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 서원제도 수용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조선 서원 문헌을 중심으로 한 토론 -

        邓洪波 ( Deng Hong-bo ),赵伟 ( Zhao Wei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9 No.-

        서원은 동아시아 士人들의 공동의 문화교육조직이다. 조선은 명나라 강정 연간에 중국으로부터 서원제도를 수용하였으며 『죽계지』, 『영봉지』, 『오산지』 등 서원지들이 서원의 수용과정을 잘 보여준다. 우선 주세봉은 주자 백록동서원 고사를 따라 처음으로 백운동서원을 설립하고 『죽계지』를 엮었으며, 근사(謹祀), 예현(禮賢), 수우(修宇), 비름(備廩), 점서(點書) 등의 운행제도를 세웠고, 조선서원의 시작과 기초를 닦는 데 공을 세웠다. 다음으로 노경린은 영봉서원을 설립하고 『영봉지』를 엮었으며 사우를 세워 선현들을 모시고 서원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그리고 『묘원정의록』, 『학규록』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 구축도 처음으로 시도하였는데 서원의 발전에 공이 있다. 그리고 주세봉을 이어서 백운동서원을 운영하였던 이황은 상소를 올려서 사액을 청구하였는데 서원 사액 제도의 시초를 열어주었고, 그 후에 학자의 신분으로 10개소 정도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백록동서원게시』를 해석하여 널리 보급시키고, 『성학십도』에도 편입하였으며 조선서원 제도를 집대성하는 데 공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cademy(書院) was formed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t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and later developed into the common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East Asia, it has a history of nearly 1,300 years. Korea's academies were introduced from China and formed part of East Asian academies. In its development process,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cademy documents of the Korean era, such as Records of Jukgye(竹溪志), Records of Yeongbong(迎鳳志), Records of Osan(吳山志), Records of Yeogang(廬江志),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李朝實錄)and the literature of academy rules and regulations, etc. In view of how the Chinese academy institution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Dynasty, this paper has some different views from the South Korean scholar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BaegundongAcademy(白云洞書院), which was founded by Joo Se-bung(周世鵬), the Governor of Poongki(豊基), in the Zhongzong(中宗) period, was the beginning of the academy of Korea, and also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academy institution by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early as in the early years of Shizong(世宗), private academies of Confucian scholars with teaching functions had appeared in the society, which should bring forward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Korean academies by more than 120 years. Korea's introduction of the Chinese academy institution did not begin during the Zhongzong period, at least as far back as the 21st year of Shizong, more than 100 years ago. By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during the Korean Zhongzong, Renzong(仁宗), Mingzong(明宗) and Xuanzu(宣祖) periods, academies and temples were regarded as institution not found in Korea, which needed to be introduced from China, and Korean academies entered the period of introduction. Generally speaking,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period of Korean academies is about 60 years. The three books compiled in this period, Records of Jukgye, Records of Yeongbong and Records of Osan, can roughly show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academy institution. Joo Se-bung, Rho Gyeongrin(盧慶麟)and LeeHwang(李滉)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academy institution. Joo Se-bung and Lee Hwang both believed in Zhuzi-ology(朱子學), but Joo is considered to be the conservative faction, and his contributions are greatly underestimated by later generations. Zhu Xi's behavior in the Bailudong Academy(白鹿洞書院) became the object that Joo Se-bung imitated. He founded the Baegundong Academy, compiled the Records of Jukgye, and put forward five institutions. His achievement lies in his first creation. Some scholars believe that Baegundong Academy is the earliest academy in Korea, it is thought to be an adjunct to the Mun-sung-gong Temple(文成公廟), but this is not the case. In Joo Se-bung's opinion, the Academy and the Temple are different and parallel, one is to urge people to learn, the other is to worship people with virtue, each has its own function. Rho Gyeongrin founded Yeongbong Academy(迎鳳書院) and wrote the Records of Yeongbong. He built a temple to honor the sage and an academy to support Confucian scholars. But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why academies should be set up when there are official schools. He wrote the Resolution of the Temple and Academy(廟院定議錄) to recor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academy institution. In addition, he wrote the Records of Learning Regulations(學規錄), emphasizing the construction of institutions. His contribution was to expand the influence of the academy institution. Lee Hwang managed Baegundong Academy after Joo Se-bung. He begged the king to bestow plaque for the academy, thus establishing the institution of plaques for the academies. Later, as a scholar, he wrote many articles about academies, and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nearly ten academies. At the same time, he explained and promoted the Bailudong Regulation(白鹿洞書院 揭示), and spread it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and even Japan. His achievement was to perfect the Korean academy institution. Among Joo Se-bung, Rho Gyeongrin and Lee Hwang, Lee Hwang's reputation was the most prominent, which was fully recognized and even suspected of being overpraised. Joo Se-bung's reputation stems from creating Baegundong Academy, but his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academy institution is not recognized. Rho Gyeongrin's work has not received any recognition. If we can make a detailed study of the academy records,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academies in Korea will become increasingly clear.

      • KCI등재

        조선시대 해주 소현서원의 운영과 위상

        이경동 ( Lee Kyung D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李珥, 1536~1584)가 해주에 건립했던 강학처인 은병정사(隱屛精舍)를 모태로 김장생, 박여룡 등 이이의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서원이다. 이이를 배향한 최초의 서원이며, 지역명을 따서 석담서원(石潭書院)으로 병칭되었다. 은병정사는 1610년 ‘소현’으로 사액되면서 학파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사액 이후 소현서원은 문인계(門人契)의 제정, 『율곡집(栗谷集)』의 간행과 같은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학파의 중심지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었고, 소현서원의 제향과 강학은 황해도 인근에 건립되었던 서원들의 모델이 되었다. 소현서원은 1586년 이이의 유지를 받들어 문인들이 주자사(朱子祠)를 건립하여 주희, 조광조, 이황을 배향한 이후 이이, 성혼, 김장생, 송시열을 추향하였다. 추향의 과정은 추향인물들의 문묘종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우·율 문묘종사의 과정에서 17세기 중반 성혼이 추향되었고, 김장생과 송시열은 각각 문묘에 종사된 이후 소현서원에 추향되었다. 이러 한 과정은 서인·노론계 인사들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17세기 후반 송시열을 중심으로 노론계 문인들은 이이를 ‘동방의 주자(朱子)’로 인식하며 주희-이이-김장생으로 단일화된 도통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대체로 이러한 과정은 이기론이나 격물설과 같은 성리설(性理說)과 관련되어 있었지만, 소현서원 또한 제향과 이이의 강학처라는 의미로 인해 도통론과 연계되어 있었다. 소현서원은 주희가 강학했던 백록동서원이나 무이정사와 비교되며 조선의 대은병(大隱屛)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노론계 문인들은 제문(祭文)·시문(詩文)·기행문 등 다양한 문학작품을 남기면서 자신들이 소현서원에 방문하여 느낀 사항들을 기록하였다. 송시열은 17세기 후반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차운(次韻)한 「고산구곡시(高山九曲詩)」를 그의 문인들과 함께 작성하며 소현서원과 그 주변의 구곡(九曲)을 관념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와 같은 회화 작품도 노론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작되면서 자신들이 관념화한 이이와 소현서원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이 과정에서 소현서원은 율곡학파계열 인물들이 필수적으로 방문하는 명승지로 정착되었다. 학파 차원 뿐만 아니라 조정에서도 소현서원은 이이를 배향하는 최초의 서원으로서 주목되었다. 소현서원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은 다른 사액서원과 마찬가지로 치제(致祭)와 서책을 하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외에 묘정비(廟庭碑)의 건립 등과 같은 조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17세기 후반 문묘종사 이후 선정(先正)으로서 이이의 위상 확립과 연관되어 있었다. 18세기 영조와 정조를 비롯한 이후의 국왕들은 선정(先正)이나 정학(正學)의 상징으로서 이이의 표상을 강조하며, 소현서원을 이이와 동일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현서원은 학파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위상이 확립되면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서원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Sohyeon-seowon (소현서원, 紹賢書院) is a Neo-confucian academy constructed by the disciples of Yi Yi (이이, 李珥, 1536~1584) based on Eunbyeong-jeongsa (은병정사, 隱屛精舍), a place that Yi Yi built in Haeju, where the master taught his followers. It is the first seowon that gave a memorial service for Yi Yi, and was also called Seokdam-seowon (석담서원, 石潭書院) after the place name. Eunbyeong-jeongsa grew into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cademy in 1610 when it was recognized by the country under the name of 'Sohyeon-seowon'. Afterwards, the memorial rites and the academic regulation at Sohyeon-seowon influence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numerous academies not far from it. In this process, Sohyeon-seowon consolidated the status of the school by establish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solidarity of the members and publishing collected writings of Yi Yi (Yulgok-jip, 『율곡집(栗谷集)』). Sohyeon-seowon upgraded its status as it gradually added to its list of personalities enshrined Zhu Xi (주희, 朱熹), Jo Kwang-jo (조광조, 趙光祖), Yi Hwang (이황, 李滉), Yi Yi, Seong Hon (성혼, 成渾), Kim Jang-saeng (김장생, 金長生), and Song Si-yeol (송시열, 宋時烈). The personalities added for its memorial service were added for the memorialservice at the Confucian Shrine (문묘, 文廟) in the capital city and then at Sohyeon-seowon. The inclusion of personalities for memorial service at the Confucian shrine had to do with the growth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group that followed Yi Yi. The process continued through the 17th and the 18th century. The intellectuals who followed Yi Yi's scholarship upheld him as Zhu Xi and thereby worked to set up a unified academic lineage under Yi Yi. In general, such efforts were related to the Neo-Confucian theories such as world view or cosmology. In the process, Sohyeon-seowon was identified with Bailudong-shuyuan (백록동서원, 白鹿洞書院) or Wuyijingshe (무이정사, 武夷精舍), the Neo-Confucian schools run by Zhu Xi while he was alive. Those intellectuals who operated at Sohyeon-seowon left various literary works, in which they recorded how they felt on visiting Sohyeon-seowon. Thus, they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the status of Sohyeon-seowon. The practice has continued since the 17th century, and the eminent contemporaries often left their traces by creating plaques or stone inscriptions inside or around the academy. Or, they visualized the conceptual images of Yi Yi and Sohyeon-seowon by depicting in paintings the academy and other scenic spots close by. Thus, Sohyeon-seowon established itself as a scenic spot which the academic followers of Yi Yi were required to pay a visit to. As Sohyeon-seowon was the first Neo-confucian academy giving a service in memory of Yi Yi, the country gave special consideration and supports to it.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interest in Sohyeon-seowon by sending its officials to give a memorial service at the academy or delivering Neo-Confucian books published by the royalty. This happened as the country was increasingly convinced that Yi Yi was an important personality for the country. Such interest was pronounced from Yeo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in the 18th century, who directly expressed interest in Yi Yi and Sohyeon-seowon as byhaving people paint the scenes around the academy or having stone inscriptions bearing their own writings erected at the academy. In that process, Sohyeon-seowon had its status consolidated not just for the school but also or the country and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seowon of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설시우와 강절서원

        노소준 ( Lu Xiaojun ) 한국서원학회 2017 한국서원학보 Vol.5 No.-

        설시우는 지방관을 지냈던 시절부터 지방 서원 관련 사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후 연이어서 항주 숭문서원, 남경 존경서원, 석음서원에서 강의를 주관하였는데, 그 기간이 20년이나 되었다. 설시우가 書院史에 공헌한 점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서원경관을 선비 양성 및 학문연마와 연관시켜 서원경관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문학지형도의 미시적 이론에 있어 일가를 이루었다. 둘째,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이 있어서 평생 동안 수많은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특히 가난한 선비를 많이 뽑았는데 동남사림에 높은 명망을 갖고 있었다. 셋째, 10종의 서원 科藝總集을 편찬하고 출간하였다. 동남 명사들의 수많은 서원 과예 습작들을 수록한 이 총집들은 중요한 서원 관련 문헌으로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薛時雨在擔任地方官員期間, 就積極參與地方書院事務;后來主講杭州崇文、南京尊經、惜陰書院, 長達二十年之久。他在書院史上的貢獻, 一是將書院景觀與造士爲文相聯系, 賦予書院景觀以象征意義, 在文學地理的微觀理論方面獨樹一幟;二是有知人之鑒, 培育人才衆多, 尤其是選拔了不少寒士, 在晩淸東南士林中享有?高的威望;三是編刊書院課藝總集達十種之多, 這些總集保存了不少東南名士的書院習作, 在書院文獻方面具有重要价値。

      • KCI등재후보

        唐代 書院의 형성에 대한 재검토 -존재 양태와 배경을 중심으로-

        류준형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0 No.-

        The Seowon(Shuyuan) found in the official history after the Ryeojung(Lizheng) Seowon was not the official term for the particular institution with certain regulations. The Seowon that had emerged as the simple form of Susuwon(Xiushuyuan) was used not as a formal name but as a general meaning, and was more widely used to refer to places related to books. This name was a distinguished one from the Seowon mentioned in later generations. In addition, the Seowon was also used to refer to that of the civilians during the Tang Dynasty, whi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insight into the fact that the corresponding site existed. Unlike the preexisting understandings, however, the civil Seowon such as Gwangsuksan(Guangshishan) that are considered to have existed even before the advent of the Ryeojung Seowon have credibility issues in historical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ir actual existence as a Seowon. On the other hand, the Seowon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works of the Tang Dynasty deserve the affirmation of their existence, but their names, different to those of later generations, we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names of certain individuals. This shows that the Tang Dynasty Seowon originated from a specific individual’s place of study or lectur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ly form of Seowons was formed directly linked with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it was operated as a place for personal learning and educational activity in the latter half of the Tang Dynasty in the face of the increasing insolvency of the educational system. Individual learning methods initiated in result of multiple causes we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person but were also collectively implemented by multiple people. This individual learning had expanded into a form of teaching, an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study and educate in groups had increased. In this process, there were frequent cases where certain individuals took the Bureaucratic appointment examination or were recommended for government posts. However, studying and teaching was not only shared as a means of obtaining such positions, and so this also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employment or after retirement as well. The individual-centered studying and teaching graduall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expansion and was recognized and valued. Having shown its various aspects, individual study and teaching led to one of the universal acts by intellectuals in the Tang Dynasty, and further established a social trend. This situation provided an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ng Dynasty Seowons. In the end, the Tang Seowon was formed under the circumstance of a certain discrepancy between its name and the actual being, and ultimately was embodied in the background of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tudying and education of the individual continued to expand. 서원의 명칭은 중국에서 唐代에 처음 확인된다. 이는 당시 궁중 내 설치된 麗正書院의 존재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데, 書院으로 지칭되는 대상의 변화 속에서 書院의 명칭은 특정 성격을 갖는 범칭으로 활용되었다.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 書院은 민간에서도 이용되었고 특정 개인의 독서 및 강학의 장소를 일컫는 의미로 통용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唐代 작성된 문학 작품을 통해 확인된다. 따라서 특정 사료에서 서원의 명칭이 管見되는 것을 곧 송대 이후 확립되는 서원, 즉 일정한 規制를 갖춘 서원의 출현과 연결 짓는 것에는 무리가 따른다. 당대의 서원은 개인의 학술과 교육을 위한 장소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 점차 확대되어가던 사회적 분위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당 중기 이후 관방 교육 제도의 부실화 경향이 과거 응시자들의 새로운 수요와 맞물려 확대되고, 이를 배경으로 이른바 당대 서원의 형성과 확산이 촉진되었다. 당대에 개인에 의한 개별적인 학습 방식은 다양한 계기로 시작되었고 여러 사람들에 의해 집단적으로 시행되기도 했다. 이는 곧 교육을 중심으로 한 講學의 형태로 확대되었고, 여럿이 독서와 교육을 함께 하는 경향이 늘어갔다. 이를 배경으로 추천 또는 과거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는 일이 잦았다. 한편 개인에서 시작된 독서와 강학의 활동은 관직 획득만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어서 관직의 재임 기간이나 致仕 이후에도 시행되었다. 이에 개인 및 확대된 형태로 이루어진 독서와 강학은 점차 사회적인 의미를 인정받았고 그 행위를 중시하는 태도가 확산되어 곧 사회적 풍조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은 당대 서원의 형성과 이후 서원의 발전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 KCI등재

        朱子书院文化与韩国书院的发展

        张品端 ( Jang¸ Pin-da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본 논문은 朱子書院文化가 조선시기 서원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고, 이 영향을 받은 조선시기 서원들이 이를 토대로 어떻게 건립되고 발전한지를 논술했다. 이를 위해 논문은 <한국 서원 건립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한 주자서원문화>와 <한국 서원문화의 발전>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1장 <한국 서원 건립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한 주자서원문화>에서는 世宗시기부터 宣祖 시기까지 서원이 설립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세종 때는 朱子의 『白鹿洞書院揭示』의 영향을 받아 서원들이 점차 세워졌다. 中宗 시기에 과거제도의 부실운영과 관학의 학생 수 급감으로 서원이 널리 세워지는 계기가 되었다. 서원이 제도화되고 독립성을 갖게 된 것은 李彦迪과 李滉 등의 노력이 있었다. 이언적은 『玉山書院學規』를 이황은 『白鹿洞學規集注序』와 『白鹿洞規圖』를, 李珥는 『隱屛精舍學規』를 만들어 서원운영을 체계화하였다. 마지막에는 19세기에서 지금까지 서원의 상황과 서원의 복구 및 서원의 역할 등을 설명했다. 2장 <한국 서원문화의 발전>에서는 주자서원문화의 영향을 받고 설립된 조선시기 서원들이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중국 서원과 대별되는 조선시기 서원들의 독특한 발전특징을 기술했다. 논문에서는 조선시기 서원들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유가의 지식전수와 문화전승, 제사활동, 禮學의 발전과 『朱子家禮』의 전파, 예학 저술의 발달, 주자를 높이는 활동 등을 꼽았다. This study states that how Zhu Xi’s Seowon(Shuyuan) culture affected Seowons in Joseon and how Seowons in Joseon were established and developed with the influences. For this, the study reviews both < Zhu Xi’s Shuyuan culture offering intellectual bas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owons > and < Development of Korean Seowon culture >. Chapter 1 < Zhu Xi’s Shuyuan culture offering intellectual bas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owons > explains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eowons at the time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Seonjo. In the era of King Sejong, with the influences of Zhu Xi’s ≪A Note on Bailudong-Shuyuan≫(≪白鹿洞書院揭示≫), Seowons had been established. Because of bad management in civil examinations and dramatic decrease in students in the governmental school in the era of King Jungjong, Seowons were widely established. The systematization and independence of Seowons came from efforts of Yi Eon-jeok and Yi Hwang. Yi Eon-jeok wrote ≪Educational Regulation of Oksan Seowon≫, Yi Hwang wrote ≪Bailudong Educational Regulation Commentaries≫(≪白鹿洞學規集注序≫) and ≪Bailudong Regulation Schemes≫(≪白鹿洞規圖≫) and Yi Yi wrote ≪Educational Regulation on Eunbyeongjungsa≫(≪白鹿洞規圖≫), respectively, systemizing Seowon operation. In final part, the situations of Seowons from the 19th Century to present, and its restoration and roles are explained. Chapter 2 < Development of Korean Seowon culture > describes that the Seowons in Joseon Era, which had been established under the Zhu Xi’s Shuyuan culture’s influences, played a role of educational institutes and its uniqueness in development, contrasting to the Chinese Shuyuans. In the study,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Seowons in Joseon include transiting Confucian knowledge and inheriting culture, sacrifice activities, development of Yehak(禮學), spreading << Chu-tzu Cha-li >>(≪朱子家禮≫), development of writing Yehak(禮學), and praising Zhu Xi, etc.

      • KCI등재후보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 -상주 도남서원(道南書院)의 시회(詩會)를 중심으로-

        채광수 ( Chae Gwang-soo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2 No.-

        도남서원은 지식 네트워크 활동과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시회 자료가 현전하는 곳이다. 먼저 도남서원 주도세력의 네트워크 성격을 분석한 결과, 원장을 배출한 상위가문은 부림홍ㆍ안동권ㆍ장수황ㆍ진양정ㆍ풍산류ㆍ흥양이씨 6개 성관이었다. 정경세와의 밀접한 관계성, 남인과 노론이 병존하고 있는 모습, 원장의 높은 소ㆍ대과 합격자와 관직자 비율, 원장을 지낸 다수가 다른 서원의 원장을 중복해 역임하는 일련의 현상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인적구성을 토대로 낙동강과 도남서원을 무대로 삼은 ‘임술시단’과 ‘개별 학자의 문회ㆍ시회’ 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활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자는 소동파의 적벽놀이를 본받아 1607년부터 1778년까지 이어졌는데, 본고에서는 시회의 출발점인 1607년을 대상으로 도남서원과 관계, 구성원 면면, 선유 경유지, 공동시 창작 등 지식 네트워크의 활동을 탐색해 보았다. 이준이 작성한 공동시 서문에 ‘간략히 일의 전말을 써서 책머리에 놓아 도남서원에 갈무리해 뒷날이 놀이를 잇는 자의 선구가 되고자 한다’라는 말처럼 이후 도남서원에서는 시회를 통해서 연대와 결속, 나아가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을 견인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후자는 영남학파의 적맥을 계승한 유수의 학자들이 배출된 지역 특성상 首院인 도남서원은 활발한 강학이 전개된 서원으로 꼽힌다. 이중 이만부ㆍ권상일ㆍ정종로의 강학과 어우러진 시회 사례를 주목했다. 이만부는 1697년 상주 이주 직후 도남서원에서 열린 문회와 선유를 경험했고, 1724년 講長의 자격으로 _근사록_ 강회를 주관하였다. 서원 교육에 관심이 남달랐던 권상일은 1723년 원장 신분으로 _심경_강회를 선보였고, 선유를 즐겼다. 1816년 수백명이 참석한 정종로의 도남서원 강회는 특기할 만하며, 강회 후에는 생전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시 1수를 남겼다. 이러한 도남서원의 시회 활동을 통해서 서원의 지식 생성과 네트워크 형성, 지식 확산의 과정을 밝힘으로서 서원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이 된다. Donam-seowon is a current place where the valuable social data that may confirm the activities of knowledge network and its actuality.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Donam-seowon-led influences, the upper-echelon clans that produced heads of such seowon (a place for scholars to study or holding ritual services) were 6 clans including Burim Hong, Andong Gwon, Jangsu Hwang, Jinyang Jeong, Pungsan Ryu and Heungyang Lee. A series of phenomenon could be confirmed from the following facts: close relationships with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powerful sectors, appearance of contrasting stance of Namin and Noron (political factions), high ratio of head of seowons in passing minor and major national examinations and working in government positions, and many heads of seowon concurrently serving as the head of seowon for other seowons. This study has taken a look at the activity trends of knowledge network on the foundation of culture and social aspects by ‘Imsulsadan’ that was mainstay in Nakdong-gang River and Donam-seowon and individual scholars on the basis of such personnel structure. The former had been descended from 1607 to 1778 by accommodating Jeokbyeoknori of Su Dong Po (Chinese poet, writer and philosopher), and under this article, it has sought the activities of knowledge network of relationship with Donam-seowon, aspects of constituents, detouring sites of scholars, creative writing for joint poetry and others from 1607 as the starting point of poetry session. As demonstrated on the introductory statement of the joint poetry that was written by Lee Jun, in pertinent part, ‘By writing the brief summary to place in the outline of this book, it is intended to be the pioneer for those who handed down at a later time by placing the same at Donam-seowon’, and thereafter, Donam-seowon came up with the solidarity and bonding through poetry session, followed by its starting point to lead the close network structuring. The later is considered as the seowon where the active study was undertaken in Donam-seowon as the capital of such seowon with its regional feature in advancing numerous famous scholars that were schemed from the influence of the Youngnam academic faction. The attention was paid to the cases of poetry sessions that were harmonized with the studies of Lee Man-bu, Gwon Sang-il and Jeong Jong-ro. After moving to Sangju in 1697, Lee Man-bu experienced literature sessions and encountering of scholars at Donam-seowon, and in 1724, he served led the 『Geunsarok』 study session as the head. Gwon Sang-il who was extremely interested in the seowon education held the 『Simgyeong』 study session as the head of seowon in 1723 and he enjoyed the scholars. In 1816, the Donam-seowon study session of Jeong Jong-ro with the attendance of several hundreds of audience was worth of special attention, and after the study session, he left a piece of poem that is presumed to be his last one. Through such poetry session activities of Donam-seowon, this article displays the knowledge generation, network formation and process of knowledge dispersion by seowon with significant implication to demonstrate the diversified aspects of seowon.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 학규의 시기별 경향-16세기~18세기를 중심으로-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서원은 ‘강도(講道)’와 ‘존현(尊賢)’이라는 목적을 갖고 설립되었다. 이 두 가지 목적은 각각 강학(講學)과 향사(享祀)를 통해 수행된다. 서원의 학규는 서원이 이와 같은 설립 목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어디까지나 원론적인 정의일 뿐이다. 실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그렇듯 서원 역시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반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조선시대 서원의 학규 역시 그것이 제정되는 시기별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서원의 개척기라 할 수 있는 16세기 서원의 학규는 당시 서원 창건을 선도했던 퇴계와 율곡 같은 인물들이 서원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학문적 이상을 담아내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17세기 서원 학규의 특징은 16세기 학규를 계승하면서도 이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학규로서 보다 완정한 체계를 갖추어 간다. 18세기 학규는 이전의 학규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 시기 학규는 당시 서원의 기능이 ‘향사’에 집중되는 현상을 반성하면서 ‘강학’의 기풍을 진작하는 내용들로 채워진다. 조선시대 서원의 학규는 이렇게 시대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가는 경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때로는 학파적 전통을 계승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학파의 경계를 넘어 소통하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the truth and commemorating ancient sages. These two purposes are carried out through Ganghak(discussion learning) and Hyangsa(memorial rites), respectively.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specifically present the contents necessary for Seowon to fulfill these purposes of establishment. However, this definition is only a theoretical definition. As with everything that actually exists in the world, Seowon has no choice but to respond to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Therefore,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Joseon Dynasty also show different trends depending on the time it was enacted.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established in the 16th centur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ioneer period of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t means that the academic ideals that the figures such as Toegye and Yulgok, who led the creation of Seowon at the time, tried to realize through Seowon are contained in the academic regulations. In contrast,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17th century is that it inherits the academic regulations in the 16th century, but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it has amor ecomplete s ystem as a academic regulations. The 18th-century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academic regulations. During this period,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reflected on the phenomenon that the function of Seowon was concentrated on “Hyangsa”(memorial rites) at the time, and was filled with contents that boosted the spirit of “Ganghak”(discussion learning)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showed a tendency to change and develop the times, and sometimes inherited school traditions, and in some cases, they communicated across the boundaries of schools,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 서원(書院)의 유교문화체험(儒敎文化體驗) 교육여행(敎育旅行)에 관한(寬限) 연구(硏究)

        박근수 ( Keun Soo Park ),이영관 ( Young Kwan Lee ),촨티엔탄 ( Tien Thanh Tr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Korean Confucianism culture put a great emphasis on the Filial Piety Thought among various elements such as character, thought, philosophy, spirit, learning, and values. The representative Confucianism educational institution was the Seowon. The Seowon had been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ore than 400 years and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and regional cultural assets.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tries to promote the Seowon whose image has been an old and outdated, as an traditional educational place for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tries to propose Seowon as an authentic Confucianism culture experience place for educational travel based on the analysis of Seowon"s historic cultural characters. Seowon"s historic cultural characters could be classified as five categories such as educational place, a meeting place for intellectual people, social educational place, ethical action place, and library and publishing functional place. The Seowon has been the symbolic private school of regional education based on pursuit of study and a special place with educational policies and personality. The study suggests five principles of Seowon"s supervision and direction as an authentic Confucianism culture experience place for educational travel. 한국 유교문화는 인물과 사상, 철학과 정신, 학문과 가치관을 중시하지만 그 중 孝를 인성의 으뜸으로 삼았으며 대표적인 성리학 교육기관이 書院이다. 서원은 400여 년을 존속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이며 지금도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 지정문화재로서 지역별로 상당히 많이 남아 있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접근하기가 어려운 공간이라는 선입관이 있기 때문에 문화재청에서도 서원을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공간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유교문화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인 서원의 역사문화적 성격을 분석하여 그 고유성의 핵심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교문화의 핵심인 孝교육의 산 교육장으로서 서원을 활용할 수 있는 여행상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서원의 역사문화적 성격은 다섯가지로 분석될 수 있는데 첫째, 교육적 장소, 둘째, 지성들의 집회소, 셋째, 사회교육의 장소, 넷째, 도덕적인 실천장소, 다섯째, 도서관과 출판기능을 서원이 담당하였다. 현재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는 인물사와 고건축 분야에 국한되어 있고, 서원 본연의 교육적 기능보다도 전통제례와 원론적 유학의 본산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서원의 고유기능은 지방교육의 상징적 기구로 강학을 근본으로 삼은 사학기구였고 서원별로 특별한 교육방침이 있는 개성적 공간이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원을 고유성이 있는 유교문화체험의 교육여행 공간으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서원관리와 연출시 다섯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제안하고 있다. 또한, 서원을 유교문화체험의 장으로 활용할 때 참고할만한 유교문화체험 여행사례를 영주의 선비촌과 안동의 종택스테이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龍巖書院(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덕천서원)ㆍ新山書院(신산서원)과 비교하여-

        ( Jin Seong Gu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付,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옹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付],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소수, 도산, 도동, 옥산, 돈암서원 등 5개 서원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서원 강학(講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서원별 강학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타당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고, 자료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규약류·강학 시행 기록·강학 의례·강학 재정 관련 기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규약류 자료를 통해서는 학파, 당파별 원규의 계승과 절목에 나타난 원규의 변용, 서적의 간행과 유통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학 시행 기록 중강안류 자료를 통해서는 참여자의 규모와 소임 및 고강성적, 일기류 자료에서는 강학의 절차와 시행 방법 및 서원에서의 하루 일과, 강록류 자료에서는 통독 시 토론 방법과 문답의 수준, 토론 시 훈장의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학 의례에서는 정읍례나 상읍례의 정식적 의례 외에도 경독, 개접례, 파접례, 지례(贄禮), 수창시 등 관습적 의례를 살펴보았다. 넷째, 강학 재정 관련 자료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각 서원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양사청, 강학계 등 강학 전담 재정기구를 설치하여 강학 개설을 시도하고자 했던 각 서원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학 의례 중 ‘지례’는 조선시대 관학에는 없었던 ‘택사(擇師)’의 교육적 의미, 근대교육이 결한 사제관계의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며, 상읍례와 정읍례를 통해서는 도덕적 마음과 관계의 훈련이 의례를 통해 어떻게 훈련되고 내면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원 강학의 마지막 절차가 시험이나 평가가 아니라 각자 강학에서 얻은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공유하는 수창시로 갈무리된다는 사실은, ‘이택지력(麗澤之力)’을 실현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서원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서원 강학 의례의 교육적 의미는 관계에 대한 훈련의 문제가 매우 절실한 현대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o classify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ch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su-Seowon, Dosan-Seowon, Dodong-Seowon, Oksan-Seowon, Donam-Seowon.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rchives, I divided educational archives into four types: the record of rules of Seowon education, the record of actual education, the record of ritual, and the record of financial. First, through the record of rules, I have identified how the rules are passed down and changed from Seowon to Seowon and impact of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n changes in Seowon Curriculum. Secondly, through the record of educational practice, I have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eowon education, the role of officer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daily routine in Seowon, the methods of discussion and questions in lecture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discussions etc. Third, through the record of rituals, I examined customary rituals such as Gyeongdok(敬讀), the rites for opening class(開接禮) and the last class(罷接禮), and the rites for Master-Disciple Relationshipe(贄禮) in addition to official rites such as Jeongeuprye(庭揖禮) and Sangeuprye(相揖禮). Fourth, through the record of financial, we could see howthe late Joseon Seowon tried to continue the education by setting up a financial institution dedicated to education despite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typification method of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for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However,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ed further. In addition, if a methodology can be developed to collect a wide range of materials that have been scattered over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typification of the material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Seowon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