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담화와 정동의 공동체로서의 아이돌 팬덤에 대한 연구 : <프로듀스101 시즌2> 팬덤의 ‘팬 행동성’을 중심으로

        이대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98

        본 연구는 <프로듀스101 시즌2> 이후 한국 아이돌 팬덤에 나타난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고자 하였다. 특히나 ‘팬 행동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팬덤이 가진 다양한 텍스트 생산과 실천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담화 공동체’와 ‘정동 공동체’의 관점에서 새롭게 아이돌 팬덤을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의 아이돌 팬덤은 생산, 유통, 소비의 측면에서 그 역사적 고찰이 가능하다. 1세대 아이돌과 그 팬덤이 시작된 이래로 한국의 아이돌 팬덤은 규모나 운영 방식에서 큰 변화를 겪어왔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그러한 변화의 한 축으로서 기능하였으며, 이후 아이돌 팬덤은 ‘개인 팬덤’의 증가나 담화를 통한 다양한 전략의 구축을 겪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은 궁극적으로 팬덤을 일반 대중들에게 가시화하는 결과에 일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팬덤의 ‘덕질’하기는 문화적 텍스트를 생산하고, 때로는 기존의 문화 텍스트를 ‘밀렵’하여 전유하는 창조적인 방식을 수행한다. <프로듀스101 시즌2>의 ‘팬 행동성’은 적극적인 경제적 자원의 동원과 문화 생산적 노동을 통해 생존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였다. 거대한 자금을 통해 경쟁적으로 지하철, 버스 등의 광고를 게시하였고, 홍보와 ‘영업’을 위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팬덤의 활동은 신자유주의 체제의 생존 경쟁과 승자에 의한 이익의 독식, 능력과 성과주의, 물신화 등을 체화하여 재현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팬덤의 활동을 단순히 신자유주의 담론에 편승하는 것으로 보는 것은 팬덤의 ‘팬 행동성’이 가진 풍부한 측면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팬덤은 끊임없는 인간적 상호작용과 미디어, 언론의 생산물을 전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문화 생산적 노동을 통해 팬덤은 <프로듀스101 시즌2>의 ‘아이돌/연습생’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신자유주의의 유동화된 남성성을 통해 팬덤은 아이돌/연습생을 ‘소비할만한 남성’으로 만들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진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경제적 자원의 동원과 문화 생산적 노동을 통한 텍스트 생산의 담화전략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듀스101 시즌2>의 참가자인 강다니엘, 박지훈, 박우진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러한 남성성 만들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탐색하였다. 팬덤의 ‘팬 행동성’은 다양한 전술을 통해 신자유주의적 방식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면서 이루어지고 팬덤은 끊임없는 담화적 실천을 통해 담론구성체를 무시하거나 무력화시킨다. ‘담화 공동체’로서 팬덤의 행동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문화정치성을 획득한다. 또한 팬덤은 애정에 기초한 인간적 상호작용과 행동할 능력인 정동을 생산한다. 팬덤은 정동적 노동을 통해 집단적 주체성과 사회성을 생산하는 ‘정동 공동체’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의 제시는 아이돌 팬덤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팬덤의 텍스트 생산성과 사회적 실천을 재조명하여 팬덤을 보는 관점에 대한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팬덤에 대한 다양한 접근으로 주제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이 작업은 담화와 정동이라는 관점을 통해 팬덤이 가진 문화정치성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유튜브로 페미니즘 하기 : 페미니스트 유튜브 채널 구독자 경험을 중심으로

        심다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7

        2010년대 이후 페미니즘은 20대 여성들에게 있어 주요한 가치로 부상하게 되었다. 페미니즘의 대중화는 디지털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으로 가능했는데, 특히나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최근에는 문자 중심의 미디어뿐만 아니라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가 새로운 소통 창구로 부상하고 있다. 유튜브가 우리 일상에 주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은 것과 함께 온라인 페미니즘 담론장 내부에서도 페미니스트 유튜버들에 대한 관심이 늘어갔지만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유튜브는 높은 접근성과 다양한 콘텐츠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미러링 방송을 진행하던 게임 유튜버 ‘갓건배’를 향한 살해 협박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 차별과 혐오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갓건배’ 사건에 대항했던 여성들의 연대에서 알 수 있듯이 유튜브의 다양성은 기존 미디어에서 조명하지 않았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가시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들의 대항적 목소리에 집중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유튜브 내부의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공동체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유튜브 페미니즘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들은 페미니즘 대중화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2010년 후반에 등장해 온라인 담론장에서 공유되어 온 페미니즘과 관련된 의제들을 유튜브 공간으로 이동시켜왔다. 이 중 가장 인기있는 채널인 <하말넘많>과 <소그노>, <한국여자>와 <정메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적게는 4만명부터 16만명을 상회하는 구독자를 보유한 이들은 페미니스트로서 살아가는 일상을 솔직하게 공유하며 동시기의 여성 시청자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에세이 서적을 발간하는 등 이들의 활동은 온-오프라인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었다. 20대 여성인 구독자들은 페미니즘을 일상의 불평등을 의미화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페미니즘은 일상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도구이기 때문에 여성학의 지식을 습득하는 것보다 에세이 형태의 쉬운 글이나 유튜브 영상을 보는 것을 주로 한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의 필요성보다 SNS 등을 통해 인증하는 것을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여성들에게 유튜브는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유튜브는 또한 ‘온라인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페미니스트에 대한 부정적 낙인이 두려운 현실 속에서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구독자들의 상호 존재 확인은 외로움과 고립감을 덜어줄 수 있다. 때문에 이들은 서로를 동료로 인지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한다. 그러나 유튜브 공동체는 채널을 운영하는 소수의 셀러브리티와 다수의 시청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그 관계가 항상 수평적이지만은 않다. 페미니스트 여성들은 페미니즘 담론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이와 같은 관계를 경계하고 수평적 관계를 꿈꾸며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한편 영상으로 소통하는 유튜브는 개개인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동 공동체의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유튜브를 통해 시청자들은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할 수 있었다. 영상을 통해 발화자의 존재를 확인할 때 시청자들은 활자로 전달될 때보다 정보를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유튜버들의 적극적인 소통과 댓글 관리 등은 이들이 시청하는 유튜브 공간을 안전한 공간이라 느끼게 해준다. 페미니스트를 향한 공격과 ‘불행 배틀’에 지친 여성들은 오락거리(entertainment)인 유튜브를 통해 즐거운 페미니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 페미니즘 담론장에서의 에너지 소모에서 벗어나 가볍고 유쾌한 페미니즘이 있는 유튜브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공간에서 만나게 된 페미니즘은 개개인의 차이를 드러내지 않고 순수한 동일성을 유지하라는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요구와 맞닿아 있었으며, 절망에서 벗어나 희망차고 행복한 미래를 그릴 수 있게 하였음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자신을 동일시하면서도 여전히 거리를 유지하는 실천을 통해 이들이 꿈꾸는 완전한 동질성이 불가능한 것이며, 행복의 내용이 여전히 신자유주의적이라는 한계를 수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2010s, feminism has emerged as a major value for women in their 20s.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especially in online communities and social media. Recently, YouTube, a video platform has emerged as a new channel for communication. Along with YouTube becoming a major space in our daily lives, interest in feminist YouTubers has increased among the online feminists, but prior studies on it seems to be insufficient. YouTube has attracted many people's attention with its high accessibility and various contents. However, it also raised concerns that it could be a spac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However YouTube's diversity also shows that women's voices, which have not been illuminated by existing media, can be seen.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feminism and feminist communities on YouTube. First of all, this paper looked at the contents of feminist YouTubers and YouTube feminism. Feminist Youtubers appeared in late 2010s when feminism was actively popularized. They have moved feminism agendas that have been shared in online discourse centers to YouTube space. Those with at least 40,000 to 160,000 subscribers were actively interacting with viewers, sharing their daily lives as a feminist. In addition, their activities, such as holding talk concerts and publishing essay books, we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spaces. The subscribers perceived feminism as a tool to solve daily problems. For women who value authentication through social media more than the need for systemat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YouTube is an effective tool to share individual experiences and feelings. YouTube is also a place where young feminists could make 'online friends'. Amid the fear of negative thoughts of feminists, confirming the existence of others can relieve loneliness and isola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each other as friends and share positive emotions. However, the relationship is not always equal because the YouTube community is consisted of celebrities and their viewers. Feminists are wary of such relationships and attempt to make relationships equal. On the other hand, YouTube, which communicates through video, is a space to effectively convey individual emotions. When viewing the presence of speakers through images, viewers can trust the information much more than when it is delivered in writing. In addition, YouTubers' active communication and comment management make viewers feel safe and comfortable. Tired of attacks on feminists and "unhappiness battles," women were abl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joyful feminism through YouTube. However, subscribers could find a strategy to identify themselves with feminist YouTubers but at the same time keep their distance from their real life. This shows that the stability of YouTube, which is secured by filter bubbles, does not completely relieve the isol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analyzed that the ‘YouTube feminism’ satisfied the demand to maintain purity of feminist activism without reveal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allowed them to paint a hopeful future. Nevertheless, the practice of identifying oneself with feminist YouTubers and still keeping distance showed that the complete homogeneity of their dreams was impossible, and that the content of happiness still related to neo-liberalism.

      • 이주민들의 미디어교육을 통한 공동체 미디어 활동과 정동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들뢰즈와 과타리의 배치와 정동 사유를 중심으로

        Zhou, Yan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9676

        In the context of Korea’s rapid entr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immigrants and Korean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media activities that immigrants participate in.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desire arrangement and affectus theory, this paper observes how immigrants produce and arrange their own desires in these activities,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at activate affectus experience and becoming minority. As a research method, Moustaka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groups of immigrant participant group including marriage immigrant women, migrant workers, Korean-Chinese, and expert groups including lecturers or resident activists to conduct a one-to-one in-depth inter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immigrants’ initial exposure to immigrant media education or community activities is mainly to satisfy personal interests, personal development, and building relationships. After participating in immigrant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tinued to produce a desire for 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personal media skills, production of immigration-related information and social solidarity. Secondly, immigrants feel neglected and excluded in daily life because of the differential treatment in laws, polic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shy away from communicating with Koreans because of their fixed identities as foreigners or mothers, or they feel hostile toward Koreans because of their experience of being treated differently. In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media activities, vertical teaching methods and assimilationism as the representative ideology still serve as power apparatuses to reduce the positive desire production of immigrants. But at the same time immigrants have explored their potential and gained the strength to move forward by practicing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about differences, recognition from Korean society, and being helpful to their compatriots in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irdly, in order to activate affectus experience and becoming minority, teaching methods such as enhancing th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lecturers and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guiding identity are needed in media education.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individualized media education should b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country of origin, age, language level and employment needs of immigrants. In addition, community media activities should be aimed at becoming alternative media, and the voices of immigrants should be publicized through various alliances with former residents, so as to form joint and cooperative relations. Immigrant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media activities are minority movements to secure immigrant human rights and expand social solidarity. By suggesting alternative directions for immigrant media education and community media activities, this study expects more immigrants to experience minority practice and affectus. 한국이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주민이 한국 사회와의 소통 및 연대를 증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주민이 참여하는 미디어교육 및 공동체 미디어 활동에 주목하였다. 들뢰즈와 과타리의 욕망배치 및 정동 사유를 연구의 이론적 토대로 삼아, 이주민이 이런 활동에서 어떻게 욕망을 생산하고 배치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정동의 활성화 및 소수자-되기를 위한 미디어교육 및 공동체 활동의 대안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본 연구는 무스타카스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을 결혼이주여성, 이주노동자, 중국동포를 포함한 이주민 참여자 집단, 강사 또는 상주 활동가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일대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해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주민이 개인적 취미, 개인적 발전, 관계맺기 등 목적으로 이주민 미디어교육이나 공동체 활동에 접촉하게 되었으며, 문화에 대한 이해 및 소통, 개인의 미디어 능력 키움, 이주민 관련 정보 제공, 사회적 연대 등의 욕망 생산을 지속하였다. 둘째, 이주민이 일상에서 법적·정책적·대인적 관계에서 차별받아 소외되고 배제되는 한편 외국인이나 어머니의 신분에 고착화되어 한국인과의 소통을 기피하거나 차별을 느껴 한국인에 대한 적대감을 갖게 한다. 미디어교육과 공동체 미디어 활동에서 수직적 교수법과 동화주의로 대표되는 이데올로기는 여전히 권력장치로서 이주민의 능동적 욕망 생산을 저하하였다. 하지만 이와 함께, 이주민들은 미디어교육 및 공동체 활동에서 자기표현, 차이에 대한 소통, 한국 사회로부터 인정받음, 같은 동포에게 도움이 됨 등 실천을 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나아가는 힘을 얻게 한다. 셋째, 이주민의 정동경험 활성화 및 소수자-되기를 위해 미디어교육에서 강사와 학습자의 소통 및 이해를 증진하고 능동적 참여 및 정체성 표현을 끌어낼 수 있는 교수법이 필요하며, 이주민의 출신 국가·세대·언어 수준·취업 욕구 등에 따른 맞춤형 미디어교육의 마련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동체 미디어 활동에서는 대안적 미디어가 되는 목표로 두어야 하며 선주민과의 다양한 연대를 통해 이주민의 목소리를 사회에 알려지며 서로 연대 및 협력 관계를 형성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주민 미디어교육 및 공동체 미디어 활동은 이주민의 인권 확보 및 사회적 연대를 확대할 수 있는 소수자 운동이다. 본 연구는 이주민 미디어교육 및 공동체 미디어 활동의 대안적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더 많은 이주민의 소수자 실천 및 정동 체험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공동체의 이산(diaspora)과 난민의 정동(affect) : ‘난민-공동체-되기’에 대한 탐색과 문제설정

        정민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263

        이 연구는 제삼국재정착 제도를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카렌족 난민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이주와 정착 현상을 공동체문화로서 주목하는 것으로 민속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한다. 카렌족이 난민이 되는 과정에는 공동체의 이산이 연관된다. 이산은 난민의 정동에 발생적으로 관계되며, 이때 카렌족 난민은 그 자신이 중첩하는 수동과 능동의 패턴에서 항상 새로운 양태로 변화한다. 이러한 대상 현상의 특성으로부터 도출된 개념을 이 연구에서는 ‘난민-공동체-되기’라는 복합어로 표현하고 있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산의 조건과 환경을 살펴 ‘난민-되기’가 함축하는 다중 구조를 밝혔다. 둘째, 이주와 정착, 재정착의 구조를 규명하고 ‘난민-공동체-되기’가 공동체에 설정된 경계를 횡단하거나, 그로부터 배제·포섭되는 양상을 살폈다. 셋째, 이로부터 관찰되는 ‘난민-되기’의 의례적 특징을 사회극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 사회의 난민 정동의 구성과 흐름을 포착하고, 그 함의를 규명하였다. 다섯째,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난민-공동체-되기’의 민속적 의미와 연구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난민이라는 예외적 상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민속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동시대 민속사회에서 타자의 현존을 밝힘으로써 민속연구의 문제 영역과 관점이 다층·다원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구상한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folk research by targeting Karen refugees who migrated to Korea through the resettlement policy, and by deeming the phenomenon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s a community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Karen people becoming refugees is involved the diasporic separation of the community, and it generatively related to refugees’ affect which continuous transform Karen refugees and overlap themselves to a new aspect from a pattern of passive and active. The concept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henomenon is expressed in this study in the complex word 'becoming-refugee-community'. The specific discussion developed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s of diaspora, the multiple structures of becoming-refugee were revealed. Second, the structure of migration, settlement, and resettlement was investigated. From this, the pattern of becoming-refugees-community crossing or either being excluded and embraced the boundaries set in the community was examined. Third,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becoming-refugee were observed from this phenomenon, and these are analyzed as a social drama. Fourth, the composition and flow set of refugees’ affect in Korean society were captured and its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Fifth, based on the discussed analysi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meanings of the becoming-refugee-community problématique set on folklore study fiel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esearch area of folklore by conducting the research on the refugees whom having marginal state.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perspectives of folk research to be multi-layered and diversified, and envisions new possibilities by disclosing the existence of others in the contemporary folk society.

      •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이해 :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를 중심으로

        이지원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66732

        SNS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팬덤 커뮤니티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형성된 정서적 공동체라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K팝 아이돌 팬덤의 경우 스타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를 열정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이들도 쉽게 경계를 허물고 팬덤 안에서 관계 맺기를 통해 직접적이고 친밀하게 소통한다. K팝과 같은 대중음악은 본래 정서적 파급력을 가진다. 무엇보다 사람들로 하여금 감정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K팝 기획사와 생산자들은 스타 캐릭터를 중심으로 팬덤이라는 특정한 마니아층을 타깃으로 한 K팝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K팝 아티스트 또한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팬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열중한다. 무엇보다 스타 콘텐츠를 소비하는 팬덤의 기대감,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다. 팬덤은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가진다. 팬덤의 존재는 K팝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다. 스타 비즈니스를 넘어 팬덤 비즈니스에 집중해야 하는 까닭이다. K팝 팬들은 팬덤 내부에서 스타에 대한 경험을 한 주체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팬 활동을 지속한다. 팬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 강화시키는 요인은 팬덤 내부에서 획득하는 정서적 만족감과 팬들 간의 끈끈한 연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K팝을 대표하는 아티스트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감정과 경험의 공유가 집단적 연대와 사회적 실천 행위로 진화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또한 팬덤의 역할과 의미론적 관점에서 팬덤의 정서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