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김지연 대한의료법학회 2015 의료법학 Vol.16 No.1

        난임과 인공수정은 증가하고 있음에 비해 이에 대한 법적 규율은 미비한 상태이며,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자녀의 법적 지위는 불안하다. 현재는 해석에 의해 해결하고 있지만 향후 입법이 필요한 분야로, 우리 문화와 현재 사회의 인식 정도, 의료 수준의 발달 정도, 국외 여러 나라의 선행 입법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입법론에서 고려하여야 할 것은 법을 위반하여 자녀가 출생한 경우, 그의 복리이다. 법이 미래의 모든 사항을 규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인공수정자의 복리는 이에 관한 상세한 입법이 없는 현재에서도 중점적 고려사항이다. 자신의 자유 의지와 적극적 행위로 인공수정을 선택한 성인과 달리 인공수정자는 출생에의 선택권이 없기 때문이다. 이하 본고에서는 인공생식 기술의 유형과 현황을 설명하고, 해석과 판례에서 나타나는 인공수정자의 법적인 지위와 기타 문제 등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해외 입법례를 통해 향후 입법안의 방향을 제시하겠다. 인공수정의 기술적 부분에 관한 입법안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포함시키고, 인공수정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법적 지위 부분은 민법전에 편입하는 방식을 취하겠다. 인류의 미래에 도움을 주는 생명과학의 발전은 장려되어야 하지만 인간의 창조나 개량을 향한 연구는 지양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현실과 과학을 접목하여 법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Currently, infertility and artificial insemination have increased.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legislation about this. In this study, I'll consider the legal status of artificial insemination chil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overseas legislation, we may get the reference of the future legislation. If we consider the increasing of infertility, artificial insemination should be allowed. And due to the well-being of artificial insemination child,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the artificial insemination child should be regarded the legal child of the infertile couples. When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subject's basic rights has occurred, we need to consider the welfare of the child preferentially. Because the artificial insemination child has no selection of opportunity in birth, unlike adults who select the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eir own free will.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should be for the treatment of human. But creation and improvement of human must be prohibited. In addition, the social investigation of recognition about A.R.T. and general public administrative legal regulation should be made. There is a need for balanced discipline through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is study may be providing a legal interpretation criteria of other biotechnology researches.

      • KCI등재후보

        친모 친부의 결정 기준

        황경웅(Hwang, Kwong-Woong)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2

        인공생식을 통하여 자가 태어난 경우에 그 친부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인공생식이라는 방법을 기획하고 주도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누가 담당하였는가라는 관점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정자제공자가 아니라 인공생식을 기획하고 주도한 의뢰부부의 남편이 부가 되어야 한다. 모의 결정에 있어서는 임신이라는 역할도 인공생식에 있어서 중요하므로 친부의 결정기준과는 달리 인공생식과정에서의 역할정도와 당사자의 의도, 당사자의 자의 친권이나 양육에 대한 태도, 자의 복지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3의 여성이 난자도 제공하고 출산까지 한 경우는 제3의 여성을 친모로 보아야 할 것이고, 의뢰 부부의 처가 난자를 제공하고 제3의 여성이 출산한 경우에는 난자를 제공하고 인공생식을 기획한 의뢰부부의 처를 친모로 보아야 하며, 제3의 여성이 난자를 제공하고 난자제공한 여성이 아닌 다른 여성이 출산한 경우에도 제3의 여성이나 의뢰부부의 처가 모두 인공수정자를 의뢰부부의 처의 자로 될 것을 예견하였다는 점에서 의뢰부부의 처를 친모로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의 법규나 이론들은 인공생식이라는 방법으로 태어난 자에 대한 친부, 친모를 결정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주는 데는 미흡하므로 차후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입법이 있기를 기대한다. If the baby is born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paternity should be chosen depending on who plans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nd takes the leading role for it. Therefore, in this case, paternity should be the husband of the married couple planning and leading the artificial insemination, not the perm provider. Regarding maternity, since pregnancy takes a significant rol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maternity should be decided by considering many things synthetically such as how much she contributes to artificial insemination process, what intention the person in question has, how the person concerned's attitude is like that parental rights, custody, and the welfare of the fetus. Thus, couple's wife should be maternity offering an egg and planning the artificial insemination not only when the couple's wife provides an egg and the third woman gives birth to a baby but also when the third woman offers an egg and another is delivered of a baby in that both the third female and couple's wife expect that the egg is going to be the child of the couple. The current laws or theories are not enough to establish a standard for deciding who should be the paternity and maternity of the baby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so I look forward to better legislation able to solve those questions.

      • KCI등재

        AID에 의하여 출생한 자녀의 법적 지위

        김상찬(Kim Sang-Cha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1 No.-

        생명공학, 특히 생식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공수정, 대리모임신 등이 이미 불임치료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더불어 이로 인한 출산의 증가와 함께 많은 민사법적 문제가 발생되지만 현행 민법의 체계로서는 이를 규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도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생식세포의 매매금지나 배아의 보호 등을 위한 규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 뿐 이로 인하여 생기는 법적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보조생식으로 출생한 자녀의 친자법적 지위, 친자관계의 결정문제, 정자제공자의 법적지위 등에 대한 민사법적 문제들은 현행 민법의 해석론이나 판례의 태도에 의하여 규율될 수밖에 없다.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는 입법적인 금지가 시도되었고, 그 행위의 성질이 간통이나 그와 유사한 행위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일반적인 견해와 입법례는 일정한 요건 하에서 AID를 허용하고 있다. AID의 법적 문제로서 父의 추정, 인공수정의 동의권자, 친생부인의 가능성, 정자제공자와 출생자와의 관계, 정자제공자의 익명성과 자녀의 출생을 알 권리 등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중에서 AID에 의하여 출생한 자녀의 친자관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 중에서,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에 의하여 출생한 자녀의 가족법상의 지위에 대하여 우리나라와 독일의 학설과 판례를 살펴봄으로써, 현행 민법 하에서 해결할 수 있는 해석론과 실현가능한 입법론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Biotechnology, especially with the developments made in the field of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is being used as a method to countermeasure against sterility. Artificial insemination and surrogacy are some of the methods that are already being used to date. Along with these developments, various civil court cases have occurred due to the increase in birth rates but the current civil court system has its limits in controlling over these matters. Even the 'law regarding life ethics and safety' which began to be in effect since 2005 only can cover these issues in so much as having a restrictive element to protect the embryo and prohibit the sale of the gamete from a life ethics perspective. However, it unfortunately does not have the power to resolve the legal issues that emanate from it. Therefore, the civil court case issues regarding legal and biological standing of children born und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final decision making of biological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legal standing of the sperm donator cannot help but be regulated under the current attitude of the interpretation and precedents of the civil law. The method of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AID) was attempted to be prohibited by legislative methods in Germany and Italy and the fundamental act of it was considered to be an extra marital affair or something akin to that nature. However, the recent general consensus and law making policies have progressed into allowing the practice of AID under certain conditions.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made in terms of identification of the biological father in regard to legal implications of AID, parties agreeing to the artificial insemination, possibility of the father denying the parental obl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rm donor and the birthed child, the anonymity of the sperm donor as well as the right of the child to know who their biological parent exactly is. Out of these issues, the most important issue is how to decide on the parental relationship with the birth child through AID. This paper looks specifically into the matter of children born under AID as to what their legal standing is within the family out of all these pertinent issues by looking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ories and precedents whereby an interpretive theory and a practical legislative alternative is offered which would work under the boundaries of the current civil law.

      • KCI등재

        亡夫의 凍結精子에 의한 人工受精子의 法的 地位

        정현수(Jeong Hyun-So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성균관법학 Vol.18 No.1

          Currentl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cluding in vitro fertilization are rapidly developing, but the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or institutionalization regarding this hasn’t been established yet. In Korea, in vitro fertilization, which could be called as a reproductive revolution and the opening of a new reproductive age, was first succeeded in 1985, and since then, a number of the procedures have been conducting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preservation of frozen sperms, but there are no proper rules to regulate this practice. It has long been practiced the Artificial Insemination by Husband (AIH) generally among sterile spouses who want to have their own children in our nation, but the other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iques are also generally accepted. However, the use of frozen sperms after death, which included in AIH in its form, is considered to be still remained in a dead ground.<BR>  In other countries, since the legal questions regarding after death fertilization by using dead husbands’ frozen sperms were raised, the legal status of artificially inseminated babies has been approved through precedents and laws under a certain condition. Recently, a legal action for paternity recognition attracted people’s attention in Japan, which was raised by a person who was born through artificial fertilization by using dead husbands’ frozen sperms. Thus, it is a possible scenario that such legal problems regarding birth after death by frozen sperms could be raised in our country.<BR>  As mentioned above, the problems regarding fertilization after death is realistic and legal problems which might happen in Korea someday,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overall legal problems in aspects of family law including whether fertilization after death is to be allowed or not, for they are possible to be raised in association with artificially inseminated babies who were born through frozen sperms after their father’s death.

      • KCI등재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윤석찬(Yoon, Seok-Chan) 한국재산법학회 2018 재산법연구 Vol.34 No.4

        In Korea, sperm donation is a negative phenomeno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at a child born with donated sperm is systematically organized with information on the identity of sperm donors related to his or her birth. However, the deman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our society, especially the aging of women who are pregnant. Especially, the number of families whose husbands can not have children due to environmental hormones is increasing. Therefore, in such a situation, in order to have a child, the infertile couple has to donate the sperm of a non-husband and have a child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Therefore, in our society,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perm bank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s required, and a statutory structure for the artificial modifier born as a sperm donor should also be established.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can be solved in terms of adoption for infants, and furthermore, returning to the point of fundamental birt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erm banks and the exceptional permission of surrogate mother contracts should be recognized. Therefore, sperms should be managed as nation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s such as the US, Japan, and China. In Korea, while the establishment of state-run public sperm bank was delayed, Bio Forest, a company affiliated with Chemi Medi, established the first private sperm bank in Korea. These private sperm banks were established in anticipation of a significant growth in the infertility and infertility treatment market due to the trend of low fertility and aging. In the United States, more than 650 private sperm banks are operating, and the sperm banking market is also growing in China and the United Kingdom.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e donor s anonymous sperm is sold at US $ 690, while the unnamed sperm is sold at US $ 890.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sperm bank should be more actively supported and promoted than the growth of the private sperm bank on the premise of commerciality. 우리나라에서는 정자기증이 음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기증받은 정자로 태어난 아이가 자신의 출생과 관련한 정자기증자의 신원 등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고 기대하기도 힘들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노령화, 특히 가임여성의 노령화 등으로 점차 인공수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환경호르몬의 영향 등으로 남편의 정자로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가정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서는 그 불임부부가 아이를 가지려면 남편이 아닌 타인의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을 통하여 아이를 갖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도 점차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 요구되고 그로 태어난 정자기증자로 태어난 인공수정자에 대한 법리적 구성도 강구되어야 한다. 공공정자은행을 통하여 국가주도의 공적관리와 국가예산이 배정되어 보다 저렴한 불임 시술비가 담보됨으로 인하여 불법적인 정자매매의 거래를 막고 출산율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배아생성 의료기관도 합법적 경로를 통한 정자의 확보 등을 통하여 정상적인 정자은행 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저출산 문제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저 출산 문제를 영아유에 대한 입양이라는 측면에서도 해결할 수도 있고, 나아가 근본적인 출 생의 시점으로 돌아가서 공공정자은행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대리모계약의 예외적 허용은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제는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같은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정자를 국가자원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주도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지 체되고 있던 중 이미 케미메디 관계사인 바이오숲이 국내 최초 민간정자은행을 설립했다. 이러한 민간정자은행은 향후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따른 불임 및 난임치료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을 예상하면서 설립된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650개 이상의 민간정자은행이 운영되고 있으며, 중국, 영국 등도 정자은행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자은행에서 정자기증자의 정자에 의해서 출생하게 된 자는 차후에 성장하여 정자기증자에 관한 정보공개를 청구할 경우도 비일비재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정자기 증자의 프라이버시권과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공개청구권의 충돌이 일어나는 상황이다. 이때에는 정자기증자의 입장에서는 결코 자신의 개인정보가 알려지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서 자신의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유지의무를 사전에 정자제공계약을 통하여 정자은행측에 이미 부과한 것이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독일법원의 판단을 보면 독일 민법 제242조의 신의칙 원칙으로부터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제공청구권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기 위해서는 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법적 관계로서 첫째, 권리주장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권리의 존재 혹은 자신의 권리의 범위에 관하여 불확실한 상태이어야 하고, 둘째, 의무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의 제거를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제공을 어렵지 않게 이행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이 요구된 것이다. 향후 우리 법원도 이러한 판결취지를 보다 면밀히 이해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일본 神戶家庭裁判所 姬路支部 平成20(2008)年. 12. 26. (家)第60號 判決을 중심으로 -

        전혜정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법학논고 Vol.0 No.37

        Surrogacy has gained popularity over recent years as a viable way for a couple who for medical reasons can't have children on their own, become parents. But, the legal aspects surrounding surrogacy are very complex and mostly unsettled. There is a default legal assumption in most countries that the woman giving birth to a child is that child's legal mother. Intended parents have had difficulty obtaining parental rights for their children. The legal procedure most equivalent to it is making an adoption of the child from the surrogate mother. recently, in case genetic parents asked that full adoption for the babies whom surrogate mother gave birth to, Japan judge permitted. When child is adopted as a full adoption,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parents and their chid is finished and only relationship with foster parents can exist. because the purpose of the full adoption system is to assure the foster child' best interest, even though baby was born through surrogacy contracts, if adoption is adequate to babies, the adoption should be permitted. So in paper, I investigated above verdict and the legal aspects in academic research and legislative attempt par surrounding surrogacy in japan. Through this research, I expect progress will be made in legal position for the child whom surrogate mother gave birth to in Korea. 대리모는 외국의 흥미로운 기사거리를 넘어서 우리 사회에서도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법률이 이에 대한 직접적인 규율을 회피함으로써 그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대리모는 문제점을 더욱 키워가고 있는 실정이다. 입법논의에 비해 학문적인 연구는 적지 않으나, 지금까지 논의는 대리모계약이 중심이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대리모를 통하여 출생한 자녀를 법률상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를 그 중심에 세울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대리모를 의뢰한 부모가 대리모를 통해 출생한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을 허가한 최근의 일본 판결을 비롯하여 그 밖에 대리모 관련 판결 및 대리모에 관한 학문적․입법적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에서의 대리모의 실태와 지금까지의 학문적 논의나 입법적인 시도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과 앞으로 대리모와 관련하여 풀어가야 할 과제를 검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