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리스도인의 성경적 웰다잉 필요성 연구

        전영재 ( Jeon Yeong Jae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2

        현재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죽음을 잘 준비할 것인가의 문제가 노년의 주요한 과업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는 그리스도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이 웰다잉이라는 동일한 명칭 아래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웰다잉’과 구별되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가진 명칭 ‘성경적 웰다잉’을 제안한다. 웰다잉은 인간의 주체성이 삶을 추동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좋은 죽음이라는 인생의 결과를 위하여 준비하는 것이다. 성경적 웰다잉은 그리스도인이 영생을 바라보며 말씀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의 주권을 나타내며 살아가는 것이다. 성경적 웰다잉 교육은 Jay. E. Adams의 권면적 상담에서 주장한바, 진리의 말씀을 직접적이고 인격적으로 권면하는 방법을 취하여야 한다. 성경적 웰다잉 프로그램의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은 인간의 삶과 죽음, 영생, 천국과 지옥, 죽음에 대한 태도, 성화된 삶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성경적 웰다잉 프로그램 참가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며 영적 싸움에서 최선을 다하는 성화된 삶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는 말씀으로 새로워지고 그리스도를 본받아 행하며, 기뻐하고 감사하며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태도를 의미한다. As the Republic of Korea entered a super-aging society and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the question of how to prepare for death well became one of the main tasks of old age. Currentl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Christians and the general public is similarly conducted under the same name of well-dying. This study proposes the name 'biblical well-dying', which has a Christian identity distinct from 'well-dying'. Well-dying is to prepare for the outcome of life, a good death, in which human subjectivity drives life and protects human dignity. Biblical well-dying is when a Christian looks at eternal life and lives by expressing the sovereignty of Christ only according to the words of the Bible. Biblical well-dying education should take the method of directly exhorting the Word, as Jay. E. Adams insisted in nouthetic confrontation. The content of the biblical well-dying program should include human life and death, eternal life, heaven and hell, attitudes toward death, and sanctified life. Through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biblical well-dying program distinguish God's will and move on to a sanctified life that does their best in spiritual battles. This refers to the attitude of Christians in life that is renewed by words, modeled after Christ, rejoices, appreciates, and wins.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웰빙 및 웰다잉교육의 통합적 접근

        최용성 ( Yong Seong Choi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웰다잉 교육을 소통시키되 영화까지 통합하여 영화적 통합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때문에 긍정심리학을 죽음교육 혹은 웰다잉 교육의 다양한 흐름 중 로고테라피, 의미관리이론과 연결시키되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영화 <사랑을 카피하다>처럼 원본과 복제의 이분법을 넘어서서 말한다면, 행복한 삶과 죽음에 대한 영화의 모방(미메시스)와 행복한 삶과 죽음에 관한 영화를 모방하는 우리의 삶의 이분법을 넘어선다면 우리는 이런 ‘기막힌 모방’을 통해 우리는 보다 행복하고 의미있는 죽음을 살아낼 수 있지 않을까를 시도해 보았다. 다시 말해서 죽음불안을 감소하고 죽음을 수용하게 하는 죽음교육, 웰다잉교육이 긍정심리학과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모색되게 되었고, 이런 가능성을 영화를 통해 통합하려는 시도를 천착하되 라이언 니미엑 등의 선행연구를 고려하면서도 보다 심화·확장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 이론이나 폴 웡의 의미관리이론의 의미를 추구, 의미 만들기 그리고 의미재구성 과정을 통해 웰빙과 웰다잉 교육 및 영화의 통합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pplication of positive psychology and logotherapy·m meaning management theory for well-being and well-dying education through movie. Positive psychology at the movies is about how to use films and movies to learn about the concepts of positive psychology and its benefits in real life. Character strengths are foundational to well-being, and movies are a rich source with which to build character strengths and hence flourishing. The 24 character strengths is reviewed, and an exemplar movie presented for each, followed by discussion points and potential positive interventions. There is also a list of positive psychology movies with the corresponding virtues and strengths. And using movies to decrease death anxiety and avoidance, movies are another possibility for death acceptance and well-dying education. Movies are presented here as an educational force, with the ability to promote well-being and well-dying. This means that positive psychology and logotherapy, meaning menagement theory, existential psychology using movie needs to be utilized for integrated well-being and well-dying program.

      • KCI등재

        웰다잉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연구를 바탕으로

        김건양(Kim, Geon-Yang),김소중(Kim, So-Jung),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1

        Objective : Currently, research on well-dying in occupational therapy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well-dying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redesigning lifestyle based on well-dying for successful aging, while suggesting suggestions to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 need for research on well-dying. Methods : Using the databas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DBpia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KERIS), 37 final papers were collected with domestic well-dying-themed studies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year of the study, the publisher,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trends of the recent studies. Results : First, according to the annual status analysis, at least one to 12 well-dying studies were published each year from 2016 to April 202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publisher, 20 associ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published well-dying-related papers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most active place wa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published five papers, accounting for 15.2% of the total research.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subject of the study, the concept and meaning studies, impact, education programs, awareness surveys, and integrated case studies were nominated, and other studie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above classification were classified as other studies. Of these, a total of 12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subject of impact, accounting for 32.4% of the total studies. Conclusion : First, it seems that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more diverse work therapy programs based on studies on existing well-dying theories. Second, for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work therapy program based on well-dying theory,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verification research is necessary. Third, it is believed that research on ways to continue the work therapy program service based on well-dying theory will further diversify the target groups and change the perception of death. 목적: 현재 작업치료에서 웰다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웰다잉의 국내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웰다잉에 기초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작업치료사에게 웰다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근 5년간 국내 웰다잉을 주제로 한 연구들로 수집하였고 최종 결정된 37편의 논문은 최근 연구들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자료의 연도와 발행처, 연구의 내용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 4월까지 매년 최소 1편에서 최대 12편의 웰다잉에 관련 연구가 발행이 됐다. 둘째, 발행처별 현황 분석에 따르면 19개의학회 및 연구원에서 지난 5년간 웰다잉 관련 논문을 발행했고,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은 한국산학기술학회로 전체연구의 18.9%를 차지하는 7편의 논문을 발행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 주제별 분석에 따르면 개념 및 의미연구, 미치는 영향, 교육프로그램, 인식도 조사, 통합적 사례 연구 등으로 유목화하고 위의 분류에 포함되지 못한 연구는 기타연구로 분류하였다. 이 중 개념 및 의미연구 주 제에서 총 12편의 연구가 나왔고, 이는 전체 연구의 32.4%에 해당한다. 결론: 첫째, 기존의 웰다잉 이론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한 더욱 다양한 작업치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웰다잉이론에 기반한 작업치료프로그램의 치료적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셋째, 웰다잉이론에 기반한 작업치료프로그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어 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대상층을 더욱 더 다양화시키고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웰다잉 well-dying : ‘병원’과 ‘호스피스’ 어원의 맥락 상에서(의료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 메디커뮤니케이션. 14장 세계의 병원과 웰다잉. 서울:학지사, 2022)

        조은희 한국광고PR실학회 2022 한국광고PR실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래의 ‘병원’의 어원에 대하여 소개하고, 세계의 다양한 병원 사례를 통해 치유를 위한 다양한 공간과 서비스 를 제공하는 병원에 대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웰다잉well-dying을 소개한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병원에서 삶의 여정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할 때에 나의 소중한 삶과 죽음에 있어서 행복한 권리이자 선택사항인 ‘연명의료 결정제도’를 ‘병원’과 ‘호스피스’의 어원의 맥락상에서 이해한다. 존엄하고 편안한 죽음을 위한 제도의 접점을 제공함으로써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행복 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인식에 변화를 마련하고 확산하는 과정으로서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공론의 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삶의 마지막 순간을 마무리하는 제도에 대한 바람직한 기준과 절차를 합의해 가는 과정에 법률 관계자로서의 다양한 주체자와 사회가 함께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생의 마지막 순간 행복할 권리를 추구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현행법인 연명의료결정법의 보완점을 마련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임종문화를 정착시켜 가는 과정을 위해 지속적 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버킷리스트>, <내 사랑 내 곁에>, <엔딩노트>, <아무르>를 중심으로—

        김건 문학과영상학회 2013 문학과영상 Vol.14 No.3

        We all live in the age of anxiety. In the modern consciousness generalizing about “turning away from death” or “absence of death”, it is a truism that our life seems mentally more remote from a driving power for life now than it once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restoration of precious life’s value with the concept of “Well-dying” that will provide fodder for the question, “why do we live?” It is not only a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but also a study for meaningful time utilization about the temporal change in post-modern society. For this, the researcher will shed light on what Well-dying aims at and the concept’s faults, through consideration for films of four different countries (based on different socio-cultural content), which deals with in the theme of death. After all, this study examines not a clinical pathology or ambiguous speculation on an alternative way for dying well, but practical and cognitive conditions for the concept of Well-Dying that gives meaning to our lives and transmutes empty time into abundant time. This study will also suggest a gaze on o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the way to illustrate exactly the concept of Well-dying in those films and what the films are up against. In the Korean reality whose suicide rate tops among the OECD members, moreover, the argument will give a chance to ruminate on one’s dignity and the real meaning of life for those who might be choosing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extreme isolation from a society.

      • KCI등재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중심으로

        김춘남,박수현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ell-dying projects of local communities preparing for an aging society, review the feasibility of linkage with home-based elderly welfare projects and identify methods to do so by focusing on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identify the role of communities in supporting well dying program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ell-dying culture creation, and related policies in one province were analyzed. In addition, written or face-to-face advisory meetings were conducted on 7 occasions with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explore the community’s role in providing well-dying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well-dying projects operated mainly by local governments was confirmed, as well as the services and programs linked to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econ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pert opinion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linking p rojects, prepare a c urriculum that c onsiders t he c haracteristics of t he s ubject, prepare a c lear b asis f or providing well-dying services, take a step-by-step approach, and confirm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ell-dy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t the end of life, it is important to advance and systematize the project so that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access quality well-dying programs through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perating system for well-dying projects and programs so that service users and providers can understand well-dying culture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for each situation. 목적: 본 연구는 에이징 솔로사회를 대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웰다잉 사업을 살펴보고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재가노인복자사업과의 연계가능성을 검토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을 규명하기위해 1개 도의 재가노인복지사업 현황과 웰다잉 문화조성및 관련 정책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웰다잉 지원과 관련된 지역사회역할을 탐색하기 위한 서면자문 또는 대면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웰다잉 사업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재가노인복지사업과 연계가능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사업간 연계를 위한 협력체계구축,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커리큘럼 마련, 웰다잉 서비스제공에 근거와 필요성을 명확한 근거 마련과 단계적 접근, 급속한 고령화 속에 늘어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생애말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매노인을포함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노인이 재가노인복지사업을 통해 양질의 웰다잉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고도화되고 체계화해야 한다. 또한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 및제공자가 각기 상황에서 웰다잉 문화를 이해하고 적절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웰다잉 사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주요국의 웰다잉(Well-dying) 지원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김경아(Kyoungah Kim)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본 연구는 주요국의 웰다잉(Well-dying) 지원정책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도 관련 해외사례 연구를 통해 주요국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필요한 개선방안과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사례 연구 결과, 주요국들은 사회 구성원의 죽음의 질을 개선하고 웰다잉(Well-dying)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지역포괄시스템과 재택 케어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었다. 또한, 웰다잉(Well-dying) 지원 관련 시설 간 연계 및 다각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상호연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이 제시하고 있는 죽음의 범주가 매우 협소하며,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하기보다는 하나의 이벤트로 간주하여 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따라서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과 연관성이 깊은 웰다잉과 좋은 죽음의 준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우리 역시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무엇보다 현재 국내 제도가 관심을 두고 있는 웰다잉 서비스의 영역이 협소하다는 점은 한계점이며, 심리·사회 영역과 관련한 정책적 관심 역시 아직 부족한 상황이므로, 죽음을 회피하기보다는 삶의 한 요소로 편하게 논의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남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강화와 정책적 기반 마련 역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점진적으로 큰 틀에서의 현재의 관심 대상과 영역의 협소함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주요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도록 발전시켜 좀 더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웰다잉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trends in major countries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related to well-dying support policies an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systems in major countries, and draws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 to suggest necessary improvement measur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s a result of overseas case studies, major countries are promoting the provision of services centered on regional comprehensive systems and home care centered on regional base hospit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of members of society and support well-dying. In addition, a system was established to connect facilities related to well-dying support and provide diversified services, as well as provide an interconnection network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scope of death proposed b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is still very narrow, and death is regarded as an event rather than a continuum of life, and the minimum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required for this is established. Therefore, we also need to gradually exp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o that well-dying and preparation for a good death,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progress of aging, can be realized. Above all, it is a limitation that the area of well-dying service that the domestic system is currently interested in is narrow, and policy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reas is still lacking, so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discuss death as an element of life rather than avoiding death.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positive social atmosphere, strengthen services for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prepare a policy foundation.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efforts to gradually overcome the narrowness of current interests and areas in a larger framework.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more diversified and comprehensive well-dying support can be achieved by developing it to suit our situation by referring to the cases of major countries.

      • KCI등재

        차문화치료를 활용한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죽음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ulture therapy program to help elderly Koreans express anxiety about death, the last task of life,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quality of life by easing anxiety about death, and to stud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which applied the well-dying Program for the Mitigation of Death Anxiety for the Elderly, was aimed at 20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P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minutes for introduction, 60 minute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15 minutes for leakage, and 15 minutes for cleaning up. The program lasted a total of 9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times. To verif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the elderly's death anxiety,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measuring tools for marriag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by applying the well-being program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for senior citizen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3.18 (SD 0.35), and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2.90 (SD 0.30),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sco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6.170***, P=.000).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for the elderly was 3.33 (SD 0.43).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creased by 0.29 to 3.58 (SD 0.23),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5.252***, P=.000).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elderly could also see the true well-dying of trying to end their lives with a comfortable mind while naturally talking about life, death, and future views, expressing anxiety about death, and sharing the thoughts of the participants about happy lives. This has shown that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elderly people's fear of death.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게 생애의 마지막 과업인 죽음에 대한 불안 감정을 표출하고 죽음 불안을 완화로 삶의 질 향상과 안정화를 위하여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개발된 노인의 죽음불안 완화를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P시의 노인복지관의 본 프로그램의 참가를 동의한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도입 15분, 개입 전개 활동 60분, 소감나누기와 정리 15분 총 90분으로 회기 당 구성하여 1주일에 1회씩 총 8회로 진행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결혼만족도 측정도구 점수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노인들의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3.18(SD 0.35)였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2.90(SD 0.30)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죽음불안 점수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170***, P=.000). 노인들의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33(SD 0.43)이었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58(SD 0.23)로 0.29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252***, P=.000).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노인들은 삶과 죽음, 내세관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표출하고, 인생의 행복한 삶에 대한 참여자들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할려고 하는 참다운 웰다잉을 볼 수 있었다. 이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최봄이,박하영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2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죽음 준비 유형에따라 웰다잉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실태를 유형화하고 하위유형에 따라웰다잉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연소노인(65-74세) 5,977명, 고령노인(75-84세) 3,33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610명의 세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죽음 준비는 수의/영정사진, 장지마련과 같은의례적 차원의 4문항, 교육 수강, 유서 작성 등 심리⋅사회적 차원의 2문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장기 기증 서약 등 의료적 차원의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웰다잉 인식은 스스로, 고통 없이, 가족⋅지인과 함께,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죽음을 맞는 것의 중요도의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분류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잠재계층 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소노인은상대적으로 적극적 준비도를 보이는 ‘적극 준비’ 집단과 전 항목에서 죽음 준비를 하지 않는 ‘준비 없음’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과 의례적 차원에서만 죽음 준비를 하는 ‘소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 세대에서 ‘적극준비’ 집단의 비중이 3~6%로 매우 낮았다.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연소, 고령노인이 ‘적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된 경우‘준비 없음’ 집단이나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각 항목의 중요성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이 가족⋅지인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서만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그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소노인부터초고령노인까지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수준이 여전히 낮고 의례적 차원에 국한되어 있으며, 웰다잉 인식이 죽음 준비 유형에 따라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 준비 교육 등 웰다잉 정책에서 노인 내 이질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Although soci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has increased, empirical evidence for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is ver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whether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vary by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nd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well-dying according to subgroups. For this, older Korean adults aged 6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5,977 young-old adults (65-74 years old), 3,333 old-old adults (75-84 years old), and 610 oldest-old adults (85 years old and above). End-of-life preparation was measured by four questions in the ritual aspect (e.g., preparing shrouds or funeral portraits), two questions in the psycho-social aspect (e.g.,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writing a will), and two questions in the medical aspect (e.g.,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ledging to donate organs). Perceptions about well-dying were measured using four item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dying autonomously, without pain, in the company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without burdening those around them.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stage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hich accounted for classification err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oung-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which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reparation, and the ‘no preparation’ group, which lacked preparation for end-of-life in all dimen sion s. The old-old and oldest-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which was limited to end-of-life preparation only in the ritual aspec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in all generations was very low, ranging from 3 to 6%.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perceptions of well-dying showed that among the young-old an d old-old adults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the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 preparation’ or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s. Among the oldest-old adults,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regarded end-of-life compan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as less important than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from young-old to oldest-old, remains low and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itual aspect. Furthermore, perceptions about well-dying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in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end-of-life preparation education, that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older popul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