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차이

        주리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진로의사 결정이론, Jones 와 Chenery의 진로결정상태 모형, 사회학습이론,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를 근거로 하여,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취업에 도움을 주며, 진로결정과정에서 올바른 결정을 할 수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를 탐색해 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대학생들의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재한 중국유학생들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 간에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에 8여개 대학교에서 재한중국유학생 154명과 한국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유연성 척도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척도와 진로결정프로파일(CDP)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에서 결정성으로 보면 한국대학생중 결정한 집단은 재한 중국유학생중 결정한 집단보다 더 많고 정서적 편안성으로 봤을 때는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에서 불편안 집단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이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른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대한 통계결과를 살펴봤을 때는 진로유연성은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른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을 때는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는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재한 중국 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각각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두 집단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한테 진로에서 지각하는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진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에 더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주리의 졸업작품 삶은 노래가 되고 해설

        주리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네 곡의 해설이다. 네 곡을 창작하게 된 배경과 형식 및 선율을 설명하고, 악기편성 및 연주 특성을 정리하였다. 발표한 네 곡은 지금까지 공부해온 내용들을 바탕으로 사람의 인생을 유년기, 사춘기, 성인기, 노년기 네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들에 주제가 될 만한 소재를 모티프 삼아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졸업 작품은 1. 아버지, 2. 꿈을 찾아서, 3. 제자리걸음, 4. 낡은 소년의 노래, 이렇게 총 네 곡으로 표현하였다. 본론을 통해 졸업 작품 ‘삶은 노래가 되고’ 의 배경, 형식 및 선율, 악기편성 및 연주 특성을 차례대로 전달하고자 한다.

      • 퀼팅기법을 응용한 니트의상 디자인 연구 : 데칼코마니의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주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 나라 경제 개발과 성장을 주도해 온 니트 산업이, 선진국의 수입 규제강화, 후진국의 추격 및 국내 인건비의 상승 등으로 국내외의 환경이 급변하여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내외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계속적인 니트 산업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품질화 및 상품의 차별화로써 부가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니트 디자인 관련분야를 육성,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즉, 독창적인 패션성 있는 니트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직접적으로 높이게 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니트의 새로운 소재 개발 및 창의적인 복식 디자인은 이 시대의사회 문화적 요구에도 부합될 뿐 아니라, 다변하는 국제 사회 속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안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적이면서 편안한 니트에 퀼팅 기법을 접목시킴으로써 니트의 새로운 표현 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고 니트 의상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나아가 니트패션 산업의 성장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니트의 전통적 개념,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니트의 전통 기법과 혼합 기법을 분류 제시하였다. 그리고 니트의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 및 작품을 대상 범위로 삼았다. 연구 방법은 상기 자료를 수집,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조사·분석하고, 문헌 및 사진 자료를 표집, 분석하여 니트의 새로운 표현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수편기 및 수잡업을 통한 니팅기법과 퀼팅기법을 의상에 도입하여 니트와 퀼팅의 접목을 시도한 총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소재는 모(毛)를 중심으로 모헤어얀(mohair yarn) 모(毛)몰얀(moll yarn), 모(毛)루프얀(loop yarn), 모(毛)슬럽얀(slub yarn) 등을 사용하였으며, 기계는 3 게이지의 수편기를 사용하였다. 기법으로는 니팅(knitting), 퀼팅(quilting), 코바늘 뜨기(crochet), 고무줄 박기(shirring) 등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니트는 의상 형태의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며, 독특한 표면 효과를 가진 실과 조직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표면구조를 갖는 풍부한 재질가을 표출시킬 수 있었다. 둘째, 니트소재에 사용되는 모는 본질적으로 보온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퀼팅 기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온성을 한층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니트의 특성 중 하나인 니트의 가장자리가 휘말리는 현상을 역이용하여 소매끝과 목둘레 부분이 자연스럽게 말리도록 하여 의상의 가장자리 선을 기능적으로 정돈해주는 동시에 미적 감각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니팅 기법과 퀼팅 기법을 결합한 수공예적(手工藝的) 혼합기법은 고급 의상 디자인 표현에 적합하며, 다양한 표현구조로 인해 고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예술적 측면에서 독창적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니팅에 퀼팅을 접목시켜 소재의 재발견과 수공예술의 의상화를 시도하였으며, 니트의 전통기법과 혼합기법을 재조명하여 의상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이 니트의 예술성을 높이는 수공예술로 계속 시도되어야 할 것이며, 조형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소재로써 니트 소재의 고부가가치가 창출되기를 바란다. Korean knit industry which has led this country's economical development and growth is now confronting difficulty from the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s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import regulations of the advanced nations, following-up of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rise of domestic labor cost. Under this circumstance, to cope with positively and promote the continuous growth of knit industry, we should heighten the value added through high quality, differentiated goods. There can be various methods of heightening the value added, but culti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levant fields of knit design seem to be one of the important ways. That is, producing unique, fashionable related materials with knit to heighten the value added in direct. From this point of view, development of new knit materials or creation of original costume can not only meet the social and cultural demands of this age but also be an excellent alternative with competitive power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new expressional methods and possibilities of knit this study to present new expressional methods and possibilities of knit and to create high value added of it by grafting quilting techniques onto knit easy to act and pleasant to wear. The range of this study is from the classical definitions of knit and its history to the traditional techniques and mixing techniques on knit. As for the methodological background, collection of the data mentioned above, theoretical investigation, research and analysis, reference to relevant literature on the new expressional techniques of knit and photo data has been paralleled. In making actual works, the author of this study applied knit handmaking and quilting to fashion to experiment grafting between knit and quilting and focused upon making wearable costume. As for the material, such wool materials as mohair, moreen, and rope yarn were used, and as to the machine a three-gage hand knitting machine was used. As for the technique, knitting, quilting, crochet, shirring and etc. were employ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dcraft techniques upon which knitting and quilting techniques were grafted are proper to make high-class fashion designs. Second, wool being used in knit essentially keeps warm very well, and such quality is increased when using quilting techniques together. Third, reverse use of easily rolling up of knit, one of its characteristics, for the sleeve and neckline to naturally roll up can create pleasant and unique feel. Fourth, unlike ready-make clothes made of each given sizes of general fabric, knit can freely change its size according to the maker that we can also control the size and volume as we want. Fifth, a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we can create high value added by adding various decorations on knit through quilting techniques.

      • 현대패션에 나타난 마스터피스 퀼트에 관한 연구

        주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1839

        In today's the fashion designs,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creating images tend to use the organic elements relat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highlight a single unique aspect. One of such techniques or masterpiece quilt which was widely used pragmatically for garments, bedding and other living necessities now evolves in new forms in the environment quite different from the past, but its influence remains unchanged in our modern fashion currents. A master-piece quilt was a kind of quilt produced by a handicraft master being aware of the fashion. Namely, it was a creative quilt produced by applying an individual's creative expression technique. In this study, a masterpiece quilt is defined as a quilt produced by a master armed with a perfect and precise handicraft skill in the 18th century.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such a traditional concept has shifted gradually towards a creativity of artistic sense. In the 21st century,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masterpiece quilt has come to have the attribut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due to discovery of new techniques and materials. In the 18th century,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masterpiece quilt developed into the "whole cloth quilt" or "white quilt technique", and by the 19th century, they would be diversified into long cabin quilt technique, crazy quilt technique, Yo-yo quilt technique, stained glass quilt technique, Hawaiian quilt technique, wrap-up quilt technique, slash quilt technique, etc. In our modern time, abstract expression techniques have evolved to vary the expressions on an extended line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while the machine quilt finishing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c civilization emerges as new expression technique to meet modern men's taste for spe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evant data to review the modern fashion designs affected by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master-piece quilt, it was found that the external forms may be characterized by aesthetics of form, color, pattern and material, while the internal expressions may be categorized into abstract, variable and eclectic ones. First, the forms among the external attributes are shown horizontally, vertically or visually arranged with their individual elements spaced at a certain interval, while the reflection acts as formal element by means of a shading technique revealing the visual effects of colors as if a form were reflected same on the mirror. On the other hand, the long cabin quilt technique rotates the material to be featured as a form of modern sense, while expansion acts as an abstract element stretched radially at its certain ratio to the common center. In terms of colors, such proud high colors as yellow, orange, red, cocktail blue and black are arranged in contrast, while violet and pink reminiscent of a vintage are used for a mysterious polishing effect. On the other hand, patter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varied on an extended line with forms, while highlighting the quilt lines only to act as another formative element. In the modern fashion various materials are experimented: chiffon, satin, denim, futuristic metallic, leather, suede, soft and flexible jersey, soft or wild fur, etc., are used to meet specific needs. Second, the abstractness among the internal expressions reveals intense colors and geometric patterns, while suggesting new styles with destructive colors and patterns by using some dynamic expressions for garments. The geometric diagrams and the abstract forms with clear outlines may represent the departure from the fixed idea of garments, and they seem to feature a pragmatic and comfortable concept as well as a stimulating and uncommon form. In terms of variability,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master-piece quilt which have varied but sustained their universality are finalized temporarily, and the forms more persuasive to the public are suggested through a positive extension of the forms responding to changes of the fashion trend. Although the fashion trend has been too diverse and variable to be summed up in a word, it can be said that the new ecology concept advocating the Naturalism has been emerging through the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applying variability in the fashion trend since 2000. In addition, a natural fashion invoking the life power of nature is suggested as a variable fashion refined by the masterpiece quilt technique. Eclecticism appears from the serious life culture, and thus, the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are shown as classic & retro, ethnic of folklore sense, minimalism of refined and clear lines, and feminine & romantic with an appeal of feminity, all of which are mixed.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fashion, some masterpiece quilt apparels are produced by the researcher in consideration of its spirit and techniqu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have changed to reflect people's value system and tastes of the time, and that they have been reflected in production of apparels pursuing a new fashion image continuously, and ultimately in our modern fashion. Currently,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are not limited by forms or tradition, but are being created anew to be unique in this age of diversity. Such a diversity of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rt expressing the inside aesthetic world of human beings, and therefore, the efforts for an aesthetic order and value for human spiritual life need to be appreciated anew. In the future, the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will develop into a complex techniques combining forms, art and popularity, and at this momen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uniqueness of master-piece quilt can be an variable inspiring and affecting our modern fashion. Based on analysis of master-piece quilt techniques and their designers' works, some experimental art apparels are produced by the researcher by using a multi-faceted composition, rich color tones and cubic texture to enhance their availability to people which might be neglected. It is believed that the works may signify a new possibility of our modern fashion because they follows the coordinates of master-piece quilt faithfu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guide for exploring of new aesthetic values for our modern fashion and that it will provide for an important reference for discussions about masterpiece quilt. Because the scope of masterpiece quilt is too wide to be covered by this single study, this study is limited to reviewing its expression techniques and focused on the US quilts produced most so far.

      • 적정규모학교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모델 연구 : 부천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주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9

        적정규모학교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모델 연구 - 부천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주 리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1981년 9월 교육부가 소규모 학교 통폐합 기준을 발표한 이후, 국가 교육 재정의 효율적 운용과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시작된 적 정규모학교 육성 정책의 활용을 위해 부천시 초등학교별 학생 수를 예측하 여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의 부천지역 초등학교 학생 수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적정규모 의 대상에 들어가는 학교를 분류하였다. 최근 몇 년간 꾸준히 감소하는 출 생률의 영향으로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이러한 변화가 모든 행정구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각 행정구역별로 분석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구 체적인 준비와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는 GeoPanda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일반 데이 터를 공간 데이터와 연결하고, 이를 통해 행정구역 정보를 기반으로 한 데 이터 정제를 진행하였다. 또한 초등학교별로 선형회귀모델을 만들어서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2024년부터 2028년까지의 학생 수를 예측하였 다. 예측된 학생 수로 2028년 기준 적정규모학교의 대상에 들어가는 학교를 분류하였다. 주제어: 초등학교 학생 수, 적정규모학교, 선형회귀모델

      •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제7차 교육과정의 문화요소 비교연구

        주리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impact of culture on young learners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have been evolving and co-existing for thousands of years and are, as result, intertwined and inseparable. Culture and language learning are both human forms of expression. People express their culture through art, music, beliefs, customs and much more. Culture is educational. It tells you about person or a group of people. Language is an abstract code that people use to communicate their thoughts, feelings and ideas to other individuals. So, in effect, people learn about each other through language. In general, most individuals find learning a new language challenging. New languages can require mastering a new alphabet, grammar, phonics, and skills associated with reading, listening, writing, spelling and so forth and overcoming any fears associated with learning these things. People may have fears about using the language in a public setting and about not using the language properly. Children, like adults, may find learning a new language challenging. However, learning about the culture associated with that language in conjunction with learning the language itself can help facilitate the learning of a languag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ill be to show the significance of academically weaving language and culture together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teach a language. The main ideas of the study are a s follows : 1) The definition of culture. 2)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3) The negative and positive cultural factors that affect language learning. 4) How to intergrate culture into language learning in order to benefit both the educators and the students. 5) Culture and language factors which appear in the seventh edition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conclusion, cultural understanding is an innate and neccesary aspect of language learning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a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 물질주의와 사회적 약자(노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서 비례적 공평의 매개효과

        주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 가치가 사회적 약자(노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을 비례적 공평이 매개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 ~ 30대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물질주의, 비례적 공평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에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변인간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물질주의와 비례적 공평,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는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물질주의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비례적 공평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검증을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변인 간 경로는 물질주의가 비례적 공평을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물질주의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 간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물질주의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비례적 공평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물질주의 가치가 높을수록 비례적 공평의 정서가 높아지며 이는 사회적 약자(노인,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물질주의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는 비례적 공평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만연해있는 물질주의 가치가 사회적 약자 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물질주의와 개인적 심리건강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에 비해 물질주의가 집단이나 사회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물질주의 가치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의 구체적 검증은 한국사회의 사회적 약자집단을 향한 부정적 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portionality Fairness between materialism towards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350 korean adulthood(20’s~30’s, non-disabled persons, 162males and 188 females) were surveyed on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on materialism, proportionality fairness,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as well as demographics statistic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1.0 and M 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aterialism, proportionality fairness and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link between materialism towards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was completely mediated by proportionality fairness, indicating that materialism affects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through proportionality fairness.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factors in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Socially Vulner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 노인 상실감과 자살 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주리 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os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379 old people (elderly men= 106) and (elderly women= 273) residing in Honam area have been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Korea-the Scale of Sense of Loss for Elderly(K-SSLE), Suicide Ideation Scale(SIS),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 Version(GDSSF-K) and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Scale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um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soci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suicidal thought as a dependent variabl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was verified in that the sense of loss of the elderly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loss of the elderly, the more it can lead to suicidal ideation, and this process can be accelerated by depression. In addition, when depression affects the suicidal ideation in this process, it can be said that the pattern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hen social support is low, depression can have a very negative impact on suicidal ideation, but when social support is high, depression has littl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suicidal ideation tend to increase as the sense of loss of the elderly increases, and depression can be mediated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creased with lower social support, and not with higher social suppor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it can be said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 that reduces the sense of lo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increases social support is very necessary.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and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suicide prevention for the elderly experiencing loss.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실감과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있어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379명을 대상으로 상실감 척도(K-SSLE), 자살 생각 척도(SIS), 우울 척도(GDSSF-K)와 사회적 지지 척도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상실감과 자살 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매개변인인 우울과 종속변인인 자살 생각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 상실감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노인의 상실감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우울로 인해 이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우울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줄 때,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우울이 자살 생각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우울이 자살 생각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상실감이 커질수록 자살 생각이 증가하기 쉬우며, 이 과정에서 우울이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영향은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증가했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크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 생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는 심리사회적 개입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했으며, 상실감을 경험하는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중요성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