding knowledge visualization has emerged as a tool for collaboration and knowledge creation from the design perspective. Knowledge visualization can effectively promote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by stimulating rich imaginations through presentation of images. I first determined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based on Nonaka’s SECI model, which explains the transfer of knowledge between individuals and a group. The knowledge phase of creation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and provides a tool with which to support thinking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 then established a framework of design that promotes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Based on this I developed an example design that promote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by providing visual experience and stimulating visual expression. My final project, ‘Create-Collabo,’ is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tool for a small group―ideally numbered fewer than 10―and is based on my extensive research. My final project demonstrat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is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tool on mobile devices. Create-Collabo effectively enables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ought through organizing members with diverse perspective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onvergence of ideas and accumulation of shared knowledge results in opportunities for solving common problems. Finally, I expect this research and the Create-Collabo tool to enable people to collaborate in order to solve shared challenges in a dynamic and creative way. 지식이 가치를 생산하는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물리적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환경의 사람들이 웹을 통해 서로의 지식을 나누고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식의 교류와 창출을 촉진하고 있으며, 지식경영 전략이나 관리도구, 지식창출 플랫폼과 같은 환경의 설계로 구체화되고 있다. 협력적 지식창출은 개인의 머릿속 지식을 가시화하여 조직과 공유하면서 시작되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나아가 구성원 간의 합의된 지식으로 발전하고 개인의 지식형성에 영향을 주는 순환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 과정에서 창출되는 지식은 협력의 결과물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협력과 창의적인 지식창출을 돕는 지원도구로서 지식 시각화 방안에 대한 내용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식은 한 장의 완성된 이미지로 고착화하기 어려우며, 개인의 상상력을 자극해 심상을 풍부하게 하는 지식 시각화가 협력적 지식창출의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고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 시각화는 머릿속 지식을 가시화하고 시각적 사고를 이끌어 지식창출의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의 지식이 조직의 지식으로 발전해가는 단계를 설명한 노나카의 SECI모델을 통해 협력적 지식창출의 단계를 도출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확산적 · 수렴적 사고를 특성과 이를 지원하는 도구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들을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협력적 지식창출 도구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지식 시각화의 역할을 시각적 표현과 경험의 설계로 나누어 구체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최종작품 Create-Collabo는 웹기반의 협력적 지식창출 도구로서, 모바일 환경에서의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10명 내외로 구성된 소규모의 그룹이 활용할 수 있는 지식창출 도구로서, 구성원에게 각각의 사고 관점을 제공하여 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사고의 확산을 돕는다. 또한 지식의 변화와 발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창출된 지식간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의견의 수렴과 아이디어의 선택을 돕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협력적 지식창출 도구가 지식 시각화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사고를 도와 다른 사람들과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통해 창의적인 지식창출의 경험을 기대하는 바이다.

      • 지식기반 제품 개발을 위한 지식경영(KM)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이창술 國民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세계는 지금 정보화사회를 넘어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에 돌입하였다. 즉, 지식이 기업 및 조직의 가장 강력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디자인에 있어서도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식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바탕으로 최근 국내외 학계 및 업계에서 관심을 가지는 주제가 바로 지식경영, 혹은 지식기반 경영 이다. 이것은 급격한 시장 및 경영환경 변화에서도 리엔지니어링을 통해 향상된 기업의 혁신 및 적응 능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미래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려는 것이다. 디자인지식은 시간에 따라 변화되고 새로운 디자인지식이 등장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부문에서도 지식경영을 위해 분산된 지식을 조직지식으로 변환하여 조직화하고, 공유와 활용을 통해 디자인지식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식경영 디자인 프로세스와 이를 관리해줄 수 있는 지식경영시스템이 중요 연구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에 의한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디자인의 문제 해결 과정과 의사 결정 프로세스, 프레젠테이션, 그리고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등과 같은 일련의 디자인 업무와 관련된 광범위한 영역을 컴퓨터에 의한 분석, 처리, 정보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디자인 체계와 프로세스의 변화와 함께 디자인 행위 과정 속에서 창출되는 역동적 지식을 공유, 축적, 활용할 수 있는 지식경영의 도입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분야에 적합한 지식경영체계를 연구하고, 특히 디자인경영 활동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지식기반 디자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지식경영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지식경영의 필수적인 시스템인 지식경영시스템에 대해 정보기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에 필요한 디자인지식을 크게 경험적 지식, 실용적 지식, 학문적 지식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분류하였으며, 지식경영 개념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현행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통한 최적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지식차원으로 모듈화, 레벨화 하여 지식경영시스템과 상호연계 시킴으로써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지식의 저장, 검색, 전달 및 공유, 종합, 활용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식경영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디자인 개발 활동으로 얻은 노하우와 디자인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짐으로써 신제품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신속한 제품개발이 가능하여 제품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디자이너, 마케터, 엔지니어, 심리학, 감성공학, 색채학 등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여하는 많은 전문가들이 함께 작업하는데 있어 공유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서 학제적인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도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여하는 여러 조직이 디자인지식경영시스템을 통하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적극 활용됨으로써 제품개발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다. The world is entering the knowledge society beyond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is to say, Knowledge becomes the most powerful source of competitive power to company and organization. The change of environment like this requests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design and tells the present time is time to need a systematic research and practical business approach of Knowledge management. Nowaday domestic and overseas academic world and company are concerned about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based management on demand of times. This is to build the base of renovation and adaptation of enterprise to be brought up in the future through the re-engineering in the dramatic change of market and management environment. As time goes by, Design knowledge has a characteristic to be changed and appeared as a new one. Accordingly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recognized as a important research field in the design for knowledge management. It can tell tha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ontrols knowledge management design process to maximize the value of design knowledge through sharing and applying systematic knowledge which is systematized from disperse knowledge. Especially that is possible that extensive fields of design what is called the process of solving design problem and of an idea decision and presentation are made by computer processing and analyzing. It tells ultimately that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needs to share, accumulate and apply active knowledge coming through the change of design process and design wor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of knowledge management design process as a means of research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at fits design field and especially supporting design activity. Moreover this research analyzes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which is essential to knowledge management in the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ordingly the knowledge which is required in design is separated into three part in this research. Three parts are about the knowledge of experience, practical knowledge and knowledge of learning. To build design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concept, an optimum process is built through analyzing design process. The process is made into a module and level to relate wit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storing, searching, sharing, delivering, totalizing, applying of design knowledge in this research. The effect which can be expected through developing the design process showed in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know-how through the active of developing product that can contribute to rapid development of product and to product competitive power. Second, Offering the interface which can be shared to many experienced person who are related to developing product such as designer, marketer, engineer, colorist, psychologist can be expected to suppor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chool system. Last, many organizations related with developing product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enter point of circle in developing product through the desig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입지유형별 지식산업센터 가격 결정요인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조병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9

        Due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nowledge etc.. urban-type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nd in order to support the urban industry,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have been developed led by government or private fund. Most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are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do) as of October 2017 (78.3%),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needs of users. Values of each business unit inside the Center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but the problem is that insufficient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us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by type of location (whether it is located inside the Industrial Complex or an unplanned establishment), and analyze price determinants by classifying them in a more detailed manner based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2,039 sales transactions of business units located inside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for 7 years from January 1, 2011 to October 31, 2017, using the data on real transaction prices from Korea Appraisal Board,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f all, most government-led Industrial Complexes in Seoul are located in Geumcheon-gu and Guro-gu, whereas private-led unplanned establishments are mostly developed in Seongdong-gu, Songpa-gu, and Yeongdeungpo-gu. In terms of actual transaction values of business units, values of unplanned establishments were higher in Seoul while values of business units located inside the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in Gyeonggi-do. Secondly,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loser the major facilities such as train or subway stations and shopping center etc., are to the downtown, the higher values of the units become, except the unplanned establishments in Gyeonggi-do. and the wider it gets with adjacent street, the higher prices, except the units inside the Industrial Complex in Gyeonggi-do. Meanwhile,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supporting facility ratio gets and the lower the building age is, the higher values of business units become. In case of small size units, the higher the floor gets, the higher value of the unit gets, except the units inside the Industrial Complex in Gyeonggi-do. Lastly, premium brands of construction companies show higher prices, except for the units inside the Complex in Gyeonggi-do, and prices of non-manufacturing business types were more competitive. Keywords: Knowledge Industrial Center, Business unit, Price Determinants, Locational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stics, Area, Locational Type. 기술혁신 및 지식의 산업화 등으로 인해 도시형 산업의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의 지원을 위해 지식산업센터가 정부주도의 산업단지 또는 민간개발에 의해 조성되어 오고 있다. 2017년 10월 현재 지식산업센터의 대부분(78.3%)은 수도권(서울 및 경기도)에 입지하고 있으며, 센터의 입지특성 및 건물특성도 수요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센터 내 사업장의 가격은 센터의 입지 및 상기한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현재 수요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가격관련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산업센터를 입지유형별(산업단지 내 입지와 개별입지)로 구분하고, 이를 입지특성 및 건물특성으로 세분하여 센터의 가격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지식산업센터 내 사업장 중 2011년1월1일부터 2017년10월31일까지 약 7년간 매매된 2,039개 사업장의 실거래가격을 한국감정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서울의 경우 정부주도의 산업단지는 주로 금천구 및 구로구에 입지하고 있으며, 민간주도의 개별입지는 성동구, 송파구 및 영등포구에 집중되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사업장의 실거래가격 측면에서 보면, 서울은 개별입지, 경기도는 산업단지 내 입지에 소재한 사업장의 가격이 높았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서 주요시설(도심, 철도지하철역, 쇼핑센터 등)은 도심거리에서 경기지역의 개별입지를 제외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접면도로폭은 경기지역의 산업단지 내 입지를 제외하고 폭이 넓을수록 가격이 높았다. 지원시설비율은 서울지역에서 그 비율이 높을수록, 경과연수는 신축건물의 가격이 높았다. 호실공급면적은 작은 경우, 입주층은 경기지역의 산업단지 내 입지를 제외하고 높은 경우의 가격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시공사브랜드는 경기지역의 산업단지 내 입지를 제외하고 1등급이, 업종은 모두 비제조업의 가격경쟁력이 높았다. 주요어 : 지식산업센터, 사업장, 가격결정요인, 입지특성, 건물특성, 지역, 입지유형

      • (역)지식이전-해외자회사 성과 관계에 대한 지식공유와 지식창출의 매개효과 : 중국 진출 글로벌 기업 사례

        위신란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이 글은 지식경영 차원에서 글로벌 기업의 본사-해외자회사 간 지식이전과 역지식이전이 갖는 직접적 성과함의와 지식공유와 지식창출이 지식이전[역지식이전]-해외자회사 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 해외자회사 직원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538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이전과 역지식이전은 모두 해외자회사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지식이전의 성과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이전[역지식이전]의 해외자회사 성과 함의는 지식공유와 지식창출의 매개효과를 통해 증가된다. 셋째, 지식공유와 지식창출의 매개효과는 절대적 수치로 보면 지식이전보다 역지식이전이 더 크지만, 총 효과와 매개요소를 통해 확대되는 효과는 지식이전이 역지식이전을 훨씬 상회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knowledge transfer and reverse knowledge transfer between parents and foreign subsidiaries on the performance of foreign subsidiaries and explored the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reation,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transfer[reverse knowledge transfer] and foreign subsidiary performance in the knowledge management dimens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589 employees of foreign subsidiaries of MNCs that went into China,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538 questionnaire data except for the unfavorable respondent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knowledge transfer and reverse knowledge transfe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foreign subsidiaries, and the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is greater. Second, The effect of knowledge transfer[knowledge transfer] on the performance of foreign subsidiaries is increased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reation. Third, Although from the absolute numbers of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reation, reverse knowledge transfer is larger than knowledge transfer, but though the total effect and mediating factors, the effect of expanding is far greater than that of reverse knowledge transfer.

      • 논리적 지식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김병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919

        If someone in an organization leaves with his knowledge, that organization has lost its chance to use his knowledge.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and reuse this knowledge, it needs to be extra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for logical knowledge modeling which will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Representation is need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d information and unstructured knowledge as both are integrated and used in the process plann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Second, In an exist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where explicit knowledge is classified and saved there is a need to visualize a representation of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Third, we need the system that integrate structured data and information with unstructured knowledge to use together. So,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is the system to provide data and knowledge to be integrated. In this paper, I defined knowledge with an individual and an organization, and I divided into and individual and an organization as whether one or they have tacit knowledge or not. I considered cause and effect that certain action occurred under certain environment and represented the depth of knowledge. I suggested the knowledge modeling method and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that relate information to knowledge. But this study didn't considered inference and inheritance. So next study need to study it

      • 블로그형 KMS와 비(非)블로그형 KMS 비교연구 : K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919

        지식중심사회에 있어서 지식경영(KM : Knowledge Management)이 새로운 조직 관리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지식경영제도를 도입하고, 지식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식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일부요인들에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식관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보고, 그 영향 요인들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들어 웹 2.0이 이슈화 되면서 웹 2.0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블로그가 여러 미디어를 대체할 새로운 매체로 각광받기 시작했고, 경영분야에서도 블로그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식경영에 있어서 블로그는 여러 가지 기능과 특성들로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는 '개방·참여·공유'의 가치가 중심인 웹 2.0의 시대를 맞이하여, 앞서 언급한 지식관리시스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 바, 웹 2.0의 특성을 대변 할 수 있는 블로그를 활용한 KMS 시스템이 기존의 KMS 시스템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지식관리시스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KMS의 영향요인이 KMS사용자 만족도와 KMS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 문헌의 검토를 통해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 분석하였다. 그 후 블로그형 KMS와 비(非)블로그형 KMS를 비교하기 위해 기존문헌의 검토와 사례분석을 한 후 실증 분석을 하였다.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패키지인 SPSS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KMS 사용자 만족도와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모든 영향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블로그형 KMS와 비(非)블로그형 KMS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블로그형 KMS와 비(非)블로그형 KMS간의 KMS 사용자 만족도와 KMS활용도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블로그형 KMS가 KMS사용자 만족도와 KMS 활용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블로그형 KMS와 비(非)블로그형 KMS의 사용자 만족도와 KMS 활용도의 차이는 시스템품질과 지식품질의 차이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트랙백, RSS, 블로그맵 등의 블로그의 기능과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지식관리시스템에 블로그를 활용한 블로그형 KMS는 사용의 편이성이 높아지고, 지식의 등록, 검색,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이 쉬워지고 활성화 되며, 또한 지식의 품질이 향상되어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지식경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KMS를 도입하거나 재구축하려는 기업들의 경우 블로그형 KMS를 도입하여 시스템품질과 지식품질 등을 개선시킨다면, 기존의 비블로그형 KMS를 사용할 때 보다 지식경영의 성과를 한층 더 높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볼 수 있다. As Knowledge Management (KM) has taken an essential position of managing business in the knowledge-oriented society, countless companies have adopt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into their organization. Many have questioned, however, in the result and the effectiveness in K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current KMS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the causes that affect effectiveness of KMS. Blog, which is well characterized by WEB 2.0, is recently being spot-lighted as the alternative scheme of various media and many find the business opportunities in this new practice of communication. These multi-functioning and various characteristic tools are expected to bring positive impact 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KMS. Considering the fact that we are facing WEB 2.0 ages characterized as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duct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Blog based KMS and Non-Blog based KMS and suggest resolutions to potential issues of KMS. In order to identify how determinants of KMS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KMS users and the degree of KMS usage, the researcher conducted empirical study after setting hypothesis by examining pre-existing reports. After that, cases and relevant report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log based KMS and Non-Blog based KMS. To examine this hypothesi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tatistics Package of Society Science (SPSS Windows 12.0) To summarize of the researches, all factors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gree of usage. T-Tes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usage between Blog based KMS users and Non-Blog based KMS users. Blog based KMS user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and usage toward their system. The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re primarily on "system quality" and "knowledge quality", and the main reason of these differences are from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Blog such as Track-back, RSS and Blog-map. Blog based KMS does not only provide convenient way to users but also make them easy to register, search and shar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usage are enhanced through this new communication tool - Blog, therefore Companies are able to maximize their effect of KMS. The researchers suggest companies may consider to implement KMS which would be more beneficial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stem and the knowledge by adopting Blog based KMS.

      •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 지식,간호근무환경이 섬망 간호역량에 미치는영향

        심민주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섬망 지식, 간호근무환경이 섬망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대학교의 IRB 승인을 받은 후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 실시하고 최종 198부를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섬망 지식은 박용숙(2011)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고,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는 이효진 등(2021)이 개발한 한국형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도구를 사용하였다. 섬망 간호역량 도구는 Roh(2020)의 섬망 간호역량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섬망 지식의 47점 만점에 평균 31.89±5.33점이었다.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연령(F=7.86, p<.001), 교육정도(t=-4.53, p<.001), 결혼상태(t=3.99, p<.001), 중환자실 경력(F=13.76, p<.001), 섬망 간호경험(F=7.01,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105점 만점에 평균 72.17±13.78점이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연령(F=5.73,p=.001), 중환자실 근무경력(F=11.0, p<.001), 섬망 간호지침(t=2.30, p=.024), 섬망 교육(t=2.99, p=.003). 섬망 교육횟수(F=5.08,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섬망 간호역량의 96점 만점에 평균 70.28±8.50점이었다. 섬망 간호역량은 교육정도(t=-4.06, p<.001), 중환자실 근무경력(F=4.72, p=.010), 섬망 간호경험(t=5.86, p=.003), 섬망 간호지침(t=3.34, p=.001), 섬망 교육(t=3.78, p<.001), 섬망 교육횟수(F=11.7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섬망 지식, 간호근무환경, 섬망 간호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섬망 간호역량은 섬망 지식(r=.34, p<.001), 간호근무환경(r=.2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섬망 지식은 간호근무환경(r=-.14, p=.04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섬망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근무환경(β=.29, p<.001), 중환자실 경력(60개월 이상)(β=.28, p=.001), 섬망 지식(β=.25, p<.001), 중환자실 경력(13~60개월)(β=.19, p=.028), 섬망 교육횟수(2번 이상)(β=.17, p=.023), 교육정도(석사)(β=.16, p=.015)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대한 설명력은 31%로 나타났다(F=9.80, p<.001)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근무환경, 중환자실 경력, 섬망 지식, 섬망 교육횟수, 교육도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 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의료기관과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며, 간호사 경력과 교육정도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섬망 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고등학생의 성, 학년, 계열이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수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성 지식과 성 행동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성 행동의 요인인 성, 학년, 계열이 성 지식과 성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고등학생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함양시키고, 바람직한 성교육과 성 상담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에 의해서 학생들에게 2002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실업계(남, 여), 2개 인문계(남, 여), 1개 인문계(남녀공학) 고등학교 등 총 5개교의 1, 3학년 578명을 대상으로 주어졌다. 성 지식에 대한 설문지의 30개 문항과 성 태도에 대한 설문지의 25개 문항은 하숙영(1998)과 조순희(2001)의 자료를 변형하고 보완한 것이다. Cronbach α는 성 지식이 .84이고, 성 태도가 .71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OVA, F-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 지식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점수는 30점 중 평균 16.8점이었다. 정답률이 모든 영역에서 비교적 낮았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성병(9점 중 4.2점)이었고 가장 높은 영역은 사춘기의 특성(9점 중 6.0점)이었다. 성별로는 남학생(17.1점)이 여학생(16.5점)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년별에서는 3학년(18.2점)이 1학년(15.5점)에 비해 높으며, 계열별로는 인문계(19.1점)가 인문계 공학(17.5점)과 실업계(13.8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도 3학년이 1학년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성에 대한 태도에 관한 조사 대상자의 점수는 5점 중 평균 2.24점이었다. 성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영역은 성병(2.6점)이고 가장 부정적인 영역은 사춘기의 특징(1.9점)이었다. 성별로는 남학생(2.3점)이 여학생(2.2점)보다 긍정적이었고, 학년별에서는 1학년(2.3점)이 3학년(2.2점)보다 긍정적이었으며, 계열별로는 실업계(2.4점)가 인문계 공학(2.2점)과 인문계(2.1점)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영역별로도 실업계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긍정적이었다. 3. 대상자의 성지식과 성에 대한 태도에 관한 상관 분석의 결과는 성병과 이성교제를 제외한 전체 성지식 점수와 전체 성태도간의 상관관계가 -.40(P<.001)인 것으로 보아 모든 변수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두 변수들이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는 성지식이 많을수록 성태도가 오히려 부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에 대한 바른 지식도 중요하지만 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성교육과 성에 대한 상담이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 지식재산기업의 특성정보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 성별을 중심으로

        김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9

        기술의 발전속도는 매우 가파르고 경쟁의 강도는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시장경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지식재산의 획득과 활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무한경쟁의 시대적인 흐름에서 생존을 유지하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신기술로 무장한 중소기업이 늘어나면서 정부와 정책기관들의 관심과 지원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기업의 실패는 기업가와 더불어 우리사회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하는 막대한 사회적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업의 실패를 줄이고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재산기업의 생존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생존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 기업은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받은 지식재산기업으로 연구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10년으로 설정하였고, 표본기업은 2012년 1월 이후 기업을 설립하여 2021년 12월 말까지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받은 지식재산기업 4,951개 중 정상기업 4,283개, 부실기업 668개를 선정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표본기업의 기업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남성기업과 여성기업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지식재산기업의 자료는 기업가 특성, 기업 기본특성, 기업 자원특성으로 세분하여 각각의 생존현황과 생존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생존분석을 위한 도구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업의 생존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생존분석 방법론인 카플란마이어 분석법으로 기업의 생존율과 평균생존기간에 대한 생존현황을 검정하였고,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기업의 생존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지식재산기업에 대한 생존현황 검정결과를 기반으로 생존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기업가 성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기업의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 7개 변수가 기업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상세내용은 기업가 특성에서 동업계 종사경험과 개인신용등급, 기업 기본특성에서 종업원 수와 기업신용등급, 기업 자원특성에서 재무제표보유, 지식재산권보유, 연구전담조직보유가 유의미한 변수에 해당된다. 둘째, 여성기업의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 4개 변수가 기업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상세내용은 기업가 특성에서 동업계 종사경험과 개인신용등급, 기업 자원특성에서 여신거래실적과 연구전담조직보유가 유의미한 변수에 해당된다. 지식재산과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지식재산의 창출, 이전, 활용, 경영, 전략, 보호, 기술사업화 등과 같은 지식재산의 여러 활동들과 기업의 역량, 자금조달, 재무·비재무적 경영성과 등의 직·간접적 관계를 규명하였고, 또한 지식재산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지속성장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식재산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남성기업과 여성기업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독립변수의 생존율과 평균생존기간에 대한 생존현황을 분석하여 기업가 성별에 따라 생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생존결정요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 기업, 정부와 지원기관 각각에 지식재산기업의 생존율 향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신용보증기관에서 지식재산보증을 지원하면서 수집한 지식재산기업의 실제자료를 기반으로 10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기업생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재산기업의 생존분석 결과에 대하여 시사하는 점을 참고하고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차별화된 주제를 선정하여 후속연구를 수행한다면 더욱 진전된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global market economy environment where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very steep and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s getting fiercer,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acquiring and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for survival and growth. 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med with new technologi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survive and continue to grow in this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the interest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policy organizations are gradually expanding. Since the failures of companies incur enormous social costs that our society as well as entrepreneurs must bear, more attention and effort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failures of these companies and improve their survival rat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survival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corporate survival. The research target company is an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that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 support from a credit guarantee institution, and the research period was set at 10 year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As sample companies, 4,283 normal companies and 668 insolvent companies were selected from among 4,951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established after January 2012 and supported by credit guarantee institutions for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 until the end of December 2021, and a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entrepreneurs in the sample companies, they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companies. Data on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were subdivided into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corporate basic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the survival status and determinants of survival were analyzed.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s a tool for survival analysis. The survival status of the company's survival rate and average survival period were tested by the Kaplan Meier method, which is a survival analysis methodology mainly used for company survival analysis.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surviva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ival status test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cusing on the entrepreneur's gender.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rvival of male companies, 7 variabl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urvival of companies. For detailed information,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personal credit rating in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corporate credit rating in Business Basic Characteristics, and possession of financial statements, posses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holding of a dedicated research organization in Corporate Resource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rvival of women-owned enterprises, four variabl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corporate survival. For details,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personal credit ra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loan transaction performance and the possession of a research organiza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resource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mo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various activities of intellectual property such as creation, transfer, utilization, management, strategy, protec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s well as corporate capabilities, financ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t proposes a plan for sustainable growth of companies that utilize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this study selected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s a research subject, divided them into male and female companies, and analyzed the survival rat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urvival status for average survival period, confirm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depending on the entrepreneur's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urvival determinants, entrepreneurs, companies, the government, and support organizations each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set a 10-year research period based on the actual data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collected while supporting intellectual property guarantees by credit guarantee institutions and performed an analysis of corporate surviva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progress will be made if follow-up research is conducted by selecting new and fresh ideas and differentiated topics by referring to the implications of the survival analysis results of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and supplementing the insufficient parts.

      • 급성기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과 우울

        서설송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Coronary artery disease was increase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utify the disease-reated knoeled and depression of patient whih coronary artery disease in acute phases. study design was descriptive surrey. Date collected by convienient sampling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patients aged 20 to 70 who were diagnos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t one general hospital in K. The instrumeny used disease-relater knoeledge developed by Rahe et al.(1975) for CAD patient and CES-D for developed by Radloff (1977) measuring depression. To measure disease-related knowledge, Rahe et al. (1975) used a modified tool for CAD patients (2003).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CES-D, a depression measurement tool Data was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IBM SPSS Ver.24.0. Main result og this study was ; 1. The range of disease-related knowledge was between 0 and 25 out of a total of 26. The average was score of diseaesd-related knowledge was 19.26. 2.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was 27.26, and also, 9.5 percent normal group(no depression), 20.6 percent for minor depression, 69.8 percent for severe depression. 3.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depression of the subjec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depression indicates that disease-related knowledge has a significan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s this result, depression was signficant deffent acording to the knowledge. There fore, the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when nursing a patient with coronart artery disease, the nurse must provide and develop the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관련지식과 우울을 파악함으로써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시 소재 일개 종합 병원의 심장내과에서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고 방문한 20~70세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질병관련 지식을 측정하기위해 Rahe 등(1975)이 허혈성 심장질환자를 대상으로 재활교육 평가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A teaching evaluation questionaire for post myocardial patients)를 최길자(2003)가 CAD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한 우울 측정도구인 CES-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도구에서 자료 분석은 SPSS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lcient 으로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 평균 점수는 총 26점 만점 중 0~25점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은 19.26±3.09점 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우울 평균 점수는 총 60점 만점중 3~52점의 범위를 보였으며 정상군 9.5%, 경증 우울 20.6%, 중증 우울이 69.8% 로 나타났으며 평균은 27.26±8.39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과 우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질병관련지식 수 준에 따라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과 우울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질병관련 지식은 우울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간호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할 때 우울을 확인하고 그 정도가 높은 경우 반드시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거나 의뢰 해야 할 것이며 구체적인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도 관상동맥질환자에 대한 우울증 선별 검사가 필요하며 관상동맥질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관상동맥질환, 질병관련지식, 우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